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y describing term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시판 Breakfast Cereals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Breakfast Cereals)

  • 박찬경;맹영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9-293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시판 breakfast cereals의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Breakfast의 water absorption index(WAI)가 클수록 water soluble index(WSI)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Bowl life는 WSI가 클수록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판 breakfast cereals의 Bowl life는 제품의 WSI 이외에도 크기, 모양 및 조직 등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 표현용어의 조사에 따르면 시판 breakfast cereals의 중요한 관능적 품질요소는 고소한 맛, 단 맛, 굳기, 부서지는 정도 및 먹은 후 입속에 남는 느낌으로 구분되며, 특히 부서지는 정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단 맛과 고소한 맛은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첨가물에 의한 단 맛 강화는 오히려 고소한 맛을 감소시켰다. 전체적인 관능적 품질은 색, 고소한 냄새, 고소한 맛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입안에서의 마찰 정도, 부착성, 첨가물 맛과는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좋은 색과 고소한 맛, 바삭바삭한 조직감을 갖는 breakfast cereal이 좋은 품질의 제품으로 평가되었다.

  • PDF

한과류의 관능적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Cookies, Hankwa)

  • 이철호;맹영선;안현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1-79
    • /
    • 1987
  • 한과류의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약과, 세반강정, 산자, 송화다식, 들깨엿강정에 대한 품질표현용어를 77명의 설문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 90여종의 표현용어를 수집하였다. 이들 용어중 58종의 표현용어는 국어대사전에 수록되어 있었으며 한과의 종류별 주요품질요소를 표현빈도수에 근거하여 결정하였다. 한과류를 실온에서 10일간 상대습도 $0{\sim}68%$ 범위에서 저장하였을 때 주요품질요소의 변화를 관능검사로 평가하였다. 저장상대습도의 변화에 따른 한과류 종류별 주요 관능적 품질요소의 변화 양상을 정량적 묘사 분석법으로 도해함으로서 일목요연하게 표시할 수 있었다.

  • PDF

국산차(國産茶)의 관능적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ea and Related Products)

  • 이철호;홍성희;황성연;신애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33-147
    • /
    • 1987
  • 우리나라 전통차의 제조기술 개발과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다류 (쌍화차, 생강차, 율무차, 현미차, 유자차, 홍차, 녹차) 7종에 대한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다류의 관능평가를 위한 표준방법을 수립하기 위하여 5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차종류에 따라 마시기에 가장 알맞은 온도범위를 조사하였든 바, 7종의 다류 모두 $60^{\circ}C-70^{\circ}C$ 범위가 최적 음다 온도로 나타났다. 최적온도는 일반적으로 다류 제조회사가 권장하는 농도가 적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차종류에 따른 품질묘사는 주로 맛, 냄새, 입속의 감촉, 뒷맛 등에 대한 표현이 45종이 조사되었다. 이들 결과를 기초로 하여 8명의 훈련된 관능검사요원으로 구성된 관능검사파넬을 이용하여 차종류별 풍미묘사분석(flavor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차종류별 주요 풍미요소를 정리하여 풍미묘사분석방법을 수립하였고 차종류별 대표적인 시중제품과 순수한 추출물 및 원료들을 시료로 하여 총 29종의 flavor profile을 비교하였다. 이들 결과를 정량적 묘사분석법으로 도해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DF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수량학적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 김현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93-130
    • /
    • 1987
  • Scientific communication is an information exchange activity between scientists. Scientific communication is carried out in a variety of informal and formal ways. Basically, informal communication takes place by word of mouth, whereas formal communication occurs via the written word. Science is a highly interdependent activity in which each scientist builds upon the work of colleagues past and present. Consequently, science depends heavily on scientific communication. In this study, three mathematical models, namly Brillouin measure, logistic equation, and Markov chain are examined. These models provide one with a means of describing and predicting the behavior of scientific communication process. These mathematical models can be applied to construct quality filtering algorithms for subject literature which identify synthesized elements (authors, papers, and journals). Each suggests a different type of application. Quality filtering for authors can be useful to funding agencies in terms of identifying individuals doing the best work in a given area or subarea. Quality filtering with respect to papers can be useful in constructing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semination systems for the community of scientists interested m the field. The quality filtering of journals can be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small quality libraries based on local interests in a variety of situations, ranging from the collection of an individual scientist or physician to research centers to developing countr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informetrics which is defined a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by investigating mathematical models of scientific communication.

