• 제목/요약/키워드: question understanding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43초

Korean TableQA: Structured data question answering based on span prediction style with S3-NET

  • Park, Cheoneum;Kim, Myungji;Park, Soyoon;Lim, Seungyoung;Lee, Jooyoul;Lee, Changki
    • ETRI Journal
    • /
    • 제42권6호
    • /
    • pp.899-911
    • /
    • 2020
  • The data in tables are accurate and rich in information, which facilitates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extraction and question answering (QA) tasks. TableQA, which is based on tables, solves problems by understanding the table structure and searching for answers to questions. In this paper, we introduce both novice and intermediate Korean TableQA tasks that involve deducing the answer to a question from structured tabular data and using it to build a question answering pair. To solve Korean TableQA tasks, we use S3-NET, which has shown a good performance in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MRC), and propose a method of converting structured tabular data into a record format suitable for MRC.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a baseline in both the novice task (exact match (EM) 96.48% and F1 97.06%) and intermediate task (EM 99.30% and F1 99.55%).

초등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발문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분석 (Analysis on Teachers' Perception of Questioning and Teaching Practice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최취임;조민정;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1호
    • /
    • pp.57-70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perception and preferred type of question and analyzed type of questions asked by teacher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to identify how teachers' perception of questioning is reflected in teaching practices. We collected the data from questionnaires, deep-interview and audiotaped four classes from grade 3 and six classes from grade 6. The data form deep-interview were analyzed interpretively and Blosser' framework of question was used to analyze questions which teachers used in classes. By interpretation of data from questionnaires, the teachers agreed that questioning affects science class in elementary school.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questioning among three teachers. They preferred various types of question rather than a specific type. They didn't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questioning. The result showed that the teachers used frequently cognitive-memory question and convergent thinking question, which belonged to closed questions in their science classes. This didn't accord with their preferred types of question. The causes came from objectives of science instruction, degree of understanding about questioning, preference and confidence for science class. From this findings, we suggested that teacher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take training courses in questioning in order to use effective questioning in science class.

통합적 이해의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학생들의 미분계수 개념 이해 분석 (An Analysis on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Concept of a Differential Coefficient Based on Integrated Understanding)

  • 이현주;류중현;조완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131-15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상위권 학생들이 미분계수 개념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여기서 미분계수 개념의 통합적 이해란 미분계수의 발생맥락인 접선문제와 속도문제를 미분계수 개념과 연결하여 이해하고, 미분계수 개념, 미분계수의 대수적 기하적 표현, 미분계수를 다루는 응용 상황을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청주시에 소재한 S고등학교 2학년 상위권 학생 3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미분계수 개념의 통합적 이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통합적 이해의 관점에서 고등학교 수학II 교과서와 여러 책을 참고하여 검사지를 개발한 후 현장 교사들과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수정 보완하였다. 검사지는 총 11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문항 1과 2-(1)은 미분계수 개념과 대수 기하 표현의 연결을, 문항 2-(2)와 4는 미분계수 개념의 발생맥락과 미분계수 개념의 연결을, 문항3과 10은 미분계수의 대수 표현과 기하 표현의 연결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문항 5~9는 미분계수의 응용상황들로 구성되었는데 문항 6은 미분계수 개념과 응용의 연결을, 문항 8은 미분계수의 응용과 대수 표현의 연결을, 문항 5와 7은 미분계수의 수학 외에서의 응용과 기하 표현의 연결을, 문항 9는 수학 내에서의 응용과 기하 표현의 연결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미분계수의 개념과 대수 기하 표현의 연결이 잘 이루어진 학생들의 비율은 높게 나타났으나 그 외의 연결이 잘 이루어진 학생들의 비율은 거의 절반이거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수학 교실에서 교사 발문과 담화 유형에 대한 탐색 (Exploration of Teacher Questions and Discourse Types in Chinese Mathematics Classrooms)

