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adrat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7초

Vegetation and water characteristics of floating mat in a coastal lagoon as the habitat for endangered plant species

  • Hong, Mun Gi;Nam, Bo Eun;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220-227
    • /
    • 2018
  • Background: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oating mat in which endangered species of Iris laevigata and Menyanthes trifoliata inhabit, we surveyed the vegetation and water environments of a floating mat wetland and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t. Results: Although Phragmites australis and Zizania latifolia were found at all experimental quadrats (n = 61) as the major vegetational components of the floating mat wetland, they showed relatively poor growth performances in terms of shoot height (< 2 m) and biomass production (<$300g/m^2$) compared with those in soil-based wetlands because of oligotrophic water condition. The competitiveness and distribution of P. australis and Z. latifolia seemed to be determined by water level difference by micro-topography rather than water chemistry. Conclusion: P. australis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mainly occurred in the area of relatively shallow water, whereas Z. latifolia and deep-water species such as Scirpus fluviatilis mostly inhabit in the area of deep water on the floating mat. Continuously maintained water level and oligotrophic water condition in the floating mat appeared to be important environments for endangered species such as I. laevigata and M. trifoliata.

제주도에서 팔색조 번식지 특성에 따른 지렁이 밀도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ies on Earthworm Density by Breeding Place Characteristics of Fairy Pitta on Jeju Island)

  • 김은미;최형순;강창완;민동원;양은정;오미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3-49
    • /
    • 2014
  • Fairy Pittas use the forest around the valley and Gotjawal as breeding places.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earthworms, specifically its population density, body size around the breeding site in Gotjawal and the forest around the valley areas from the middle of July to the end of July 2013. A total of 405 individual earthworms were collected in the 100 small established quadrats, in which 315 were found in Gotjawal and 90 were found in the forest around the valley area. The density of earthworms in Gotjawal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at forest around the valley area.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body size of earthworm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otjawal and the forest around the valley area. Proportion of number of individuals which are larger than 7cm in body size was 43%(n=135) in Gotjawal and 84%(n=76) in the forest around the valley area, respectively. Soil area was not important factor to the density of earthworms. We suggest that Gotjawal can be considered as a suitable breeding site for Fairy Pitta because of the richness of its primary food in this area.

안산 간척 습지의 식생 생태적 특성 및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Ansan Reclaimed Wetlands)

  • 김기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8-335
    • /
    • 2007
  • 대표적인 간척 습지인 경기도 안산 농어촌연구원 배후 습지에서 식물상과 현존식생 현황을 조사하였다. 방형구내에서 출현종의 피도와 빈도를 측정하여 중요도를 계산하고 총질소, 전기전도도, 유효인, 질산태 질소, 도로에서의 거리를 환경 인자로 하여 서열분석(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육상 천이로의 진행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서 습지내로 침입한 목본의 기저면적을 산출하였다. 조사 결과, 46과 158종의 식물이 기록되었고, 현존 식생으로 갈대가 우점하였다. 서열분석 결과, 종의 분포는 토양내 총질소와 질산태 질소함량에 의해서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기저면적이 $22.3m^2$$1.6m^2$인 아까시나무와 리기다소나무가 습지내부로 침입하여 일부 지역이 육상화되는 교란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수위 조절과 이동 도로에 의한 구획화가 습지를 훼손하는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조절이 필요함이 제안되었다.

