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mpkin fiber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초

Effects of Pumpkin (Cucurbita maxima Duch.) Fiber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cken Frankfurters

  • Choi, Yun-Sang;Kim, Hyun-Wook;Hwang, Ko-Eun;Song, Dong-Heon;Park, Jae-Hyun;Lee, Soo-Yeon;Choi, Min-Sung;Choi, Ji-Hun;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4-183
    • /
    • 2012
  • The effects of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pumpkin (pumpkin fiber)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cken frankfurters were investigated. Chicken frankfurter was supplemented with pumpkin fiber at levels of 0, 1, 2, 3, and 4%. Adding different levels of pumpkin fiber affected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chicken frankfurters (p<0.05), except for protein content. In addition of different levels of pumpkin fiber influenced the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the chicken frankfurters (p<0.05). The yellowness, viscosity, and hardness were higher in chicken frankfurters samples containing pumpkin fiber than those in the control (p<0.05). The results showed that chicken frankfurter samples with higher pumpkin fiber levels had lower lightness values (p<0.05), as well as less cooking loss, emulsion stability, and lower color scores (p<0.05) compared to those control without pumpkin fiber treatment. The chicken frankfurters with 2% and 3% pumpkin fiber had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The results show that adding pumpkin fiber produced acceptable chicken frankfurters and improved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Effects of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Pumpkin (Cucurbita maxima Duch.)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educed-Fat Frankfurters

  • Kim, Cheon-Jei;Kim, Hyun-Wook;Hwang, Ko-Eun;Song, Dong-Heon;Ham, Youn-Kyung;Choi, Ji-Hun;Kim, Young-Boong;Choi, Yun-S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09-318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ducing fat levels from 30% to 25, 20, and 15% by substituting pork fat with water and pumpkin fiber (2%) on the quality of frankfurters compared with control. Decreasing the fat concentration from 30% to 15% significantly increased moisture content, redness of meat batter and frankfurter, cooking loss, and water exudation, and decreased fat content, energy value, pH, and lightness of meat batter and frankfurter,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and apparent viscosity. The addition of 2% pumpkin fib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moisture content, yellowness of meat batter and frankfurter,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and apparent viscosity, whereas reduced cooking loss and emulsion stability. The treatment of reduced-fat frankfurters formulated with 20 and 25% fat levels and with pumpkin fiber had sensory properties similar to the high-fat control frankfurter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when the reduced-fat frankfurter with 2% added pumpkin fiber and water replaces fat levels can be readily made with high quality and acceptable sensory properties.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한 호박분말의 알코올발효 특성 (Alcohol Fermentation of Ripe Pumpkin(Cucubita moschata Duch.) by Saccharomyces cerevisiae)

  • 조규성;이상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13-518
    • /
    • 1996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by Saccharomyces cerevisiae, compositions and free sugar content of dried riped pumpkin powder were determin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ripe pumpkin powder were as follows: moisture 11.98%, total sugar 62.18%(dried weight basis 70.64%), protein 13.38%, lipid 0.85%, fiber 7.07% and ash 4.54%. The compositions of free sugar in well ripe pumpkin were: glucese 85.36mg/g, fructose 40.68mg/g, sucrose 68.25mg/g, lactose 18.60mg/g and maltose 3.82mg/g. The optimum conditions for alcohol fermentation by S. cerevisiae were as follows; incubation temperature of 3$0^{\circ}C$, initial pH of 6.0, ripe pumpkin powder concentration of 10% and cells inoculation of 1.3$\times$$10^{6}$ cells/ml liquid medium. Ethanol production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was 5.95g/100g in liquid medium containing 10% ripe pumpkin powder after 4 days incubation.

  • PDF

늙은 호박의 부위별 성분 비교 (The Comparison of Food Constituent in Different Parts of Pumpkin)

  • 장상문;박난영;이주백;안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38-104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호박을 이용한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위별 성분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호박의 조단백질의 함량은 껍질부위가 19.82%, 내부 섬유상부위가 16.43%로서 과육부위에 비하여 많았으며 , 조지방함량은 껍질부위가 2.84%로서 과육 및 내부 섬유상부위에 비하여 많은 편이었다. 조섬유 함량은 내부 섬유상부위에서 6.98%로서 껍질 및 과육에 비하여 3배정도 많았다. 호박의 부위별 전당의 함량은 과육부위가 비교적 많았으며,환원당의 함량은 과육부위에 비하여 씨를 감싸고 있는 내부 섬유상부위에 많이 함유되었다. 또한, 유리당 함량은 전반적으로 과육, 내부 섬유상부위와 껍질 순으로 나타났다. 건조된 늙은 호박의 100 g에 함유되어 있는 내부 섬유상부위가 총 phenol함량은 379.8$\pm$9.76 mg으로 총 phenol성분의 47%이상 함유되어 있었으며 , 총 carotenoid의 함량에서는 43.71$\pm$1.46 mg으로 총 carotenoid 성분의 62% 이상 함유되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flavonoid의 함량은 껍질에 81.5$\pm$3.56 mg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 투여가 마우스의 비장세포와 사이토카인의 분비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umpkin Sweet Potato (Ipomoea batas L.) Water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Cytokine Cell Activation)

