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ntitative risk assesment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6초

도로터널 위험도 평가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I) (The study of development of quantitative risk assesment program for the road tunnel)

  • 유지오;신현준;이동호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60-467
    • /
    • 2006
  • Some large accidents in tunnels in recent years, such as Mont Blanc, Gotthard and Tauern tunnels, have lead to an increasing attention for tunnel safety and necessity of tool for quantitative risk assesment of road tunnel.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quantitative risk assesment tool for the application of road tunnel.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 (1) analyze of traffic accident rates in tunnel, (2) make out scenario for fire accidents, (3) develop the evacuation model and FED calculation model, (4) Present the results from quantitative risk assesment for the model tunnel according with the fire heat release rates and distances of cross passage.

  • PDF

지하철 승강장 형식에 따른 정량적 화재 위험성 평가 (Quantitative Fire Risk Assesment for the Subway Platform Types)

  • 이동호;김하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6
    • /
    • 2006
  • Subway platform is divided into Side-platform type and Center-platform type. In this study does quantitative fire risk assesment of subway platform types in numerical analysis by using CFD model.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1) All exhaust mode was low-end result it seems most fire risk at Side-platform station. 2) All exhaust mode was low-end result it seems most fire risk at Center-Platform station. 3) When comparing same type exhaust mode of Side-platform and Center-platform that last thing was visible $9.1{\sim}72.34%$ low-end fire risk. Center-platform is more opera-tive than Side-platform that reduce fire risk when that was same dimension and external environment. Designer look upon a fire characteristic of subway platform types when he make smoke control air volume and platform area design.

CFD code를 이용한 철도터널 화재 위험도 평가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r Railroad-tunnel Fire Incidents by using CFD code)

  • 김학범;이덕희;장용준;정우성
    • 한국전산유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유체공학회 2011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69-172
    • /
    • 2011
  • Recently, railroad long tunnels are increasing and growing longer due to topological feathers like a lot of mountain in Korea. But fire disaster of a long tunnel cause many people to injury and death. For that reason, at the early design stage of a long tunnel, risk assessment and mitigation measure of risk for satisfying tunnel safety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railroad facility safety standard (Korean MLTM Announcement No. 2006-395), risk assessment for railroad-tunnel fire should be performed when design stage. Therefore, various methods of risk assessment for tunnel fire have been studied and applied. In the paper, QRA(Quantitative Risk Analysis) for fire risk assessment by using CFD code is presented and the usefulness of CFD is discussed.

  • PDF

빌딩공사의 안전관리정보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n the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Building Work)

  • 박종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1-77
    • /
    • 2005
  • There are insufficient models that find problems and solutions for accident prevention through risk assessment and suggest safe work process and work instruction from foundation works to finish work for accident decrease. This paper presents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odel by analysis of risk factors in each process such as foundation, erection, structure, equipment finish and etc based on accident examples and investigation on actual condition in building. In additio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to perform risk assessment of construction and use it for effective safety training for labor.

철도터널에서 위험인자가 정량적 위험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 risk factor o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n railway tunnel)

  • 유지오;김진수;이동호;신현준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17-125
    • /
    • 2015
  • 철도터널에 대한 정량적 위험도 평가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사고발생빈도 및 사고의 결과의 곱으로 위험도를 정량화하는 것이다. 정량적 위험도 평가는 터널제원, 화재특성, 제연방법, 제연과 대피방향의 관계 등 다양한 인자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터널연장(2, 3, 4, 5, 6 km) 및 경사도(5, 15, 25‰)를 변수로 하여 제연방법 및 제연과 대피방향의 관계가 정량적 위험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이 결과로 복선터널 단면(단면적 $97m^2$)에서는 열차화재시 열차중 화재차량의 위치와 무관하게 제연반대방향으로 대피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와 같은 조건에서 기계환기시 위험도지수가 자연환기 보다 약 1/10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철도터널에서 차량화재시 정량적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r railway Tunnel fire)

  • 유지오;남창호;조형제;김종원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307-319
    • /
    • 2010
  • 대구지하철 화재사고에서와 같이 철도터널 내 화재는 제연과 배연의 어려움으로 자칫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철도터널에서는 화재 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정량적 위험도 평가를 통하여 방재 시설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터널내 화재시 정량적 위험도평가를 위해서 필요한 화재발생 표준시나리오, 화재 및 대피해석모델, 사망자 추정모델, 사회적 위험도 평가기준 등을 정립하여 철도터널에 대한 정량적 안전성 평가 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는 각각의 철도터널 화재사고에 대한 정량적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각종 모델을 정립하여 호남고속철도 방재시설 설계에 반영하였다.

