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고구마 육질이 오렌지색을 띄는 호박고구마는 보통고구마에 비해 β-카로틴 함량이 많아 항산화 효과, 항암작용, 심혈관계 질병예방 등의 생리활성 기능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등 2006). 고구마의 우수한 영양성분으로 비타민 C, β-카로틴, 무기질, 칼슘과 칼륨, 식이섬유소 등 풍부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Lee 등 1999; Kim 등 2010). 또한 고구마 폴리페놀성분의 항산화 효과 등이 보고되면서 고구마의 영양적인 가치를 인정받아 건강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Kim HS 2013). 이러한 고구마의 소비 증가의 수요에 맞춰 고구마를 활용한 제과, 빵(Ko & Seo 2010; Lee & Park 2011), 된장(Bae 등 2012), 청국장(Cha 등 2017), 고구마 음료(Chun 등 2000) 등 다양한 가공식품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유산균을 활용한 발효고구마의 항산화 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진바 있으며(Ha 등 2019), 항암작용, 심혈관계 질환 예방 효과 연구가 알려져 있다(Kurata 등 2007; Oki 등 2016). 호박고구마를 이용한 연구로 호박고구마 효소 분해물을 이용한 장상피세포 부착능 연구에서 동결건조 분말에 비해 분무 건조 분말에서 더 효능을 보여준 연구 보고가 있다(Lee 등 2017). 반면, 고구마를 이용한 면역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알려져 있는 않은 수준이다. 다른 식품의 생리활성 효과 연구로 질경이, 팽이버섯, 연근 물 추출물이 마우스의 비장세포 증식과 사이토카인 생성을 촉진시켜, 면역세포 활성 효과가 보고된 연구결과가 있다(Ryu HS 2017; Kim & Ryu 2018; Ryu HS 2019).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나라에서 건강식품으로 활용되는 호박고구마를 이용하여 면역 증진효과를 갖는 식품소재로써의 기능성 가치를 찾아내어 호박고구마를 활용한 다양한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시료 및 실험동물
실험에 사용된 호박 고구마는 2018년 해남군에서 재배된 것을 농협 하나로 마트에서 구입하였다. 시료는 흐르는 물에 충분히 세척한 후 얇게 잘라 바람이 잘 통하는 실험실에서 신문지를 깔고 일주일 동안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호박고구마 510 g을 감압 농축의 방법으로 물 추출 3회 반복하여 65.5 g의 추출물을 얻었으며, 이를 동결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이 실험에 사용한 동물은 8~9주령된 암컷 ICR mouse를 (주)대한실험동물센터로부터 구입하여 물과 고형 사료를 자유로이 공급하면서 5일 정도 적응시킨 후 체중이 16~17 g 내외인 마우스를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승인번호 2018-10). 동물을 실험에 최적화하기 위해 안정시키는 동안의 실험실 온도는 22~23℃, 습도는 50~60%로 조절하며 유지하였다.
2. 마우스 비장세포의 분리, 배양 및 측정
경추 탈골방법으로 처리한 마우스 비장을 분리, 적출하였고, 적출된 비장의 세척과 분쇄는 RPMI 1640(Sigma, USA)용액과 멸균된 유리봉을 이용하여 세포를 유리시켜 200 μm cell strainer에 여과 후 10분간 원심분리(4℃, 3,000 rpm)한 다음, 세포 현탁액을 200 mesh stainless steel sieve(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 통과시킨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적혈구를 제거한 비장세포는 trypan blue solution(Sigma, USA)으로 염색하여 세포 수를 확인하였다. 세포는 90 μL씩 분주하고, 각 군당 mitogen 10 μL씩 분주하였다. 비장세포 농도는 5.0×106 cell/mL로 10% FBS-RPMI 1640을 사용하였고, 비장세포의 증식능에 이용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Proliferation index = Sample의 흡광도/Control의 흡광도
흡광도(optical density, O.D.) 측정은 ELISA reader(R&D system, NY,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 사이토카인(IL-1β, IFN-γ, TNF-α) 분비량 측정
대식세포에서 분비된 사이토카인은 마우스 복강 내에서 분리하여 사용하였다. 사이토카인 분비량의 측정은 최종농도가 0 μg/mL와 1,000 μg/mL가 되게 하였으며, 부착성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에 10%의 불활성화된 FBS를 함유한 RPMI 1640 용액 900 μL와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을 100 μL씩을 각각 분주하였다. 세포배양은 5% CO2 인큐베이터(Sany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여 37℃,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대식세포 상층액의IL-1β, TNF-α, IFN-γ의 분비량은 ELISA 사이토카인 kit(R&D system, NY,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험관에 50 μL의 샘플과 각각의 사이토카인 bead를 혼합한 capture bead 50 μL를 투여하여 빛이 차단된 실온에 1시간 방치한 다음, mixed PE detection reagent를 각 실험관에 50 μL 첨가하여 빛이 차단된 실온에 다시 방치하였다. 그런 다음 상층액을 버리고 wash buffer 200 μL씩을 상층액을 제거한 시험관에 가하여 FACS Canto II(BD Bio-sciences, USA)를 사용하여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확인하였다.
