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litative urban development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시의 질적 발전을 위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이론적 탐색 (Theoretical Exploration of Social Sustainability for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Cities)

  • 송주연;임석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77-694
    • /
    • 2015
  • 이 논문의 목적은 도시 성장의 패러다임이 양적 성장에서 질적 발전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담론을 고찰하고 실천적 과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그간 한국의 도시성장은 질적인 발전을 외면한 채 양적 팽창에 중점을 두어왔고, 그 결과 총량적 부는 달성하였지만 도시 빈곤과 사회적 양극화, 복지와 삶의 질 악화 등 도시 내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하지 못한 문제들을 양산해왔다. 이에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형평성을 근간으로 도시민의 사회적 필요를 충족시키고, 사회적 발전이 지속되는 데 관심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시 발전의 불평등과 분배 문제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아울러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내발적 주체로서 도시민의 역량을 강화하고 거버넌스를 증진하는 기제가 될 수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에 관한 논의에서 출발한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서구 학계를 중심으로 점차 그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개념과 실천적 과제가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한편,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제도적 장치가 불비하다. 그럼에도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실천적 과제들은 오랜 기간 양적 성장 위주로 발전하면서 그 모순이 누적되어 온 한국 도시의 향후 발전 경로에 시사하는 점이 크다.

  • PD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lans of an Urban Park In the Landscape Ecological View

  • Ryu Yeun-Soo;Lee Kee-Cheol;Ra Jung-Hw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1-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rry ou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an urban park in the landscape ecological view and to provide the important basic data in the urban development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disposition distance analysis in quantitative plans, very necessary regions of the children park are turned out to be 24 sites, of the neighboring park are turned out to be 30 sites, and walking park are turned out to be 22 sites. Second, in the case of undevelopment neighborhood park analysis, priority orders are Daebong Park, Suseong Park Third, in the case of area, shape, and isolation in qualitative plans, interior area of Bummul park is larger than that of Chimsan park and isolation of Bummul park higher than that of Chimmsan.

  • PDF

도시공원의 양적·질적 평가를 통한 공원서비스 수준 분석 - 제주특별자치도 동지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Park Service Levels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Urban Parks - Dong area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 홍경아;임현우;박수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55
    • /
    • 2023
  • 도시공원은 도시 자연경관을 형성하고 도시민의 건강과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도시민의 정서생활 향상을 도모하는 도시계획 시설이다. 현재 도시공원은 국토 및 도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로 양적확보뿐만 아니라 질적 관리가 필요해지고 있으며, 수요자 중심으로의 시각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이 공원으로부터 받는 서비스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도시인구 수요에 맞게 양적 공급적정성을 분석하고, 조성된 공원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평가를 바탕으로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을 판단하였다. 도시공원의 양적 공급서비스 수준과 질적 평가 결과, 도시택지개발로 공원의 부지가 확보되고 최근에 공원이 조성된 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최근에 조성된 공원일수록 다양한 시설을 설치함으로써 공원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연구방법을 통해 도시공원 서비스 공급 시 양적·질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적용한다면, 더 효과적인 공원녹지계획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군지역 도시생활환경지표를 활용한 생활의 질 비교연구 - 전남 지역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the Quality of Life using the Life Environment Indicator - Focused on the Jeonnam Area -)

  • 김재원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47-56
    • /
    • 2016
  • Urban planning is the task to explore measures for bringing order to the change in urban space of future predicted in relation to the size and purpose of the land and a variety of facilities in cities in order to present the environment that can promot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residents, ensure orderly urban space of future, and create appropriate urban environment which meets the desire of citizens by anticipating the urban development on the basis of overall activities such as politics, economics, culture, etc, so that the improvement in urban life can be accomplished ultimatel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current conditions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ablishing policies pursuant to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plan and regional development, as well as respond to the needs of urban residents who need the improvement of settlement environment including various amenities for the convenience of life, by shifting away form the macroscopic and one-size-fits top-down approach of development so far and aiming a balanced development of national land in quest for welfare society and by utilizing the urban index as the basic prior task necessary for seeking the shift ind the direction of policies and setting the direction for policies on the basis of the top-down development approach which suits the anticipation and hope of local residents as the subject of development, considering the growing interest in the shift in the policie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this era of localization. Techniques for urban planning need to be applied, such as the prior planning and the following development, along with the support at the policy level for achieving the improvement in the related sector, in order to induce continuos urban deelopment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healthy and sound settlement environment, and furthermore, the efforts must be drven forward to improve the urban settlement environment while the urban planning and policies are established.

