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serrata thunb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9초

도토리(Quercus serrata Thunb)와 상수리(Quercus acutissima Carruther)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당뇨 활성 연구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Quercus serrata Thunb and Q. acutissima Carruther)

  • 추지혜;최진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22-529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acorns according to the types of Quercus serrata Thunb (QST) and Q. acutissima Carruther (QAC).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extracts from QST and QAC were 220.59 and 320.96 mg GAE/g, respectively.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of QAC was higher than that of QAC (p<0.001). DPPH (2,2 Diphenyl 1 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were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y both acorn extracts, and QAC showed high activity in all antioxidant experiments (p<0.05).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α-glucosidase and α-amylase were also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QAC showed higher inhibitory activity than QST (p<0.05). Our study indicates that QST and QAC are functional food materials with high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In addition, QAC has a higher physiological activity than QST.

참나무 수엽의 사료가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Nutritive Value of Oak Browse)

  • 이인덕;이중해;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1-227
    • /
    • 1993
  • Browse from Quercus aliena Blume, Quercus mongolica Fisch.. Quercus serrata Thunb., Quercus acutissima Carruth., Quercus variabilies Blume, and Quercus dentata Thunb. were analyzed for crude protein (CP). crude fiber(CF). neutral detergent fiber(NDF). acid detergent fiber(ADF). cellulose. lignin,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DMD), and tannin acid equivalents(TAE). According to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DMD.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TDN). digestible energy(DE), and metabolizable energy(ME) were estimated. Oak brows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y through October from 1990 to 1992 in Mt. Kyeryong. Browse from Quercus aliena,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serrata contained higher levels of CP, DMD. TDN, DE. and ME. but lower levels of CF, NDF. ADF, and TAE as compared with other oak browse. Differences among seasons and years in the concentration of CP. NDF, and organic matter digestibility(0MD) were significantly appeared in all oak browse(P<0.05). The order of preference ratings of oak browse were Quercus aliena ) Quercus acutissima ) Quercus serrata ) Quercus mongollca ) Quercus variabilies ) Quercus dentata.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considered that Quercus aliena and Quercus acutisslma were more valuable browse source than others.

  • PDF

한국산 장수하늘소의 새로운 기주식물 보고 (Identification of a New Host Plant of Callipogon relictus Semenov (Coleoptera: Cerambycidae) in South Korea)

  • 이승규;김무성;이봉우;임종옥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57-3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광릉숲에서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종인 장수하늘소(Callipogon relictus Semenov)의 새로운 기주식물로 졸참나무(Quercus serrata Thunb. ex Murray)를 처음 보고한다. 졸참나무 안에서 발견하였던 장수하늘소 유충의 형태학적 측정값과 재검토한 장수하늘소의 기주식물 목록을 제공한다.

여러 가지 조사료를 급여한 꽃사슴(Servus nippon)의 채식습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ood Habits of Sika Deer(Servus Nippon) Fed with Various Roughage Sourc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1-70
    • /
    • 2008
  • 본 연구는 2007년 3월부터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부속사육장 및 전북 남원시 운봉읍 소재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목초(grasses)는 Lolium perenne, Festuca arundinacea, Poa pratensis, Agrostis alba 및 mixed grass의 5종과, 두과목초(legumes)는 Trifolium pratense, Medicago sativa, Trifolium repens, Melilotus officinalis 및 Vicia villosa의 5종, 수엽(browse)으로 Quercus serrata Thunb., Prunus jamasakura Sieb., Quercus aliena Blume, Robinia pseudoaccacia 및 Pinus densiflora의 5종과 잡초(weeds)는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rigeron canadensis, Alopecurus aegualis Sobolewski,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Roxb.) Wight 및 Rumex crispus의 5종을, 야초(Weeds)는 Zoysia japonica Steudel,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HACK) Ohwi., Arundinella hirta(Thunb.) Tanaka, Miscanthus sinensis Anderss 및 Phragmites comunis Trin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시험축은 꽃사슴(수컷) 5두를 공시하였으며, 평균체중은 92.5 kg이었다. 시료는 초종 당 건물기준으로 0.5 kg씩 급여하여 시험하였으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시료의 조사료원별로 분석한 화학적 성분과 건물소화율은 대체적으로 채취장소, 초종, 생육단계 및 예취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채식량, 채식비율 및 채식순위는 초종 및 수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에 건물소화율이 높은 조사료를 더 즐겨 채식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꽃사슴은 Quercus aliena Blume(갈참나무 잎, 500g)을 가장 즐겨 채식하였으며, 다음은 Prunus jamasakura Sieb.(벚나무 잎, 491g)과 Quercus serrata Thunb.(졸참나무 잎, 491g), Trifolium pratense(red clover, 481g) 순으로 즐겨 채식하였던 반면에, Phragmites comunis Trin(갈대, 8g)를 가장 적게 채식하였다. 꽃사슴의 채식습성은 수엽 36.5%, 두과목초 34.2%, 화본과목초 14.0%, 야초는 13.5% 및 잡초를 1.8% 채식하였던 것으로 보아 채식습성은 전형적인 수엽채식형(browser type)에 가깝다고 하겠다.