  • PDF

시트-인체 진동 모델링을 이용한 승차감 해석 (Ride Quality Analysis Using Seated Human Vibration Modeling)

  • 강주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94-20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직 진동에 노출된 승객의 승차감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점탄성 특성을 가진 시트에 기댄 인체의 동적 모델링을 제시한다. 시트 위 인체의 운동을 기술하기 위해 문헌에서 찾은 5자유도계 다물체 동역학 모델이 이용되었다. 철도차량 시트에 사용되는 점탄성 특성은 비선형 강성 특성과 시간 지연을 표현하는 컨볼루션 적분으로 수식화된다. 바닥 가진에 대한 전달함수를 분석 결과 시트의 비선형 특성으로 인해 입력 가진의 크기에 따라 전달함수는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된 철도차량의 바닥 가진을 이용하여 실제적인 인체 진동 특성을 분석한다. 주파수 가중치 자승평균치 값을 계산하고 시트 설계 파라미터가 이 주파수 가중치 자승평균치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한다.

비영역적 업무공간의 사용자 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Awareness regarding Non-Territorial Workplaces)

  • 조지연;박영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196-204
    • /
    • 2004
  • Non-territorial workplac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conventional workplace in terms of interior and architectural design and organization management even the user awar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on-territorial workplace and suggest needs for improving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work. To fulfill this task, information describing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user awareness were gathered from the non-territorial office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s regarding general information of user and satisfaction of environmental elements that were established on pre-study.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users of non-territorial workplace seem to be satisfied with utilization of space and working but discontent with psychological element such as privacy, security and affinity. Therefore designers should focused more on psychological elements according to users awareness which is the finding in this study among other elements.

탁주의 관능적 품질요소와 이들의 열처리에 의한 변화 (Sensory Quality Attributes of Takju and Their Changes During Pasteurization)

  • 이철호;이현덕;김지용;김기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405-410
    • /
    • 1989
  • 탁주의 맛을 표현하는 용어를 설문조사 방식으로 수집하여 맛, 냄새, 색깔, 입속의 감촉 등 관능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가열살균에 의한 탁주의 관능적 품질변화를 통계적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탁주의 주요 품질요소로는 색깔에서 백색, 회색, 황색 냄새로는 시큼한 냄새, 쉰냄새, 맛으로는 신맛, 떫은맛, 쓴맛, 단맛, 입속의 감촉으로는 텁텁하다, 걸죽하다, 청량감 등으로 밝혀졌다. 82, $93^{\circ}C$$135^{\circ}C$에서 각 9초간 실시된 열처리에 의하여 회색, 쉰냄새, 화독냄새, 떪은맛, 쓴맛, 걸쭉함이 증가하였으며 신맛, 단맛, 황색, 텁텁함 및 청량감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기호도의 전반적인 저하로 나타났다. 열처리 온도에 따라 이들 변화는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고추의 범용(汎用) 건조모형(乾燥模型)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a General Drying Model of Red Pepper)

  • 조용진;고학균;박재복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6권1호
    • /
    • pp.60-82
    • /
    • 1991
  • Drying process of red pepper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drying cost and quality of the end product. Recently, many studies on red pepper drying have been performed. Nevertheless, an optimum drying condition is not established yet. Drying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is much affected by drying factors such as variety and initial state of red pepper as well as by environmental drying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f drying air. Various varieties of red pepper are being cultivated and the initial state of red pepper at harvest is very ambiguous. For this reason, it is very costly and time-consuming to establish an optimum drying condition of red pepper by experiment. A general drying model to descirbe a drying process has not been developed due to diversity of drying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This study was, therefore, performed to develop a general drying model describing a drying process of red pepper.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basic model was established to develop an appropriate mositure content model and temperature model describing a drying process of red pepper, and the basic model was validated with experimental data. 2. The bone dry weight of fruit and mositure content were accepted satisfactorily as parameter to define the arbitrary red pepper. 3.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of red pepper was found out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variety of red pepper,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lso, the EMC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parameters of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bone dry weight of fruit. 4. A general drying model for red pepper was developed, parameters of which were expressed as the function of drying factors related with drying phenomena. The developed drying model was found out to describe well the drying process of red pepper.

