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loric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7초

랫드에서 스트레스에 의한 위궤양이 위발암화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Stress-Induced Gastric Ulcer on Gastric Carcinogenesis in Rats treated with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 이종권;김형진;이영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7-40
    • /
    • 1991
  • 랫드에서 속박 및 침수 스트레스에 의한 위궤양이 MNNG(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의 위발암과정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 하였다. 1 군은 시험시작 8시간 전에 스트레스를 가한 후 MNNG를 투여하였으며, 2군은 MNNG를 음수 투여한 후 MNNG에 의한 위발암 기간 중 촉진기간이라고 알려진 3~12주 사이에 매주 발암 물질과 함께 스트레스를 1회 가하였다. 3군은 양성 대조군으로서 MNNG만을 투여하였고, 4군은 음성 대조군으로 발암제를 처치하지 않았다. 전군 공히 20주에 부검하여 acidine-biotin peroxidase complex(ABC) 방법으로 면역조직 화학적 염색을 한 수 PAPG({Pepsinogen isozyme 1 Altered Pyloric Gland)에 대한 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각 군간의 체중 변화와 병리 변화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암 물질을 투여한 1·2·3군이 비투여군(4군)에 비해 증체율이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p<0.05), 그러나 발암 물질 투여군간의 체중변화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2. MNNG 투여와 함께 스트레스를 가한 군이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고 MNNG만을 투여한 군에 비하여 Pg 1 변이 유문선(PAPG)의 수가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 (p<0.01). 3. 위발암 과정 중 촉진기간에 스트레스를 가한 군이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고 MNNG만을 투여한 군에 비해 점막 과형성(mucosal hyperplasia) 발생이 유의성있게 증가되었다. (P<0.05)

  • PDF

한방치료가 위 미주신경 활성 저하와 유문부 기능 장애가 병발된 기능 소화불량중 환자에 미치는 선택적 효능 (A Selective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of Electroacupuncture at Zusanli(ST36), Manual Acupuncture, and Pyengwi-san in Function Dyspepsia Patients with Pyloric Valve Disturbance and Hypoactivity of Gastric Vagus Nerve)

  • 김소연;윤상협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1-199
    • /
    • 2009
  • 목 적 : 위 미주신경 활성 저하와 유문부 기능 장애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전침 및 한약의 복합처치 치료가 이 두가지 면에서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 법 : 장음검사상 위 미주신경 활성 저하와 유문부 기능 장애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장음 지표 변화를 비교하였다. 장음지표는 % of bowel sound (%BS)와 주 주파수(dominant frequency, DF)를 사용하였으며, %BS(6인 경우를 위 미주신경 활성저하 DF ratio(식후/식 전)<1를 유문부 기능장애로 평가하였다. 환자들에게 2주간 족삼리전 침과 체침이 매일 시술되었으며 평위산 전탕액이 하루 3회 투여되었다. 결 과 : 2주간의 치료 후 DF ratio는 $0.93\pm0.06$에서 $1.06\pm0.04$으로 유의성있게 증가했으며, 10명 중 9명의 환자가 DF ratio>1의 정상치로 회복되었다. %BS 역시 $2.97\pm1.17%$에서 4.27%로 증가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며, 3명의 환자에서 %BS가 6이상으로 정상회복되었다. 결 론 : 위 미주신경 활성 저하와 유문부 기능 장애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 대한 족삼리 전침과 일반 체침, 평위산의 치료는 미주신경 활성 저하보다는 유문부 기능 장애에 더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소화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 (Morphology and Histology of the Digestive Tract of the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 이정식;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42-648
    • /
    • 1999
  •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소화관은 식도, 위, 장, 항문 그리고 위의 유문부 말단에서 유래한 4$\~$5개의 맹낭 형태인 유문수로 이루어져 있었다 어체 체장에 대한 식도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 길이의 비 (RLG: relative length of gut)는 1.04(n=10)였다. 소화관의 조직층은 장막, 근육층, 점막하층, 점막층으로 구성되는데, 점막하층의 발달은 전체적으로 매우 미약했다. 식도 점막주름의 형태는 규칙적인 분지형이었으며, 점막근층은 아주 잘 발달되어 있었다. 점막상피층은 입방형 또는 원주형 상피세포와 점액분비세포로 구성되며, 상피세포의 자유면에서 미세융모의 관찰은 어렵다. 위점막주름의 형태는 규칙적인 미분지형이며, 위의 근육충과 점막근층은 잘 발달되어 있었다. 점막충의 표면상피에서는 미세융모가 관찰되며, 위선과 분비과립은 체부에서 가장 잘 발달되어 있었다 유문수와 장의 점막주름은 불규칙한 분지형이다 장은 점막주름의 길이와 조직학적인 특징에 의해 전장부, 중장부, 후장부의 구분이 가능하였다. 유문수와 장의 선조연과 배상세포는 후장부에서, 영양분흡수세포는 중장부에서 가장 발달된 양상을 보였다.