  • 류혜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17-321
    • /
    • 2020
  • Pumpkin sweet potato (Ipomoea batas L.) has been known as a traditional remedy and food source, not only in South Korea but worldwide. It is rich in fiber, potassium, vitamin C, and other minerals and vitamins, making it a nutritional food loved by many. showed that pumpkin sweet potato had antioxidant biological effects. The in vitro study showed that both splenocytes and cytokine production byactivated peritoneal macrophages increased when water extracts were supplemented at 100 and 250 μL/mL. Notably, the production of IL-1β, TNF-α, and IFN-γ by splenocy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100 μL/mL. The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with pumpkin sweet potato (Ipomoea batas L.) water extract may enhance immune function by stimulating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improving cytokine production, activating macrophages in vitro.

가열 조건을 달리한 단호박 페이스트와 검 종류별 단호박 라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weet-pumpkin Paste with Different Thermal Condition and Sweet-Pumpkin Latte with Various Gums)

  • 박보람;김나정;유선미;한귀정;김하윤;한혜민;신동선;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04-317
    • /
    • 2015
  • 가열 조건에 따른 단호박 페이스트를 제조하기 위해, 단호박을 15분 간 초벌 증숙한 뒤, 고압가열 처리 0분(A), 10분(B), 20분(C), 40분(D) 실시하여 실험군의 품질특성 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일반성분의 경우, 대체적으로 고 압가열 처리 유무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고압가열 처리한 B, C, D 실험군의 수분함량, 조단백질, 조섬유가 고압가열 무처리군 A에 비해 감소하였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 조건별 단호박 페이스트의 수용성식이섬유는 고압가열 20분 처리군인 C의 측정치가 2.02로 가장 높았으며 무처리군인 A의 1.60 보다 증가하였고, 고압가열 처리 40분의 경우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L 값은 고압가열 무처리군인 A가 52.20에서 고압가열 처리 10분, 20분, 40분으로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각각 50.33, 49.46, 48.06으로 감소하였고, a 값과 b 값 또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 현미경을 통한 단호박 페이스트의 현탁액 입자를 관찰한 결과 카로티노이드를 포함하는 유세포가 관찰되었으며 고압가열 처리와 그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단호박 유세포의 변형이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나, 부유안정성 실험 결과 실험군 A, B, C, D 간 차이가 없었다. 이때, 가열조건의 선택은 수용성 식이섬유의 증가, 환원당 증가, 단맛의 관능특성이 유의적으로 높고, 전반적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고압가열 처리 20분인 C 실험군으로 결정하였다. 선택된 조건의 단호박 페이스트에 식품가공 시 널리 사용되는 검류인 xanthan gum, locust bean gum, guar gum을 단호박 페이스트에 종류별로 첨가하여 부유안정성을 확인하였는데, 이 결과 guar gum, locust bean gum, xanthan gum 순으로 부유안정성 효과를 나타냈으며 locust bean gum과 xanathan gum은 비슷한 정도의 효과를 보였다. 또한 관능검사를 통한 기호도 확인 결과 텍스쳐와,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우수했으므로 locust bean gum(0.2%) 첨가 단호박 라떼의 품질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Green and Ripened Pumpkin(Cucurbita moschata Duch.))

  • 조규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7-662
    • /
    • 1997
  •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일반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지방산, 무기성분 조성등의 화학성분을 비교 조사한 결과, 호박은 성숙함에 따라서 성분이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미숙호박 및 완숙호박의 과육중에는 당질 $70.95{\sim}70.65%$과 단백질이 $14.0{\sim}15.20%$ 많았고, 호박씨중에는 단백질 35.74%이 가장 많고, 다음은 지질 29.45%과 당질 28.39%이 많았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과육에서 sucrose, glucose, fructose, maltose, lactose 등의 유리당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유리당들은 sucrose와 fructose는 성장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glucose, maltose, lactose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maltose는 완숙호박에서만, 호박씨중에는 sucrose만이 확인되었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의 단백질중에는 15종의 아미노산이 확인되었으며, 호박은 성장함에 따라 Thr, Ser, Gly, Ala, Val, Met, Ile, Leu, Phe, Lys등은 감소하였으나, Asp, Tyr, His, Arg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호박씨 중에는 Glu, Asp, Leu가 많았다. 지방산은 미숙호박과 완숙호박에 palmitic, linolenic, linoleic acid가 많았다. 호박은 성장함에 따라 palmitic acid의 함량은 유사하였으나, stearic, oleic acid는 감소하고, myristic, linoleic, linolenic acid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호박씨중의 지방산은 linoleic, palmitic, oleic acid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arachidic acid도 확인 되었다. 미숙호박과 완숙호박, 호박씨중의 무기성분은 K가 가장 많았고, Ca, Mg, Na, Fe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호박은 성장함에 따라 Ca, Mg는 감소하는 한편 K, Na, Fe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늙은 호박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umpkin Extracts)

