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nching shear failure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2초

온태리오형 교량상판의 거동에 관한 연구 (사교의 경우) (Behavlor of Ontarlo-Type Skew Bridge Decks)

  • 김긍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1-108
    • /
    • 1990
  • 사교의 경우에 있어서 온태리오형 상판의 거동에 대하여 실험 및 해석적으로 연구하였다. 텍사스주에서 수정 제안된 온태리오형 상판의 상세에 따라 실물크기 모형을 제작하여 상판의 양단부와 중앙에서 상판이 파괴될 때까지 수행하였다. 실험모형은 현행 AASHO 설계하중에서 뿐만 아니라 설계하중의 3배에 달하는 초과하중에서도 만족스러운 거동을 하였다. 상판의 양단부는 전단, 중앙부는 펀칭전단에 의하여 파괴되었으며 실제파괴강도는 아치현상을 고려하여 계산한 휨파괴강도보다 휠씬 작았다. 실험결과를 예측하고 다른 경우에 대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석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실험결과와 매우 근사한 해석결과를 얻었다.

Steel Strap으로 횡구속된 무철근 바닥판의 정적 및 피로거동 특성 연구 (A Study on Static and Fatigue Behavior of Restrained Concrete Decks without Rebar by Steel Strap)

  • 조병완;김철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137-147
    • /
    • 2012
  • 무철근 교량 바닥판은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을 없애고 거더를 Strap으로 횡구속시켜 Arching action을 극대화시킨 교량 바닥판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철근 바닥판의 균열제어를 목적으로 FRP bar의 배치량을 변수로 하여 내하력과 균열, 연성도, 파괴시 응력수준 등을 판단하여 FRP bar 최소 배치량을 제시하였다. 실험결과 Steel strap 무철근 바닥판은 최소 0.15% FRP 보강근만 배치하여도 내하력과 연성이 확연히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FRP bar를 보강한 무철근 바닥판에 대하여 피로실험을 수행하였으며 200만회 반복하중 재하후 균열, 잔류 처짐 등에서 장기 사용성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교량 바닥판은 대체로 펀칭전단 파괴를 하며 2방향 슬래브의 전단강도식을 적용할 수 있으나 ACI, AASHTO 등에서는 바닥판의 비선형 파괴형상과 횡구속에 의한 Arching 효과를 명확히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파괴강도보다 과소평가 한다. 본 연구에서는 Steel strap 바닥판의 실제 파괴형상과 Strap에 의한 횡구속도를 고려한 펀칭전단강도식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실험결과와도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Soil and ribbed concrete slab interface modeling using large shear box and 3D FEM

  • Qian, Jian-Gu;Gao, Qian;Xue, Jian-feng;Chen, Hong-Wei;Huang, Mao-So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2권2호
    • /
    • pp.295-312
    • /
    • 2017
  • Cast in situ and grouted concrete helical piles with 150-200 mm diameter half cylindrical ribs have become an economical and effective choice in Shanghai, China for uplift piles in deep soft soils. Though this type of pile has been successful used in practice, the reinforcing mechanism and the contribution of the ribs to the total resistance is not clear, and there is no clear guideline for the design of such piles. To study the inclusion of ribs to the contribution of shear resistance, the shear behaviour between silty sand and concrete slabs with parallel ribs at different spacing and angles were tested in a large direct shear box ($600mm{\times}400mm{\times}200mm$). The front panels of the shear box are detachable to observe the soil deformation after the test. The tests were modelled with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in ABAQUS. It was found that, passive zones can be developed ahead of the ribs to form undulated failure surfaces. The shear resistance and failure mode are affected by the ratio of rib spacing to rib diameter. Based on the shape and continuity of the failure zones at the interface, the failure modes at the interface can be classified as "punching", "local" or "general" shear failure respectively. With the inclusion of the ribs, the pull out resistance can increase up to 17%. The optimum rib spacing to rib diameter ratio was found to be around 7 based on the observed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numerical modelling.