해저철도터널(목포-제주간) 화재시 정량적 위험도 평가기법에 의한 피난연결통로 적정간격산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nterval calculation of cross passage in undersea tunnel by quantitative risk assesment method)

  • 유지오;김진수;이동호;신현준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249-256
    • /
    • 2015
  • 현재 목포-제주간 해저터널은 타당성 검토를 위한 기본계획 중에 있으며, 노선의 길이가 108 km인 고속여객 전용선으로 단면형태는 유로터널과 같은 서비스터널을 설치한 단선쌍굴터널로 검토되고 있다. 또한 교통량은 10량 1편성의 열차가 일일 76편/편도 운행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터널의 피난연결통로의 적정 간격을 정량적 위험도 평가기법에 의해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정량적 위험도 평가기법을 정립하였다. 또한 터널의 단면형태를 복선터널(Type 3), 쌍굴터널(Type 1) 및 복선터널을 격벽으로 분리하는 형태의 터널(Type 2)을 대상으로 단면형태별로 적정 피난연결통로 간격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Type 2의 단면이 대피안전확보에 가장 효과적이며, 현행 국내 사회적 위험도 평가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단면형태별로 350 m (Type 1), 400 m (Type 2), 1,500 m (Type 3)의 피난연결통로 간격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GRA(Generic Risk Analysis) 기법을 이용한 공기분리시설에 대한 준 정량적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mi Quantitative Risk Analysis for Air Separation Unit using a GRA(Generic Risk Analysis) Method)

  • 신정수;변헌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6-66
    • /
    • 2013
  • 가스제조 시설들은 불활성 가스공급을 통하여 제조업 시설의 안전한 운영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폭발성, 가연성 및 독성가스를 공급하여 화학제품 제조에 필요한 기초 원료의 공급을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스의 제조과정에서 고온, 고압, 초저온 및 촉매반응 등의 운전조건 하에서 시설이 운전되기 때문에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운영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공장들은 공정관리가 복잡하며 제조물질의 누출로 인한 화재, 폭발 및 독성가스 누출로 인한 중대산업사고의 위험성이 있고, 불활성가스로 인한 질식재해, 고온 및 초저온으로 인한 화상 등 잠재적인 위험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신뢰성 있는 준 정량적 위험성평가 기법인 GRA(Generic Risk Analysis) 모델을 공기분리시설(ASU)에 적용하여 초기위험도(Initial Risk) 산정, 안전방벽(Safety Barriers) 적용, 잔여위험도(Residual Risk) 산정 및 중요안전요소(EIS, Elements Important for Safety)를 도출 하였으며, 위험성 평가 결과로 도출된 중요안전요소에 대한 효과적인 안전관리 및 시행절차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교량 건설공사의 안전관리정보시스템 개발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Bridges Construction Work)

  • 박종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3-80
    • /
    • 2011
  • There are insufficient models that find problems and solutions for accident prevention through risk assessment and suggest safe work process and work instruction from foundation works to finish work for accident decrease. This paper presents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odel by analysis of risk factors in each process such as foundation, erection, pier, pier upper and etc based on accident examples and investigation on actual condition in bridges construction work. In additio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to perform risk assessment of construction and use it for effective safety training for labor.

플랜트 건설공사의 안전관리 정보시스템 개발 (Safety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Plants Construction Work)

  • 박종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29
    • /
    • 2012
  • There are insufficient models that find problems and solutions for accident prevention through risk assessment and suggest safe work process and work instruction from foundation works to finish work for accident decrease. This paper presents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odel by analysis of risk factors in each process such as appurtenant works, temporary works, structural works, equipment work, finishing work and etc based on accident examples and investigation on actual condition in plants construction work. In additio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to perform risk assessment of plants construction and use it for effective safety training for lab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