  • PDF

다람쥐 소화관의 내분비세포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f Endocrine Cells on the Squirrel's Gastrointestinal Tract)

  • 이형식;이재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30
    • /
    • 1986
  • Endocrine cells were observe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squirrels by light microscopy using Grimelius and Masson-Hamperl silver impregnation, and in the stomach and duodenum by electron microscopy. Light microscopically, argyrophil cell decreased gradually in number in the pyloric region and ileum, stomach, duodenum and jejunum and rectum in the order listed. Argentaffin cells were moderately distributed in the stomach, pyloric region and duodenum, while absent in the jejunum, ileum and rectum. Five kinds of cell types, EC, ECL, D, $D_1$ and G cells were identified in the stomach and three kinds of cell types, S, $EC_1$ and $EC_2$ were also identified in the duodenum by electron microscopy. A cilium noted in the cytoplasm of $D_1$-type cell. The species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size and structure of the secretory granules were discussed.

  • PDF

Capsaicin, Allyl Sulfide, Indole-3-Carbinol 및 Germanium의 MNNG 유발랫트 펩시노젠 1변이 위 유문선 발현 수식효과 (Modifying Effects of Capsaicin, Allyl Sulfide, Indole-3-Carbinol and Germanium on the Induction of Pepsinogen 1 Altered Pyloric Glands in Rats Initiated with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 장자준;조경자;김성호;이선주;명나희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7-55
    • /
    • 1989
  • Quantitative analyses were made of pepsinogen 1 (Pg 1) decreased pyloric glands after treating male Wistar rats with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and NaCl and then with various test chemicals. Animals received MNNG in drinking water (100ng/ml) and 10% NaCl in diet for 8 weeks (group1), followed by basal diet containing 0.01% capsaicin, 0.5% allyl sulfide, 0.5% indole-3-carbinol and 0.05% germanium until 20 weeks (groups 2-5).

  • PDF

개에서 발생한 위확장-염전증후군의 방사선학적 진단 (Radiographic Diagnosis of Canine Gastric Dilatation-volvulus Syndrome)

  • 김상기;이채용;오기석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83-387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describe the radiographic patterns of canine gastric dilatation-volvulus syndrome derived from a case. Radiographs showed the presence of a large amount of gas, fluid and ingesta within the stomach. The gas-filled pyloric antrum was present in the left cranial abdomen in the ventrodorsal view, and located dorsal and slightly cranial to the gas-filled fundus of the stomach in the right lateral recumbent and standing lateral view. On the right lateral recumbent view, the gas-filled stomach was compartmentalized by a soft-tissue dense band caused by the pyloric antral wall folding back and contacting the fundic wall. It was thought that the gastric volvulus in this case occurred In a clock. wise direction by radiographic findings.

  • PDF

산전진단된 위중복증 - 증례 보고- (Prenatally Diagnosed Gastric Duplication - Case report -)

  • 강기관;홍정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35-40
    • /
    • 2012
  • Gastric duplication is a rare anomaly which account for only 3.8% of all gastrointestinal duplication. Gastric duplications are usually cystic lesion without communication with lumen. Most frequent presentation is an abdominal mass with vomiting, mainly diagnosed within the first year of life. Surgical removal is necessary in all cases, and optimal timing for surgery is the time that diagnosis is made. However, prenatally diagnosed gastric duplication is getting more common, and determining timing for surgery is not easy due to absent or minimal symptoms just after birth. We experienced prenatally diagnosed gastric duplication in a female newborn baby that gastric duplication was suggested in $24^{th}$ week of gestational age through prenatal ultrasonogram. Surgical removal was done at 3 months after birth, and showed good results. We think that natural history of gastric duplication and prevalent age of surgical disease which is similar to gastric duplication such infantile hypertrophic pyloric stenosis should be considered when timing of surgery on prenatally gastric duplication is decided.

  • PDF

담즙 역류가 동반된 위 운동성 장애의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대한 한방치료 경험 2례 (Two Cases of Korean Traditional Treatment of Functional Dyspepsia of Gastric Dysmotility Complicated by Bile Juice Reflux)

  • 윤상협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162-1171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herapeutic effects of a traditional Korean treatment on the symptom improvement and loss of bile juice in cases of functional dyspepsia of gastric dysmotility complicated by bile juice reflux. Methods: Dyspeptic symptoms, gastric motility (electrogastrography and bowel sound analysis), and gastric mucosa (gastroendoscopy) were evaluated. The treatment consisted of Banwhasashim-tang (extract) used as a herbal drug. Both ST36 electrical stimulation and simple immersion stimulation of CV11, 12, and 13 in the abdomen were also applied. Results: Dyspeptic symptoms, including a foreign body sensation in the throat, indigestion, and upper abdominal pain, were all relieved by the treatment and gastric myoelectrical activity and gastric pyloric function were improved. Bile juice disappeared from the gastric mucosa. Conclusion: The traditional Korean treatment was effective at relieving dyspeptic symptoms and bile juice reflux by improving the pyloric sphincter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