비탈면의 생태복원을 위한 연속섬유보강토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a Continuous Fiber Soil Reinforcement System to Revegetate a Cut Slope)

  • 고정현;허영진;이용구;김남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73-83
    • /
    • 2010
  • A technology using continuous fiber soil reinforcement system for the creation of ecological restoration in a damaged area has been developed and introduced. The continuous fiber soil reinforcement system (Geofiber system)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lope protection technique that continuous fiber soil reinforced layers are constructed with green plantation on cut slop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ystem in terms of the strength and hydraulic performance, and the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main objectives of this comparative study was to quantify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geofiber system for the revegetation on the cut slope in a damaged area. A Geofiber system was constructed to reinforce the lower layer of slopes and revegetation methods including wood chips were carried out on the upper layer by machineries. The results of monitoring during 3 years on cut slopes were as follows : 1) All the quadrat existed in the proper range for vegetation. 2) Species richness was 4.4 (site-1) and 18.5 (site-2) respectively. 3) The averaged coverage rates of quadrats was 90%. It is remarkable that the continuous fiber soil reinforcement system would be capable of applying to a damaged area and also would serve maintaining a healthier environment for floras. However, it behooves to continue monitoring on succession of veget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백두대간 댓재에서 백봉령구간 마루금의 식물군집구조 특성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Daetjae(hill)~Baekbongryung(ridge), the Baekdudaegan Mountains)

  • 이수동;홍석환;김지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19-729
    • /
    • 2012
  • 백두대간은 남한구간만 약 670km로 전체 지역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기는 어려워 각 지역에 대한 상세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백두대간 구간 중 댓재에서 백봉령구간의 식생구조를 밝히고 향후 복원 및 관리계획 수립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마루금을 중심으로 $10m{\times}10m(100m^2)$ 조사구 40개소를 설치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집분류 결과 구상나무군집, 소나무 우점군집, 신갈나무 우점군집, 일본잎갈나무 우점군집 등 8개로 유형화되었다. 구상나무군집과 소나무군집은 신갈나무와의 경쟁을 회피할 수 있는 능선부 또는 암반지대에 분포하였으나 낙엽활엽수와의 경쟁으로 쇠퇴할 가능성이 높아 보호의 필요성이 있었다. 단위면적당($400m^2$) 종다양도는 0.8046~1.1283이었으며 단일종 우점군집이 낮고 경쟁상태인 군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층위구조가 형성된 보호가치가 있는 숲이었다.

우리 나라 서해안 지역의 곰솔나무림의 생태학적 연구 -태안해안(泰安海岸) 국립공원(國立公園)을 중심으로- (Ecological Study of the Pinus thunbergii Forests on the western Seacoast of Korea -Taean Haean National Park-)

  • 송호경;장규관;오동훈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11-15
    • /
    • 1997
  • 태안해안(泰安海岸) 국립공원(國立公園) 지역의 곰솔나무림의 생태적인 특징을 밝히기 위하여 1996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relev{\acute{e}}$ method에 의하여 33개소를 선정하고 $10m{\times}10m$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지역에서 중요치(重要値)가 높은 종(種)은 곰솔, 떡갈나무, 아까시나무, 굴피나무, 소사나무, 자귀나무, 중공솔, 졸참나무 등(等)의 순(順)이다. 2. 곰솔의 재적 성장률은 0.6%~10.5%로 평균 3.8%이었다. 3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pH는 4.8~6.3, 유기물함량은 1.51~11.79%, 유효인산은 2.5~14.5ppm, 치환성 Ca, Mg, K는 각각 1.3~6.6, 0.4~2.6, 0.23~1.89(me/100g)이다.

  • PDF

남해안 돌산도의 해조 II 조하대 해조군락의 구조 (Benthic Marine Algal of Dolsan-Islan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I Structure of Algal Communities of Subtidal Zone)