4. 통계처리
연구 결과에 대한 자료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인 SAS package(ver. 12.0)를 이용하였다. 표준편차와 평균값을 구한 뒤 각 군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수행하였고, 다중범위검증법 중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확인하였다. 유의성 검정은 p=0.05 수준에서 사후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이 마우스 비장세포 활성효과 -In vitro 실험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을 첨가한 비장세포 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는 Table 1에 나타내었다. 호박 고구마 물 추출물은 0, 5, 10, 50, 100, 250, 500, 1,000 μg/mL의 농도로 배양하였다. 대조군(negative control)으로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 대신 배양액(10% FBS-RPMI 1640)을 첨가하여 결과를 비교 관찰 하였고, 양의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는 ConA(5 μg/mL)로 확인하였다. ConA를 첨가한 경우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2.67±0.12로 비장세포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을 첨가하여 검색한 결과는 농도 0, 5, 10, 50, 100, 250, 500, 1,000 μg/mL에서 1.00±0.09, 0.71±0.04, 0.98±0.23 0.93±0.23, 2.28±0.46, 1.39±0.27, 1.09±0.23, 0.73±0.21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을 첨가한 100 μg/mL와 250 μg/mL의 농도에서 음의 대조군(1.00±0.09)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는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 250 μg/mL에서 유의적인 활성효과를 나타낸 연구 결과(Ryu HS 2014)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100~250 μg/mL 농도군에서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이 비장세포 활성을 촉진시켜, 면역 반응을 증가시킬 가능성을 보여준 결과이다. 식물 소재의 물 추출물을 이용한 연근의 면역세포 활성효과 실험에서도 100~250 μg/mL 농도가 포함된 50~500 μg/mL 농도 군에 활성을 보인 연구 결과가 있다(Ryu HS 2019).
Table 1. Proliferation index of mice splenocyte cultured with water extracts of pumpkin sweet potato and mitogen
1) Proliferation index= mean of O.D. in test wells / mean of O.D. in control wells.
2) Means±S.D.
a-cMeans including different letter (a-c) on the column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p<0.05) as demonstrat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b<c).
2. 호박 고구마 물 추출물이 사이토카인 분비량에 미치는 영향
IL-1β, IL-2, IL-4, IL-6 와 TNF-α 등과 같은 cytokine이 초기 염증반응에서 세포의 신호전달을 통한 면역작용에 의미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Barnes & Liew 1995; Kim 등 2004). 특히 IL-1, IL-6, TNF-α, IFN-γ는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생성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으로 식품 면역지표로 알려져 있다(Hibbs & Nathan 1991). 또한 TNF-α(Tumor necrosis factor-α)는 단핵구, 대식세포, 비만세포, 림프구 및 자연살해세포를 비롯한 많은 세포에서 생산되어 감염, 염증 반응에 관여하며, 종양에 항 증식작용을 하고 상처 치료에 도움을 주며, TNF-α는 T림프구와 상호 작용하여 T림프구의 활성과 성장 등을 조절한다(Meydani SN 1990).
1) IL-1β 생성량
IL-1β 생성량은 Fig. 1에 나타내었다.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음의 대조군 IL-1β 생성량은 3.71±0.54 pg/mL, 반면, 양의 대조군 ConA 첨가군에서는 136.47±10.11 pg/mL로 유의성을 보였다.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 50, 100 250, 500, 1,000 μg/mL 농도 투여군에서 각각 13.79±3.13, 44.42±7.89, 30.75±5.23 29.82±4.58, 26.07±3.09 pg/mL로 대조군(3.71±0.54 pg/mL)에 비해 높은 IL-1β를 생성하여 유의성을 보였다. 이는 호박고구마의 경우 중간 농도에서 면역세포 활성 효과가 높고, 저농도와 고농도에서는 효과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이 외부에서의 항원자극에 대항하여 면역반응을 증진시킬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로 사료된다. 또 다른 연구 사례로는 연근 물 추출물 100~500 μg/mL 농도군에서 IL-1β 생성량이 높게 나타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Ryu HS 2019). Lee JH(2002)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더덕 열수 추출물 25 μg/mL 농도의 투여군에서 하자 투여하지 않은 군에 비해 림프구 세포가 11.2배 증식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 투여가 면역세포 활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진다.