  • PDF

Bulk tank milk의 품질평가를 위한 퍼지기반 추론 (Fuzzy reasoning for assessing bulk tank milk quality)

  • 김태운;정대유
    • 지능정보연구
    • /
    • 제10권3호
    • /
    • pp.39-57
    • /
    • 2004
  • 우유생산 농가에서는 그들 젖소의 우유를 저장하는 탱크 (bulk tank milk: BTM)로부터 채취된 샘플로부터 분석된 우유에 대한 품질관련 항목들, 즉 체세포 수 (somatic cell count: SCC), 표준 plate count (standard plate count: SPC), 사전 incubation count (preliminary incubation count: PIC) 등에 관한 정보를 정기적으로 제공 받는다. 이러한 정보는 일정기간 쌓이게 되면 우유의 품질을 유지하고 목장을 관리할 수 있는 중요한 지식 베이스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우유 품질이나 목장의 관리상태를 평가하는 기준은 모호하고 퍼지한 용어로 많이 표현되고 있다. 즉 우유 품질을 최상급, 상급, 중간, 불량으로 표시하거나 목장의 관리상태를 아주 양호, 양호, 미흡 등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퍼지이론에서의 모호한 상태를 표현하는 기준과 많이 부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BTM으로부터 추출한 샘플로부터 미생물학적 분석을 통해서 나온 결과를 이용해서 BTM의 품질과 목장의 관리상태에 대하여 추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퍼지추론엔진에 기초하여 퍼지로직 기반의 추론방법을 개발하고 실제 데이터를 이용해서 평가하였다. 입력 데이터로는 Bulk Tank SCC, SPC, PIC, laboratory pasteurization count (LPC), non agalactiae Streptococci, Streptococci like organisms, Staphylococcus aureus등이다. 이러한 입력자료에 근거하여 BTM의 품질상태를 아주 양호, 양호, cooling문제, 청결문제, 환경적 mastitis, 환경적/청결 복합문제로 분류하고, 낙농가로부터 채취한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론하였다. 본 퍼지 추론 결과는 낙농생산자, 컨설턴트, 수의사 등 관련 종사자들에게 의사결정을 위한 참고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도시공원에 식재된 왕벚나무 수종을 중심으로 한 수목활력도의 정량평가지표 개발 및 이론적 고찰에 관한 연구 (Indicators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ree Vigor Condition and Its Theoretical Implications : A Case Study of Japanese Flowering-cherry Trees in Urban Park)

  • 송영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7-67
    • /
    • 2014
  • The vigor condition of trees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the management of urban forested area. But difficulties in how to assess the tree vigor condition still remain. Previous efforts were limited in the 1) measurement of single indicator rather than using multiple indices, 2) purpose-oriented measurement such as for air-pollution effect or specific pathological symptom, and 3) ordinal-scale evaluations by field crews 4) despite human errors based on his/her experiences or prior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quantitative and objective methodology for assessing tree vigor condition, by measuring multiple modules and building the profile inventory. Furthermore,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chematic frames describing tree vigor condition. The vigor condition of 56 flowering cherry plants in urban park were assessed by in-situ measurements of following eight items; growth of crown(Gc), growth of shoots, individual tree volume(Vol), plant area index, woody area index, leaf area index, leaf chlorophyll content(Lc) and leaf water content(Lw). For validation, these measurements were compared with the ranks of holistic tree vigor condition, which were visually assessed using a 4-point grading scale based on the expert's knowledge. As a result, the measures of each evaluation item successfully highlighted a variety of aspects in tree vigor condition, including the states of both photosynthetic and non-photosynthetic parts. The variation in the results depending on evaluated parts was shown within an individual tree, even though the broad agreement among the results was fou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tested measurements and 4-point visual assessment, demonstrated that the state of water-stressed foliage of the season (Lw) or the development of plant materials since sapling phase (Vol) could be better viewed from the outer appearance of trees than other symptoms. But only based on the visual assessment, it may be difficult to detect the quality of photosynthesis (Lc) or the recent trend in growth of trees (Gc). To make this methodology simplified for the broad-scale application, the tested eight measurements could be integrated into two component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hich was labelled with 'the amount of plant materials' and 'vigor tren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use of these quantitative and multi-scale indicators underlies the importance of assessing various aspects of tree vigor condition, taking into account the response(s) on different time and spatial scale of pressure(s) shown in each evaluated module. Future study should be advanced for various species at diverse developing stages and environment, and the application to wide areas at a periodic m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