기후변화 대응시대의 도시개발방향과 시사점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 of Urban Development in the Age of Response Climate Change)

  • 오은열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33-3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개발의 실천적 실행을 위해서 기후위험요인 측면과 환경적인 측면으로 대별하여 도시개발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정성적인 자료조사와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기후위험요인에 따른 도시개발방향은 도시계획수립시 기후변화 영향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지역별 부문별 영향 및 취약성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자연재난에 대한 피해예방 시스템 구축과 자연재해 위험도 분석을 실시해 도시개발을 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환경적측면의 도시개발방향은 친환경적인 도시개발을 위해서는 도시계획수립시 대중교통지향적인 도시개발(TOD, Transit­oriented Development)의 추진이 지속가능하고 실행적인 도시개발을 실현하는데 그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방향은 보다 더 정량적이고 실증적인 규명을 위한 연구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종사상 지위분류에 따른 산업분포변화: 부산, 1994~2004 (The Change of Industrial Distribution Pattern by Worker Status Classification : Busan, 1994~2004)

  • 강인주;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11-121
    • /
    • 2007
  • 도시산업구조의 진단과 예측은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계획수립을 위한 주요한 과제이다. 지금까지의 산업관련 도시공간구조 연구들은 주로 도시산업체 자료나 총 종사자수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유형별 공간분포의 측정에 집중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비정규직 문제를 포함한 근로자의 종사상 지위가 중요한 이슈가 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읍면동 단위의 1994년 및 2004년 종사상 지위별 자료를 수집하고 동 변화자료를 기반으로 공간분석 단위를 일치시킨 후 GIS를 활용하여 종사상 지위분류체계 자료를 활용한 도시산업구조의 질적 변화를 공간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GIS환경에서 부산시 산업구조의 종사상지위 유형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노동집약적 산업이 한계에 부딪히고, 서비스업 및 도소매업은 영세한 생계형으로 진행되어 부산의 고용흡수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통계상으로는 종사자의 수가 증가하였으나 비정규직과 비임금 노동자가 급증하면서 부산지역 일자리의 질이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전통적인 도심지는 쇠퇴하는 반면 신도시나 신흥공업단지가 형성된 지역,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이 발달한 지역이 일자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발전의 근간이 되는 산업구조의 행태적 패턴 뿐 아니라 종사상지위라는 질적 평가를 통한 장기적 차원의 산업발전계획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 PDF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대구시 근린공원 질적 가치 형평성 (Qualitative Equity of Neighborhood Parks in Daegu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 정미정;정태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45-55
    • /
    • 2020
  • 환경정의의 관점에서 도시공원은 시민들에게 신체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어메니티 역할을 한다. 공정한 도시공원의 분배기준은 커뮤니티의 수요, 배경을 고려해 최대의 혜택을 나누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대구시 도시공원의 질적 공급 불균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원의 질적 수준 평가는 대구시 내 82개 근린생활권 및 도보권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NGST(Neighborhood Green Space Tool)를 통해 진행하였다. 사회경제적 지위 변수(기초생활 수급자 비율, 한부모 가족 비율, 평균 주택매매가, 노후주택비율, 인구 당 공원 면적)는 그 형평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를 통한 대구시 내 도시공원의 질적 형평성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시 내 공원계획은 지자체 정책보다 주거단지와 병행해서 진행된다. 중심에서 외연부로 뻗어나가는 외곽주택지구 개발은 대구시 내 주민들의 사회 경제적 지위를 양분화 하였다. 구도심에 있는 행정동은 상대적으로 오래되고 제대로 관리 받지 못한 공원들이 많았다. 둘째, 대구시 내 근린공원은 전반적으로 레크레이션 시설 부족 문제를 겪고 있었으며, 이는 공원을 둘러싼 주거의 가치에 영향을 받았다. 레크레이션 시설 점수가 낮을수록 공원의 지형구배가 높았고 신체활동의 제약을 받았다. 셋째, 대구시 공원의 양적 공급은 공원의 질적 가치와 관련이 없었다. 일인당 공원면적은 충분했으나, 시민들이 생활권 내에서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도시공원은 매우 적었기 때문에 질적 형평성을 나누는 기준이 될 수 없었다.