  • 강윤한;차환수;김흥만;박용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1-36
    • /
    • 1997
  • 늙은 호박의 기능성 검토를 위하여 껍질, 과육, 섬유상 물질 및 가식부의 4 부위를 열수, 70% 아세톤, 70% 메탄올을 이용하여 환류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수율은 과육의 경우 63.7∼68.2%를 나타내었다. pH는 70% 아세톤 추출물에서 5.01∼5.45였고, 열수 추출물이 5.78∼6.22로 나타났으며, 부위 중에서 과육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 부위는 과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섬유상 부위, 총당은 과육, 섬유상, 껍질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은 것을 나타났으며 총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껍질 부위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용매 종류를 볼 때 껍질, 과육 부위의 경우 열수 추출물, 섬유상, 가식부의 경우 아세톤과 메탄올로 추출할 경우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육과 가식부는 메탄올, 섬유상 물질은 아세톤 추출물에서 높은 것을 나타났다. 특히 열수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의 크기는 총폴리페놀 함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nutritive values of various pumpkin ($Cucurbitaceae$) species and parts

  • Kim, Mi-Young;Kim, Eun-Jin;Kim, Young-Nam;Choi, Chang-Sun;Lee, Bog-Hieu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1호
    • /
    • pp.21-27
    • /
    • 2012
  • Pumpkins have considerable variation in nutrient contents depending on the cultivation environment, species, or part. In this study, the general chemical compositions and some bioactive components, such as tocopherols, carotenoids, and ${\beta}$-sitosterol, were analyzed in three major species of pumpkin ($Cucurbitaceae$ $pepo$, $C.$ $moschata$, and $C.$ $maxima$) grown in Korea and also in three parts (peel, flesh, and seed) of each pumpkin species. $C.$ $maxima$ had significantly more carbohydrate, protein, fat, and fiber than $C.$ pepo or $C.$ $moschata$ (P<0.05). The moisture content as well as the amino acid and arginine contents in all parts of the pumpkin was highest in $C.$ $pepo$. The major fatty acids in the seeds were palmitic, stearic, oleic, and linoleic acids. $C.$ $pepo$ and $C.$ $moschata$ seeds had significantly more ${\gamma}$-tocopherol than $C.$ $maxima$, whose seeds had the highest ${\beta}$-carotene content. $C.$ $pepo$ seeds had significantly more ${\beta}$-sitosterol than the others. Nutrient compositions differed considerably among the pumpkin species and part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in updating the nutrient compositions of pumpkin in the Korean food composition database. Additional analyses of various pumpkins grown in different years and in different areas of Korea are needed.

호박(Cucurbita moschata DUCH.)종실의 발아 성장 과정 중 성분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s of Pumpkin(Cucurbita moschata DUCH.) Seed Sprouts)

  • 이병진;장희순;이규희;오만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27-533
    • /
    • 2003
  • 호박씨는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높고 영양가치가 높아 식품가공 재료로서 널리 이용될 수 있으나 그 동안 과자, 스넥 제품 등의 단순가공 소재로서 이용되어 왔다. 그러므로 호박씨의 소비를 증진시키고 새로운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호박씨를 발아 성장시키면서 각 부위의 일반영양성분, 지방산, 아미노산, L-ascorbic acid, $\beta$-carotene의 함량변화를 측정하여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였으며, 발아 성장과정 중 생성되는 고미성분의 구조를 동정하기 위하여 각종 용매 순차 분획, thin layer chromatography, HPLC의 분리과정을 거쳐서 정제한 고미물질을 mass spectrum, $^1$H-NMR spectrum, $^{13}$C-NMR spectrum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호박씨나물의 중량은 발아 8일에 348.4% 증가하였으며 뿌리와 줄기의 길이는 8일째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일반영양성분은 머리부분과 줄기부분 모두 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은 감소하였고 섬유소, 회분,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가 주요지방산으로 나타났고, palmitic acid는 증가하는 반면 linoleic acid는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호박씨나물의 머리부분의 구성아미노산 glycine, alanine, arginine, cystein proline의 순으로 많았으며, 유리아미노산은 arginine, threonine, alanine, glutamine의 순으로 많았다. L-ascorbic acid와 $\beta$-carotene은 발아 성장하면서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머리부분에 생성되는 고미성분은 cucurbitacin glycoside로 판명되었으며, 호박씨에서는 고미성분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발아 8일째 머리부분의 고미성분은 42.2mg/kg이 함유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