여러 가지 조사료를 급여한 재래산양의 채식습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ood Habits of Korean Native Goats (Capra hircus) Fed with Various Roughage Sourc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128
    • /
    • 2008
  • 본 연구는 2007년 3월부터 10월까지 충남대학교 부속사육장 및 전북 남원시 운봉읍 소재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목초(gasses)는 Lolium perenne, Festuca arundinacea, Poa pratensis, Agrostis alba 및 mixed grasses의 5종과, 두과목초(legumes)는 Trifolium pratense, Medicago sative, Trifolium repens, Melilotus officinalis 및 Vicia villosa의 5종 수엽(樹葉, browse)으로 Quercus serrata Thunb., Prunus jamasakura Sieb., Quercus aliena Blume, Robinia pseudoaccacia 및 Pinus densiflora의 5종과 잡초(weeds)는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rigeron canadensis, Alopecurus aegualis Sobolewski,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Roxb.) Wight 및 Rumex crispus의 5종을, 야초(native grasses)는 Zoysia japonica Steudel, Agropyron tsukushiense var. transiens(HACK) Ohwi., Arundinella hirta(Thunb.) Tanaka, Miscanthus sinensis Anderss 및 Phragmites comunis Trin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시험축은 재래산양(남) 10두를 공시하였으며, 평균체중은 30.6kg이었다. 시료는 초종 당 건물기준으로 0.5kg씩 급여하였고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전북 남원시 운봉읍 소재 가축유전자원시험장 축사내에서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시료의 조사료원별로 분석한 화학적 성분과 5건물소화율은 대체적으로 채취장소 초종, 생육단계 및 예취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채식량, 채식비율 및 채식순위는 초종 및 수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에 건물소화율이 높은 조사료를 더 즐겨 채식하는 양상이었다. 재래산양은 Quercus serrata Thunb.(졸참나무 잎, 500g)을 가장 즐겨 채식하였으며, 다음은 Quercus aliena Blume(갈참나무 잎, 441g), Trifolium repens(white clover, 433g), Pinus densiflora(소나무 잎, 417g) 순이었으며 다른 가축이 즐겨 먹지 않는 Pinus densiflora나 Artemisia princeps Pampanini(쑥)도 즐겨 채식하였다. 재래산양의 조사료원별 채식분포를 보면 수엽 29.9%, 두과목초 23%, 잡초 21.6%, 화본과목초 21.5% 및 야초 4.0%를 채식하였던 것으로 보아 채식습성은 수엽채식형(browser type)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Environmental controls on growing-season sap flow density of Quercus serrata Thunb in a temperate deciduous forest of Korea

  • Laiju, Nahida;Otieno, Dennis;Jung, Eun-Young;Lee, Bo-Ra;Tenhunen, John;Lim, Jong-Hwan;Sung, Joo-Han;Kang, Sin-Ky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3호
    • /
    • pp.213-225
    • /
    • 2012
  • Sap flux density (SFD) measurements were used, in combination wi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ees and forest structure, to calculate whole-tree transpiration, stand transpiration (St) and mean canopy stomatal conductance (Gs). Analysis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ees and whole tree water use, and on the responses of SFD and Gs to short wave radiation (RR), vapor pressure deficit (VPD) and soil water content (SWC) during drought and non-drought period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hole tree transpiration and both tree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r^2$ = 0.95, P < 0.05) and sapwood area (SA) ($r^2$ = 0.98, P < 0.05). Relationships between SFD and DBH ($r^2$ = 0.25), as well as SA ($r^2$ = 0.17) were weak. Daily SFD of Quercus serrata Thunb was closely related to VPD and RR. Although operating at different time scales, RR and VPD were important interacting environmental controls of tree water use. SFD increased with increasing VPD (<1 kPa) and RR. SWC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stand transpiration during the drought period. The relationships between SFD, VPD and RR were distorted when SWC dropped below 35%.