농촌마을의 비공식적 노인돌봄에 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n Informal Care for Rural Elderly by Neighbors in Korea)

  • 윤순덕;채혜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7-308
    • /
    • 2008
  • Previous research on elderly care in rural areas has focused on inter-generational support, ignoring the possibility of elderly care among community members in the rural areas of Korea.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roles and potentials of community-based elderly care in rural areas where nearby family or formal services are unavailable.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elderly in three Korean rural villages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Each village was studied as a separate case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elderly in each village were conducted. All interviews were tape-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for the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Reflective Qualitative Analytic Technique. Results showed that rural elderly in all three villages had lunch, talked, and played together; almost everyday in the winter. However, the nature of care among rural elderly vari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community (the traditional rural, the rural mixed with the urban, and the neighboring rural with the urban). Specifically, the use of mutual aids (providing food, repairing housing, and checking personal safety by telephone or visit, etc.) was most consistent at the traditional rural village. Because both the rural village mixed with the urban and the neighboring rural village with urban have better access to many aids and programs from formal institutions, mutual aids among community members decreased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rural village. However, regular group activities such as sports, dancing or debate help to provide pleasure and integrate the commun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munity relationships as a substitution for social support provide by family or formal services can be utilized in rural areas.

  • PDF

친환경적 도시건축계획을 위한 환경계획지표개발의 방향 (Development Guidelines of Environmental planning Indicator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Urban and Architectural Planning)

  • 장동민
    • KIEAE Journal
    • /
    • 제1권2호
    • /
    • pp.5-12
    • /
    • 2001
  • Through the harmony of natural and artificial systems a city is composed of, the ecology-oriented urban planning seeks for qualitative improvements of a city on which our life is based. To enhance the ecology-oriented urban planning,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by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 with Germany regarding the development process, the instrum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indicators for the planning. Firstly, though our national land development plan is closely connected with B-plan, it has little to do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Moreover, the natural environment plan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almost impossible to carry out in terms of urban construction work. For this reason, the instrument for dealing with th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plan systems together as well as the completion of the current plan system is needed for the ecologically acceptable urban development in the long term. Secondly, in order to realize what is mentioned above in the concrete it seems to be desirable for the system and the instrument to be devised at the extent of B-plan. The regulations of the plan should have strong legal binding force and practicality as well. The element of ecology-oriented urban planning are (1) degree of independence and appropriate density, (2) conservation of natural elements such as soil, water, animals and plants etc., (3) energy saving in land use, (4) activation of B-plan and inducement of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irdly, it will be useful to develop various kinds of indicators for the environment plan provided in advance so that the ecology-oriented urban developments may be under control. It also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 indicators are supposed to be comprehensive, representative, and practical enough to make the most of at the early stage of drawing up a plan. The kinds of indicators which can be used in the ecology-oriented urban development include (1) soil, (2) water, (3) vegetation and plants, (4) animals, (5) climate, and (6) transportation.

  • PDF

청소년 문제행동 완화를 위한 도시농업 체험활동의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 of Urban Agri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to Alleviat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 정남식;이용학;강은지;김용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3권3호
    • /
    • pp.271-28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urban agricultural practice on the factor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quantitative research, urban agricultural practice improves 16.7% of self-worth, reduces 28.1% of depression, and improves 19.4% of sociality, the factor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is confirmed in all lower measures. Second, as a result of measuring qualitative research, there are overwhelmingly many cases that most items change positively or are maintained in sentence completion test. Third, a positive change of mind in adolescent communication, cognitive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participation is confirmed through observation of program participation behavior. It is significant for this study to confirm that urban agricultural experiential activ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factor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nd to verify educational effects and social values of urban agricultural practice including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urban agricultural program to solve youth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