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se-energy

검색결과 1,305건 처리시간 0.038초

콤팩트 전자 선형가속기 시작품의 출력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Electron Beam Output for the Prototype Compact Linac)

  • 김성우;강상구;이동주;임희진;이만우;이준규;이무진;양광모;노태익;정동혁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1호
    • /
    • pp.1-5
    • /
    • 2015
  • 의료용 및 산업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C-밴드형 콤팩트 선형가속기의 개발이 동남권원자력의학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형가속기 시작품에서 발생한 전자빔의 출력 측정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출력 측정은 물흡수선량에 대해 교정된 Exradin-A10 마커스형 평행평판형 전리함을 사용하여 물속 기준 깊이에서 IAEA TRS-398 프로토콜에 따라 흡수선량율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전자선 에너지가 낮은 점으로 인하여 선질지표($R_{50}$)은 필름 측정법을 써서 근사적으로 결정하였다. 결과로서 단위 펄스 진동수당의 선형가속기 전자빔의 출력은 $17.0cGy/(min{\cdot}Hz$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발 중인 전자가속기의 성능 평가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은제품의 황화은 부식층 제거를 위한 Nd:YAG 레이저클리닝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removing silver sulfide from silver objects by Nd:YAG laser cleaning)

  • 이혜연;조남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5-101
    • /
    • 2014
  • 은제품은 대기의 아황산가스나 황화수소 등과 반응하여 검게 변색된다. 검은 변색은 표면에 황화은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존처리시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황화은을 제거하는 방법은 화학적, 전기화학적, 미세마모법 등을 사용하지만 모두 은의 손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표면 오염물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레이저클리닝을 은시편에 실험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레이저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부식되지 않은 순수한 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안전한 레이저에너지밀도 범위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은은 1064nm $4.00J/cm^2$ 이하, 532nm $2.39J/cm^2$ 이하 레이저에너지밀도 범위에서 안전하였다. 인공적으로 부식시킨 은판의 부식층(황화은)은 레이저조건 1064nm $2.39J/cm^2$로 약 5~10회, 532nm $1.19J/cm^2$로 5~10회 조사하였을 때 제거되었다. AES를 이용하여 레이저 펄스당 제거되는 부식층 두께를 확인한 결과 약 13 ~ 25nm이다. 은 시편의 레이저클리닝 조건을 은제품에 적용한 결과 표면의 검은 부식층이 제거되었으며 은 광택도 유지되었다. 이를 통해 은제품의 레이저클리닝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수중 아-크 방전음원에 관한 연구 (ARC Discharge Sound Source in Underwater)

  • 장재환;장지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1권1호
    • /
    • pp.12-18
    • /
    • 1985
  • 고압변압기의 1차측을 제어하고 2차측에 유도된 전압을 이용한 수중방전음원의 전기음향학적 제특성을 분석.검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전시 2차측 전류는 초기에는 Ohm 법칙을 따르다가 전류가 최고 6.3A 흘러 절연 파괴되었으며, 그 순간 방전음이 생성되었다. 2. 전류인가점과 방전음 생성문의 시간차는 약 3ms였으며, 전압이 최고일 때 절연파괴가 일어나 방전음이 생성되었다. 3. 전극의 끝이 뾰족할수록 2차측 전압이 높을수록 음압수준은 높았다. 4. 뾰족한 형태의 전극은 전극간격이 100cm일 때도 방전이 일어났으며 전극간격이 1cm이상부터 비교적 안정된 방전음이 생성되었다. 5. 방전음의 펄스폭은 약 0.15ms인 Shock Wave였으며, 10HKz 이하의 합성저주파 성분이었다.