  • Liu, Wenti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487-509
    • /
    • 2022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진학을 위한 입시라는 독특한 수학 교실 배경이 있는 중국 중학교 수학 교실에서 일어나는 교실 담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실 담화를 시작 발화로서 교사 발문 통계와 교사 발문 유형별 에피소드를 분석하였고, 교실 담화 구조 분석으로는 특히 다섯 가지 IRF 하위 유형을 밝혀낼 수 있었다. 중국 귀주성 귀양시에 위치한 H학교에 재직 중인 세 명의 수학 교사가 녹화했던 수학 수업 총 15개의 녹취록과 교사 서면 인터뷰 내용을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차시별로 평균 20개 교사 발문이 관찰되었고 교사 발문의 사회적 스케폴딩 역할이 있었으며, 교사 발문 유형은 확인형 발문(이해확인 발문, 설명요구 발문, 상세요구 발문, 재확인 발문)과 정보형 발문(정보제시 발문)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교실 담화 분석에 따르면 IR형 담화 구조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IRF형 담화 구조의 경우는 단편적인 평가, 평가 및 이유, 근거 설명, 평가 및 학생 반응 재진술, 다른 사고나 해법 안내, 그리고 학생 답 수정이나 교사 의견 제시로 구분되었다.

학문 목적 교양 한국어 수업에서의 교사 질문 분석 연구 -문제 중심 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nalysis of Teachers' Questions in the Korean Classroom for Academic Purposes-Focusing on Problem-Based Instruction)

  • 공하림
    • 한국어교육
    • /
    • 제29권3호
    • /
    • pp.1-2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questions in the actual general Korean classroom for academic purposes and identify types of questions. The results of the question analysis by type identified 713 teacher's questions in total: echoic questions made up 41% while epistemic questions were 19.3% and expended question turned out to make up 39.7%. 'Comprehension check questions' were 29%, which was a major part in the echoic question. 'Referential questions' were a major part in the epistemic question. Also, the research discovered that 'knowledge integration' questions held the largest majority in expended questions. Since the teacher-led lecture was often conducted in the problem-presentation stage, the percentage of Echoic question was high; and moreover, the problem-solving stage promoted to come up with more improved solutions of the problem. In the outcome and presentation stage, it was discovered that the questions aimed to check understanding of content in the subject and expand though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for teacher's questions by phase and further conduct research on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questions in the future.

현상학의 근원적 토대로서 '자연' 개념 : 셸링과 메를로-퐁티의 비교 관점에서 (The "Nature" Concept as an Underlying Base of Phenomenology : With a focus on comparison between Schelling and Merleau-Ponty)

  • 심귀연
    • 철학연구
    • /
    • 제142권
    • /
    • pp.145-164
    • /
    • 2017
  • 메를로-퐁티는 "지각의 현상학"에서 현상학이 무엇인지 다시 물을 수밖에 없는 이유를 제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물음이 '자연'을 통해 해소될 수 있다고 보며, 그것의 가능 근거를 셸링과 메를로-퐁티의 자연 개념에서 찾는다. 셸링과 메를로-퐁티는 데카르트와 칸트 철학에 대한 비판의 관점에서 사유를 전개한다. 특히 칸트의 '물자체'는 셸링 철학에서 해결되지 않으면 안 되는 중요한 문제 중 하나다. 칸트는 물자체를 남겨둠으로써 이원론으로 분리된 세계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고 있다. 셸링은 동일성 개념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메를로 퐁티는 몸- 주체로 풀어내고 있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것은 셸링과 메를로-퐁티가 자연을 이해하는 방식이다. 셸링은 자연 속에 무의식적인 지성의 창조활동이 있다고 본다. 포텐츠는 무의식적 지성을 최고 지성인 자각적 정신으로 이끌어가는 힘이다. 인간은 자각하는 정신의 담지자로 존재한다. 그러나 셸링의 자연 개념에서는 정신 또는 지성이 실존하는 개별 존재를 도출해 내지는 못한다. 여기서 우리는 셸링이 여전히 전통 인식론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본다. 자연의 본래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자연의 전체성을 이해하는 데서 시작해야 한다. 또한 자연은 인간과 맺는 관계를 통해 해명되어야 한다. 메를로-퐁티는 몸-주체 개념을 정립함으로써 자연과 정신의 얽힘 관계를 드러낸다. 메를로- 퐁티 현상학에서 몸은 자연의 등가물이기 때문이다. 셸링과 메를로-퐁티가 보여주고자 하는 자연의 생성하는 힘을 이해함과 동시에 정신 또는 인간이 어떻게 자연으로부터 나오는지를 해명할 때, 우리는 비로소 자연의 본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Wilson's Demarcation of Field: Outline for Reconsideration