Fig. 1. IL-1β production by activated peritoneal macro- phage cultured with pumpkin sweet potato water extracts.
a-eMeans including different letter (a-e) on the column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p<0.05) as demon- strat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b<c<d<e).
2) TNF-α 생성량
TNF-α 결과는 Fig. 2와 같다. 본 실험에서 양의 대조군 ConA 투여의 경우 2,499.09±215.23 pg/mL로 유의적인 생성 량을 나타내었고, 음의 대조군은 180.28±29.20 pg/mL의 TNFα가 생성되었다.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 10, 50, 100, 250, 500, 1,000 μg/mL 농도를 첨가한 경우 각 농도별 666.20±5.66, 487.42±70.89, 954.29±115.09, 756.92±201.99, 730.88±163.75, 623.91±95.08 pg/mL로 유의적으로 높은 TNF-α 생성량을 보였다(p<0.05). 이러한 결과에 따라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사이토카인 생성량을 자극하여 면역 기능 증강에 관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결과는 100~1,000 μg/mL 농도에서 유의성을 보여준 질경이 물 추출물의 면역효과와 50~1,000 μg/mL 농도 모두에서 유의적인 생성량을 나타낸 가시오가피 물 추출물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Ryu & Kim 2005; Ryu HS 2015). 따라서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이 면역 세포 활성을 높여 면역 활성 효과의 가능성을 보여준 결과라 할 수 있다. TNF-α는 T 림프구의 성장과 활성에 관여하여 암세포의 세포 용해를 유도함으로써 항암 작용에도 효과를 보인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Balkwill 등 1990). 특히 100~250 μg/mL의 농도에서의 높은 생성능은 비장세포 증식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이 농도에 주목하여 in vivo 실험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Fig. 2. TNF-α production by activated peritoneal macro- phage cultured with pumpkin sweet potato water extracts.
a-fMeans including different letter (a-f) on the column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p<0.05) as demonstrat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b<c<d<e<f).
3) IFN-γ 생성량
IFN- γ 생성량은 Fig. 3과 같다. 음의 대조군에서는 56.78±10.88 μg/mL, 양의 대조군 ConA 투여군에서 3,420.95±325.3 μg/mL로 유의적인 생성량을 나타내었다(p<0.05).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 5, 10, 50, 100, 250, 500, 1,000 μg/mL를 첨가한 농도군에서 각각 42.12±8.66, 98.52±18.07, 331.74±53.63, 2,504.00± 307.42, 769.80±92.61, 409.70±62.73, 321.62±42.93 pg/mL의 IFN-γ생성량을 보여, 100, 250, 500 μg/mL의 농도군에서 유의성을 보였다(p<0.05). 이는 율무 물 추출물을 첨가한 50~500 μg/mL 농도에서 높은 분비량을 나타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다(Ryu & Kim 2005). 느타리버섯 물 추출물 투여 연구에서도 50~500 μg/mL의 농도에서 IFN-γ 분비량을 촉진시킨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Ryu HS 2014).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이 외부 항원에 대응하여 면역 활성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비장 세포 증식능과 본 연구에서 지표로 본 세 종류의 사이토인 농도별 결과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증식능을 보인 100~250 μg/mL의 농도는 in vivo 실험의 참고 근거로 삼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Fig. 3. IFN-γ production by activated peritoneal macro- phage cultured with pumpkin sweet potato water.
a-eMeans including different letter (a-e) on the column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p<0.05) as demonstrat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b<c<d<e).