  • PDF

금궤요략${\cdot}$부인잡병맥증병치제이십이(婦人雜病脈證幷治第二十二)에 대(對)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Woman Various Diseases' in Synopsis Golden Chamber)

  • 이태호;임동국;고승욱;정헌영;금경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2-50
    • /
    • 2008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examining the causes and symptoms of Woman various diseases and clearing up the situations of pulses and their treatment. Woman various diseases are said to be various kinds of diseases including the disorder of menstruation and genitals except pregnancy and postpartum diseases. The main contents are the penetration of heat into worm, the discharge of much blood, stomachache, and the postpartum cyst diseases. Among them, the nature of the diseases which often occur in the gynecology, such as the menstrual diseases and stomachache, were described comparatively in detail. The reason why heat penetrates into the worm is that the external germs come into it under its weakness. To treat it, heat should be removed and lumping blood should be sent out of body. Especially only after whether the disease is serious or not is examined, and just after the process of the disease is examined, the lumping blood can be eliminated. The ways to cure it by sweating a patient too much, getting him or her to vomit, or forcing him or her to be urinated too much, should be avoided. The disorder of menstruation, as the disease which most often occur among the diseases of gynecology, includes menstrual irregularity and blood discharge, and non-menstruation. Among them, non-menstruation and blood discharge are comparatively often discussed. When they are treated, lumping blood and cold energy should be cured well through getting rid of the lumping blood and making the blood vessel flow well. The difficult urination after childbirth, which comes from the weak urinary cist, makes symptoms such as the stuffy chest, the difficulty of lying down, and breathing with his or her back something. To urinate better, the ability of the urinary cist should be supplemented and improved. The principle of the treatment for Woman various diseases i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pulse closely, then set up the way to treat it, and prescribe a patient. In this study, besides the treatment of Chinese herb medicine, the medicine for washing genitals and the medicine placed in the worm were used to cure Woman various diseases. This treatment is the beginning of the surgical treatment in the gynecology.

Effects of feeding different varieties of faba bean (Vicia faba L.) straws with concentrate supplement on feed intake, digestibility, body weight gai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Arsi-Bale sheep

  • Wegi, Teklu;Tolera, Adugna;Wamatu, Jane;Animut, Getachew;Rischkowsky, Barba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8호
    • /
    • pp.1221-1229
    • /
    • 2018
  • Objective: A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arietal differences among faba bean straws and also to assess the potentials of faba bean straws supplemented with concentrate fed at the rate 70% straws and 30% concentrate mixture on feed intake, digestibility, body weight gai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the animals. Methods: Forty yearling Arsi-Bale sheep with initial body weight of $19.85{\pm}0.29kg$ (mean${\pm}$standard deviation) were grouped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into eight blocks of five animals each based on their initial body weight. Straws included in the study were from Mosisa (T1M), Walki (T2W), Degaga (T3D), Shallo (T4S), and local (T5L) varieties of faba bean and concentrate (2:1 ratio of wheat bran to "noug" seed cake). The experiment consisted of seven days of digestibility and 90 days of feeding trials followed by evaluation of carcass parameters at the end. Results: Local variety had lower (p<0.05) in grain and straw yield compared to improved varieties but higher in crude protein, metabolizable energy contents and in vitro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of sheep fed Walki and Mosisa straws were higher than (p<0.05) straws from Shallo varieties. Sheep fed Walki straw had greater (p<0.05) dry matter intake, average daily gain and feed conversion efficiency than sheep fed local and Shallo straws. Slaughter body weight and empty body weight were higher (p<0.05) for sheep fed Mosisa and Walki straws as compared to sheep fed Shallo straws. Apart from this, the other carcass components were not affected (p>0.05) by variety of the faba bean straws. Conclusion: There is significant varietal differences between faba bean straws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Similarly, significant variation was observed in feed intake, digestibility,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efficiency among sheep fed different straws of faba bean varieties with concentrate supplement. Based on these results, Walki and Mosisa varieties could be recommended as pulse crop rotation with cereals in the study area.