  • 최정열;최호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84-586
    • /
    • 2009
  • Dualized program for building Public Administration scholarship in Korea has been, in a sense, a result of theoretical tension between the two positions, politics/administration dualism vs. politics/administration monism. The program has maintained its integrity by its dependence on a foundational question, "Is administration a different field of action from politics?" Korean community for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has maintained its oneness by internally asking this question even though the two external philosophical positions were relatively indubitable. Strating from the well-known changes in the community, this brief outline for the future full exegesis tries to read carefully one point shown in the second chapter of one of the most seminal proposals for foundation of modern Public Administration, one paragrahp in the second chapter of "The Study of Administration" by Woodrow Wilson. What was the contemporary meaning of Wilson's classic distinction made in 1887? Keeping this research question in our mind, we will attempt to prepare for the full understanding of a kind of internal distinction Wilson explicitly draws between the constitutional and the administrative.

  • PDF

과학 수업 상황에 따른 질문의 유형과 빈도에 대한 초·중학생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Frequency and Type Relating to Question in Science Class Context)

  • 이윤경;이태상;임수민;김영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1호
    • /
    • pp.58-79
    • /
    • 2015
  • 이 연구는 다양한 과학 수업 상황에서 학생의 질문 빈도와 유형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학년별로 어떻게 변화하는가 분석하기 위하여 3~9학년까지 총 2,28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분석한 것이다. 설문에 제시된 수업 상황은 수업 내용, 수업 형태, 수업 자료, 수업 진행 방식의 네 가지 영역에 대하여 19가지 하위 항목으로 세분화한 후 각 항목별로 과학 수업 1차시 동안 학생이 제시한 질문의 유형과 빈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질문의 유형은 이해 질문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기억 질문으로 두 유형이 5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학년별 질문 유형의 변화도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특히 잘 아는 내용의 수업, 강의 수업, 교과서를 이용한 수업, 교사가 교과서를 읽으면서 설명하는 수업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의 질문 빈도는 4학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고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학년별 질문 빈도의 변화는 3~4학년 사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수업 상황별, 학년별로 다양한 질문이 오갈 수 있도록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시키고 활발한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여 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업 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PDF

마음이론에 대한 아동의 암묵적 이해 (Children's Implicit Understanding about Theory of Mind)

  • 한은주;최경숙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3-113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children's performance between two types of task by the number of protagonists and children's implicit understanding of false-belief. The implicit measure by eye gaze was contrasted with children's explicit answers to the experimenter's question about where the protagonist would look for an object. Results showed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ask type by number of protagonists. On false-belief, 2- and 3-year-olds showed low performance compared with 4-year-olds on explicit responses. On implicit responses, 3- and 4-year-olds out-performed 2-year-ol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plicit understanding precedes explicit understanding.

  • PDF

유사도 기반 이미지 캡션을 이용한 시각질의응답 연구 (Using similarity based image caption to aid visual question answering)

  • 강준서;임창원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2호
    • /
    • pp.191-204
    • /
    • 2021
  • 시각질의응답과 이미지 캡셔닝은 이미지의 특징과 문장의 언어적인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요구하는 작업이다. 따라서 두 가지 작업 모두 이미지와 텍스트를 연결해 줄 수 있는 공동 어텐션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MSCOCO 데이터 셋에 대하여 사전 훈련된 transformer 모델을 이용 하여 캡션을 생성한 후 이를 활용해 시각질의응답의 성능을 높이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때 질 문과 관계없는 캡션은 오히려 시각질의응답에서 답을 맞히는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질문과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질문과 유사한 일부의 캡션을 활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캡션에서 불용어는 답을 맞히는데 영향을 주지 못하거나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제거한 후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존 시 각질의응답에서 이미지와 텍스트간의 공동 어텐션을 활용하여 좋은 성능을 보였던 deep modular co-attention network (MCAN)과 유사도 기반의 선별된 캡션을 사용하여 VQA-v2 데이터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MCAN모델과 비교하여 유사도 기반으로 선별된 캡션을 활용했을 때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