송이 발생지(發生地)의 식생(植生)과 주요(主要) 야생(野生) 버섯 분포(分布) 조사(調査) (Survey on the Flora and Main Wild Mushroom in Tricholoma matsutake Producing Sites)

  • 나종성;류정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4-148
    • /
    • 1992
  • 야생(野生) 버섯 중(中) 송이의 대표적 발생지(發生地)인 전북(全北) 남원(南原) 지역(地域)에서 식생(植生) 및 주요(主要) 야생(野生)버섯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송이 발생지(發生地)에서 식생(植生)의 출현종수(出現種數)는 $11{\sim}29$종(種)이었으며 교목층(喬木層)(Tl, T2)에서는 소나무(Pinus densiflora S. et. Z.), 관목층(灌木層)(S)에서는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m TURCZ), 졸참나무(Quercus serrata THUNB.), 초목층(草木層)(H)에서는 산거울(Carex humilis LEYss.)이 우고(優古)하고 있었다. 송이 발생지(發生地)의 주요(主要) 야생(野生) 버섯 분포(分布)는 그물버섯과(科)(Boletaceae)에 속하는 평원비단그물버섯(Suilus Placidus Bon. Sing.)과 싸리버섯과(科)(Ramariaceae)에 속하는 싸리버섯(Ramaria botrytis Fr. Ricken) 등(等)이 주종(主從)을 이루었다.

  • PDF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참나무과 식물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Quercus spp.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윤재원;유미영;박부길;이명구;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63-468
    • /
    • 2004
  •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참나무류 6종의 부위 별 항균력을 검색한 결과, 참나무류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력은 그람양성 세균과 음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음성균인 E. coli 0157:H7이나 S. typhimurium보다 그람양성균인 B. cereus, L. monocytogenes, S. aureus균에 대하여 더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효모와 곰팡이에 대해서는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수종별 항균 활성은 갈참, 떡갈 신갈나무 에탄올 추출물이 졸참, 상수리, 굴참나무 에탄올 추출물보다 더 강하였으며, 부위별로는 잎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수피와 목질부는 유사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6종의 부위별 참나무수종 중에서 갈참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B. cereus ATCC 9634와 L. monocytogenes ATCC 19111에서는 500 $\mu\textrm{g}$/mL에서, E. coli O157:H7는 1 mg/mL의 농도에서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Budget and distribution of organic carbon in Quercus serrata Thunb. ex Murray forest in Mt. Worak

  • Lee, Seung-Hyuk;Jang, Rae-Ha;Cho, Kyu-Tae;You, Young-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4호
    • /
    • pp.425-436
    • /
    • 2015
  • The carbon cycle came into the spotlight due to the climate change and forests are well-known for their capacity to store carbon amongst other terrestrial ecosystems. The annual organic carbon of litter production, forest floor litter layer, soil, aboveground and belowground part of plant, standing biomass, net primary production, uptake of organic carbon, soil respiration, etc. were measured in Mt. Worak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and carbon budget of Quercus serrata forest that are widely spread in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total amount of organic carbon of Q. serrata forest during the study period (2010-2013) was 130.745 ton C ha-1. The aboveground part of plant, belowground part of plant, forest floor litter layer, and organic carbon in soil was 50.041, 12.510, 4.075, and 64.119 ton C ha-1, respectively. The total average of carbon fixation in plants from photosynthesis was 4.935 ton C ha-1 yr-1 and organic carbon released from soil respiration to microbial respiration was 3.972 ton C ha-1 yr-1. As a result, the net ecosystem production of Q. serrata forest estimated from carbon fixation and soil respiration was 0.963 ton C ha-1 yr-1. Therefore, it seems that Q. serrata forest can act as a sink that absorbs carbon from the atmosphere. The carbon uptake of Q. serrata forest was highest in stem of the plant and the research site had young forest which had many trees with small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Consequentially, it seems that active matter production and vigorous carbon dioxide assimilation occurred in Q. serrata forest and these results have proven to be effective for Q. serrata forest to play a role as carbon storage and NEP.

양평지역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졸참나무의 allometry와 임관동태 연구 (Allometry and Canopy Dynamics of Pinus rigida, Larix leptolepis, and Quercus serrata Stands in Yangpyeong Area)

  • 김종성;손요환;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186-197
    • /
    • 1995
  • 경기도 양평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리기다소나무, 낙엽송, 졸참나무 임분의 지상 부위 생체량과 엽면적을 추정하기 위해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변재단면적, 변재부피 등의 변수를 이용하는 회귀식을 조제하였다. 지상 부위 생체량과 엽면적은 흉고직경, 흉고단면적, 변재단면적, 변재부피 등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비슷한 직경급에서 3수종 모두 유사한 수간목부 생체량을 보였다. 그러나 수피, 잎, 가지와 지상 부위 총생체량과, 단위건중량당 엽면적 그리고 엽면적 변재단면적의 비에 있어 수종 간 차이가 뚜렷하였다. 생체량과 엽면적 추정을 위한 회귀식은 대상 수중의 잎의 습성과 수병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이들 영향을 보다 확실하게 구명하치 위해서 상세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