  • 손철현;이인규;강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9-388
    • /
    • 1983
  • 본 조사는 전남 여천군 돌산읍 죽포리 두문포의 조하대 해조군락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1982년 6월 부터 1983년 5월 까지 연간 계절별로 SCUBA 잠수에 의해 채집된 자료를 분석하므로 수행되었다. 조하대의 수직분포는 sheltered 지역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상부, 중부, 하부의 3개 구역으로 나누어지며, 상부는 Ulva pertusa, Codium fragile, Chondria crassicaulis, Gigartina tenera의 녹조, 홍조류, 중부는 Myagropsis myagroides와 Sargassum tortile의 대형갈조류, 하부는 Plocamium telfairiae, Callophyllis japonica, Symphyocladia linearis의 홍조류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Normal association analysis를 통한 군락분석결과 이 지역 해조군락은 9개의 group으로 나누어지고, 각 group의 우점종은 각각 Sargassum tortile, Myagropsis myagroides, Chondrin crassicaulis, Codium fragile, Pterocladia tenuis, Gigartina tenera, Gracilaria textorii등이었고 이 지역의 해중림을 조성하는 대표적 종은 Myagropsis myagroides와 Sargassum tortile 이었다. 한편, Myagropsis myagroides의 현존량은 $50{\times}50cm$당 봄철에 5,248g, 여름에는 650.4g, 가을에는747.6g이었고, 평균체장은 봄부터 가을까지 계절별로 각각 169.9cm, 48,4cm, 149.9cm여서 생식이 끝난 직후인 봄철에 최고치를 나타내고 소멸기인 여름에 최소치를 나타냈다.

  • PDF

낙동강의 하천환경과 식생분포특성의 상관성 조사연구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Riparian Environment and Vegetation Distribution in Nakdong River)

  • 김은진;조강현;강준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4호
    • /
    • pp.321-330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를 대표하는 모래하천 낙동강에서 하안식생의 분포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경상북도 안동시의 낙동강 일대에서 자연제방 5곳을 실험구간으로 선정하고 84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식물상, 식생피도, 평수위기준상대고도, 토양의 수분함량, 유기물함량, pH, 전기전도도 및 토성분석을 실시하였다. 식생단면조사의 피도값과 환경자료를 바탕으로 정준대응분석(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각 식물종은 평수위기준상대고도, 유기물함량, 모래함량 등에 의하여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하천의 식생분포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환경인자는 평수위기준상대고도로 나타났다.

주왕산지역 계곡부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Chuwangsan Area)

  • 박인협;문광선;류석봉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4-159
    • /
    • 1995
  • 주왕산지역 금은광이-주왕계곡에 이르는 계곡부(해발 470~780m)의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산림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라 48개 조사구를 설치조사하였다. 해발고가 높아질수록 교목층 밀도와 흉고단면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수종은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소나무, 생강나무 등이었다. 사면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굴참나무, 생강나무 둥이었으며 감소하는 수종은 물푸레나무, 고로쇠나무 등이었다. 종다양도는 계곡상부와 사면하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계곡정부를 제외한 해발고대간 유사도지수는 74.4~84.2%, 사면부위별 유사도지수는 68.0~96.3%로써 해발고보다 사면부위에 따른 종구성 상태의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별 중요치에 의하여 cluster 분석한 결과 사면하부의 소나무-낙엽활엽수군집, 사면중, 상부의 소나무-굴참나무군집, 계곡정부의 소나무군집으로 구분되었다.

  • PDF

강원도 신갈나무 군락의 우점도 다양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Dominance-Diversity on Quercus mongolica Forests in Kangwon-do)

  • 장규관;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0-165
    • /
    • 1997
  • 본 연구는 강원도 오대산, 점봉산, 중왕산 지역의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우점도 다양성 지수를 조사하였다. 신갈나무 군락은 종다양도 지수가 0.4~1.2, 종풍부도 지수가 2~11, 균재도 지수가 0.6~0.9로 어느 한 값에 치우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비교적 안정된 상태의 것으로 판단된다. 종서열 중요치 곡선은 모든 군락에서 대수정규분포에 접근하고 있으며, 비교적 기울기가 완만하였다. 그리고 신갈나무-생강나무 군락의 기울기가 비교적 급하게 나타나 균등성이 낮았으며, 신갈나무-까치박달나무 군락의 종서열 중요치 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하게 나타나 균등성이 높고 군락의 안정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