말뚝지지성토지반 내 지반아칭이 발달할 수 있는 한계성토고의 평가 (Estimation of Critical Height of Embankment to Mobilize Soil Arching in Pile-supported Embankment)

  • 홍원표;홍성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11호
    • /
    • pp.89-98
    • /
    • 2010
  • 성토지지말뚝시스템을 적용하여 연약지반 상에 성토를 설계 시공하고자 할 경우 말뚝지지 성토지반 내에 지반아칭이 발달할 수 있도록 한계성토고를 설계하는 방법이 마련되었다. 먼저 말뚝캡보의 간격이 비교적 넓은 경우를 대상으로 일련의 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성토단계에 따른 성토하중의 하중전이거동을 조사하고 성토지반 속에 지반아칭이 충분히 발달되기 시작할 때의 성토고를 실험적으로 관찰하였다. 모형실험결과, 하중전이거동은 말뚝지지성토지반 내에 지반아칭이 발달될 수 있느냐 여부를 결정지을 수 있는 성토고에 영향을 많이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저성토단계에서는 성토지반 속에 지반아칭이 아직 발달되지 못한 관계로 펀칭전단파괴모드에 의하여 성토하중이 말뚝캡보에 하중전이가 진행되었고 고성토단계에서는 지반아칭이 발달하여 지반아칭파괴모드에 의하여 하중전이가 진행되었다. 이들 저성토단계와 고성토단계에서 측정된 연직하중의 실험치는 각각의 파괴모드에 의한 하중전이 메커니즘에 근거하여 이전 연구에서 유도 제시된 이론식들로 산정된 예측치와 좋은 일치를 보였다. 또한 모형실험결과 저성토단계의 펀칭전단파괴모드에 의한 하중전이 메커니즘에서 고성토단계의 지반아칭파괴모드에 의한 하중전이 메커니즘으로 변화하는 시점의 한계성토고가 존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성토지반 속에 지반아칭을 충분히 발달시키려면 성토를 이 한계성토고 보다 높게 설계 시공하여야 함을 알았다. 또한 펀칭전단과 지반아칭에 의한 하중전이 메커니즘에 의거 유도 제안되었던 전이하중 산정 이론식을 같게 놓음으로서 한계성토고를 산정할 수 있는 이론식을 유도할 수 있었고 이 이론식으로 한계성토고의 실험치를 잘 예측할 수 있었다.

래티스 철근을 이용한 무량판-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 (Shear Reinforcement for Flat Plate-Column Connections Using Lattice Bars)

  • 안경수;박홍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91-200
    • /
    • 2005
  • 무량판 구조의 슬래브-기둥 접합부는 취성적인 전단유형으로 파괴되며, 이는 전 구조물의 붕괴를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전단보강방법으로서 래티스 철근을 이용한 전단보강방법을 개발하였다. 실험연구를 실시하여 래티스 전단보강 실험체와 무보강 실험체의 접합부 전단강도 및 연성도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래티스 철근으로 전단보강한 실험체는 전단보강하지 않은 실험체에 비해 평균적으로 강도면에서 1.37배, 연성도면에서 9.16배 증가하였다. 이는 래티스 철근이 무량판 구조의 전단보강재로서 전단강도와 연성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보강방법임을 입증하고 있으며, 현재 미국에서 접합부 전단보강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터드레일 전단보강보다 연성능력이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래티스전단보강의 강도평가방법을 개발하였다.

말뚝으로 지지된 성토지반 내 펀칭전단파괴 (Punching Shear Failure in Pile-Supported Embankments)

  • 홍원표;송제상;홍성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5-45
    • /
    • 2010
  • 말뚝으로 지지된 성토지반 내에 발달되는 펀칭전단현상에 의하여 성토하중이 말뚝에 전이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성토지반 속에 발달하는 펀칭전단파괴의 기하학적형상에 근거하여 이론해석을 실시하였고 말뚝으로 전이되는 성토하중의 크기를 예측할 수 있는 이론식을 제안하였다. 이 이론식에는 말뚝캡보로의 하중전이 메커니즘에 영향을 주는 여러 매개변수가 포함되어 있다. 이 이론식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일련의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실험은 말뚝캡보폭이 좁은 경우와 넓은 경우의 두 종류의 캡보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모래성토는 7단계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실시하였으며 매 성토단계에서의 재하시간은 장기재하방식과 단기재하방식의 두 가지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장기재하방식은 매 성토단계에서의 히중재하시간을 24시간으로 하였고 단기재하방식은 하중재하시간을 2시간으로 하였다. 이들 모든 모형 실험에서 측정된 연직하중의 측정값은 제안된 이론식에 의거 산정된 예측치와 잘 일치하였다. 또한 이 이론식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성토지지말뚝이 시공된 한 현장의 계측결과와 이론치를 비교 검토하여 보았다. 이 현장에서는 캡보 사이의 간격을 너무 넓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성토지반 내에 지반아칭이 발달하기가 어려워 펀칭파괴가 발달하였을 것이 예상되는 현장이었다. 결국 이 이론식으로 예측된 연직하중은 이 현장에서 측정된 현장계측 결과와도 잘 일치하였다.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을 위한 래티스 전단보강 (Lattice Shear Reinforcement for Earthquake-Resistance of Slab-Column Connection.)