요약 및 결론
In vitro 실험을 통한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 투여가 마우스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대조군에 비해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을 투여한 100~250 μg/mL 농도에서 비장세포 증식능을 보였으며(p<0.05), IL-1β, TNF-α, IFN-γ 사이토카인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IL-1β은 50~1,000 μg/mL의 농도에서, IFN-γ는 10~1,000 μg/mL의 농도에서, TNF-α는 100~500 μg/mL의 농도에서 유의성을 나타냈으며 (p<0.05), IL-1β, TNF-α, IFN-γ 사이토카인 모두 100~500 μg/mL 농도에서 대조군보다 높았다(p<0.05).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호박 물 추출물은 마우스 비장 세포를 자극하여 면역을 담당하는 기관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사이토카인 생성량을 증가시켜 면역세포 활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호박고구마 물 추출물이 면역세포 활성에 효과가 있는 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 Bae JO, Lee KJ, Park SJ, Choi DS. 2012. Preparation of sweet potato Doenjang using colored sweet potato. Korean J Food Nutr 25:529-537 https://doi.org/10.9799/ksfan.2012.25.3.529
- Balkwill FR, Naylor MS, Malik S. 1990. Tumor necrosis factor as an anticancer agent. Eur J Cancer 26:641-644 https://doi.org/10.1016/0277-5379(90)90097-D
- Barnes PJ, Liew FY. 1995. Nitric oxide and asthmatic inflammation. Immunol Today 16:128-130 https://doi.org/10.1016/0167-5699(95)80128-6
- Cha SJ, Park SR, Kim DH. 2017.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sweet potato. Korean J Food Preserv 24:221-229 https://doi.org/10.11002/kjfp.2017.24.2.221
- Chun SH, Lee SU, Shin YS, Lee KS, Ryu IW. 2000.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Korean J Food Nutr 13:71-77
- Ha GJ, Kim HY, Ha IJ, Cho SR, Moon JY, Seo GI. 2019.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sweet potato using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Nutr 32:494-503
- Hibbs JB, Nathan CF. 1991. Role of nitric oxide synthesis in macrophage antimicrobial activity. Curr Opin Immunol 3:65-70 https://doi.org/10.1016/0952-7915(91)90079-G
- Kim HP, Son KH, Chang HW, Kang SS. 2004. Anti-inflammatory plant flavonoids and cellular action mechanisms. J Pharmacol Sci 96:229-245 https://doi.org/10.1254/jphs.CRJ04003X
- Kim HS. 201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weet potato starch reclaimed from sweet potato processing slud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747-753 https://doi.org/10.9721/KJFST.2013.45.6.747
- Kim KE, Kim SS, Lee YT.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ours prepared from sweet potatoes with different flesh colo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476-1480 https://doi.org/10.3746/jkfn.2010.39.10.1476
- Kim KO, Ryu HS. 2018. The effects of Flammulina velutipes water extracts on the activation of spleen cell and macrophage in mice. Korean J Food Nutr 31:236-241 https://doi.org/10.9799/KSFAN.2018.31.2.236
- Ko SH, Seo EO.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purple colored sweetpotato powder.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272-278
- Kurata R, Adachi M, Yamakawa O, Yoshimoto M. 2007. Growth suppression of human cancer cells by polyphenolics from sweet potato leaves. J Agric Food Chem 55:185-190 https://doi.org/10.1021/jf0620259
- Lee DH, Jang JH, Hong JH. 2017. Spray-dried powder preparation of pumpkin sweet potato hydrolysates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ean J Food Preserv 24:246-253 https://doi.org/10.11002/kjfp.2017.24.2.246
- Lee HH, Kang SG, Rhim JW. 1999. Characteristics of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sweet potato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090-1095
- Lee JH 2002. Immunostimulative effect of hot-water extracts from Codonopsis lanceolata on lymphocyte and clonal macroph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732-736
- Lee JS, Ahn YS, Kim HS, Chung MN, Jeong BC. 2006. Making techniques of hight quality powder in sweetpotato. Korean J Crop Sci 51:198-203
- Lee SM, Park G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urple sweet potato. Korean J Food Cookery Sci 27:1-16
- Meydani SN. 1990. Dietary modulation of cytokine production and biologic functions. Nutr Rev 48:361-369 https://doi.org/10.1111/j.1753-4887.1990.tb02880.x
- Oki T, Kano M, Watanabe O, Goto K, Boelsma E, Ishikawai F, Suda I. 2016. Effect of consuming a purple-fleshed sweet potato beverage on health-related biomarkers and safety parameters in Caucasian subjects with elevated levels of blood pressure and liver function biomarkers: A 4-week, open-label, non-comparative trial. Biosci Microbiota Food Health 35:129-136 https://doi.org/10.12938/bmfh.2015-026
- Ryu HS, Kim HS. 2005. Effects of job's tear(yul-moo)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tivation. J Korean Diet Assoc 11:44-50
- Ryu HS. 2014. Enhancing effect of Pleurotus ostreatus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cytokine cells activation. Korean J Food Nutr 27:603-608 https://doi.org/10.9799/ksfan.2014.27.4.603
- Ryu HS. 2015. Enhancing effect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macrophage cells activation. Korean J Food Nutr 28:253-257 https://doi.org/10.9799/ksfan.2015.28.2.253
- Ryu HS. 2017. Effect of Plantago asiatica L. extracts on mice spleen and cytokine cells activation. Korean J Food Nutr 30:510-514 https://doi.org/10.9799/ksfan.2017.30.3.510
- Ryu HS. 2019. Effect of Nelumbo nucifera Gaertn water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cytokine cells activation. Korean J Food Nutr 32:246-250 https://doi.org/10.9799/KSFAN.2019.32.3.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