  • 김유니;박홍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26-29
    • /
    • 2006
  • A flat plate-column connection is susceptible to brittle punching shear failure, which may result in the necessity of shear reinforcement. In present study, experimental tests were performed to study the capacity of slab-column connections strengthened with lattice, stud rail, shear band and stirrup under gravity and cyclic lateral load. Among them, the capacity of the specimens with lattice are superior to the others due to the truss action of the lattice bars and dowel action of the longitudinal bars as well as the shear resistance of the web re-bar. On the other hand, the strengths of the specimens with stud rail, shear band and stirrup are lower than the estimated strength by the ACI, therefore design formulas of the ACI are needed to revise.

  • PDF

철근콘크리트 무량판 슬래브의 수직걸림형 전단보강재의 수평하중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Lateral Load of Vertically Suspended Shear Reinforcement for Reinforced Concrete Flat Plate slab)

  • 우종열;김재웅;유충근;강수민;이병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8-79
    • /
    • 2014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VS shear reinforcement that it can be installed easily in filed as product at the factory and seismic performance can be achieved. The method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researched constructability and economy of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Secondly, we made specimen and were examined structural performance tests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shear reinforcement for lateral force like seismic load. As a result, developed VS shear reinforcement increased in shear strength and stiffness of reinforcement, structural safety is judged to be increased.

  • PDF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mechanical performance of different types of girdling beams used to elevate bridges

  • Fangyuan Li;Wenhao Li;Peifeng Wu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5권4호
    • /
    • pp.563-571
    • /
    • 2023
  • Girdling underpinning joints are key areas of concern for the pier-cutting bridge-lifting process. In this study, five specimens of an underpinning joint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spective column, the process used to treat the beam-column interface (BCI), and the casting process. These specimens were subsequently analyzed through static failure tests. The BCI was found to be the weakest area of the joint, and the specimens containing a BCI underwent punching shear failure. The top of the girdling beam (GB) was subjected to a circumferential tensile force during slippage failure. Compared to the specimens with a smooth BCI, the specimens subjected to chiseling exhibited more pronounced circumferential compression at the BCI, which in turn considerably increased the shear capacity of the BCI and the ductility of the structure. The GB for the specimens containing a colum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exhibited better shear mechanical properties than the GB of other specimens. The BCI in specimens containing a colum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was more ductile during failure than that in specimens containing a column with a square cross-section.

고강도 폴리머 모르타르 및 탄소섬유 봉(Rod)으로 보강된 교량 바닥판의 보강성능 (Strengthening Capacity of Bridge Deck Strengthened with Carbon Fiber Rod and Polymer Mortar)

  • 심종성;문도영;주민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13-220
    • /
    • 2004
  • 본 논문은 신공법인 carbon fiber rod로 보강된 교량 바닥판의 정적 및 피로성능개선 효과에 대한 것이다. 이 연구의 실험에서 적용된 보강변수는 등방성 및 이방성 보강이며, 보강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보강된 바닥판 시험체에 대해 정적 및 피로실험을 실시하여 그에 따른 내하성능, 균열 및 파괴양상 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보강된 모든 시험체가 증설된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와의 계면이 조기에 탈락하여 펀칭전단 파괴되는 양상을 보였다. 보강성능을 살펴보면, CFR로 보강된 바닥판은 무보강 시험체에 비해 극한강도, 강성, 피로수명 등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강형식 측면에서는, 이방성 보강(CR-UE)이 등방성 보강(CR-E)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