적외선 레이저에 의한 방전 유도 기술의 방전 가공 장치에의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Discharge Guide Technology by infrared Laser Applied to Discharge Processing Devices)

  • 조정수;이동훈;남경훈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8
    • /
    • 1999
  • 최근 들어 레이저를 이용한 방전 제어 기술에 대한 관심이 여러 분야에서 고조되고 있다. 특히, 레이저의 우수한 특성 때문에 Electro-Discharge Machining(EDM)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펄스형 Nd:TAG 레이저를 이용해서 방전 가공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방전 유도 기술에 관한 기초 데이터의 확보를 위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레이저에 의한 직류 발전 유도 실험의 동작 압력의 범위는 0.2~20 torr였다. 진공조 내의 압력 P와 전극간의 거리 d에 따른 최소 직류 레이저 방전 유도 전압 $V_{G.min}$을 측정하였으며, $V_{G.min}$이 자연 방전전압 VND보다 훨씬 낮고 P.d값에 따른 $V_{G.min}$$V_{ND}$와 유사한 경향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레이저 출력 에너지 $E_{out}$은 플래쉬램프의 전류 펄스폭 $t_p$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t_p$값이 증가할수록 $V_{G.min}$은 방전 지속 시간 동안에 조사되는 광자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더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레이저에 의한 방전 유도 가능범위와 레이저 출력에 따른 방전 유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

기체-액체 혼합 방전에 의한 화학적 활성종 생성 특성 (Generation of Chemically Active Species in Hybrid Gas-Liquid Discharges)

  • 정재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56-563
    • /
    • 2007
  • 고전압 방전극이 기체상에 위치하고 접지 전극이 수중에 설치된 기체-액체 혼합 방전에 의한 화학적 활성종의 발생 특성에 관해 실험실 규모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된 전극 구조는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해왔던 일반적 전극 배열에서보다 높은 전계 강도(electric field strength)를 형성하고 짧은 폭을 지닌 펄스들을 생성시킴으로써 방전에 의해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전에 의해 기체상에 생성되는 오존 농도는 실험된 전압 범위의 중간 값인 45 kV 조건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용액 전도도가 낮을수록 액체상을 통한 전기 저항이 증가하여 기체상에서 높은 전계 강도가 형성되므로 오존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가전압이 증가할수록 높은 전계 강도가 형성되어 강한 방전이 이루어지므로 과산화수소 생성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전압에서는 용액 전도도가 증가하면 과산화수소 분해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과산화수소 생성 속도가 감소하며 높은 전압에서는 용액 전도도가 증가하면 자외선 조사 등에 의해 과산화수소 발생의 중간 생성물인 OH 라디칼의 발생이 촉진되므로 과산화수소 생성 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소와 아르곤의 혼합기체가 공급될 때, 강하고 안정한 방전이 이루어져 과산화수소 생성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갱년기 여성의 안면홍조 증상에 대한 국내 한의학 연구 동향 분석 (A Review on Domestic Study Trends on Hot Flush in Menopausal Women with Traditional Korean Medicine)

  • 홍누리;장영숙;양수현;최윤영;오다윤;이수진;남궁진;김진환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86-103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omestic trend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on Hot flush in menopausal women. Methods: We searched six databases and selected relevant papers according to the criteria. Results: 12 papers included case report, literature review,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RCTs), Non-RCTs, and retrospective chart analysis study design. 1. The daily diary, Kupperman's Index, Menopause Rating Scale, Menopause-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were used as a measure of the symptoms of hot flush. 2.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rmographic images, Pulse energy, Lifestyle Habits, Low frequency power/High frequency power (LF/HF) ratio and certain items of Menopausal Symptoms Measurement. 3. The case report using Er-Xian decoction and Hwangryunhaedoktang-Gamibang showed significant effect. 4. Domestic RCT studies using herbal or acupuncture treatments showed a significant value of 3.4 on average in the quality assessment conducted in the study. However, the number of domestic studies included was five, which is not enough compared to foreign countries.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domestic research trends on hot flushes of menopausal women and found that various evaluation tools and diagnostic methods were applied. It is necessary to conduct various RCT studies in Korea, where the number of studie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overseas.

휴대용대공유도탄에 대응하는 지향성적외선방해장비의 교전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ngagement Effects of DIRCM against a Man Portable Air Defense System)

  • 정춘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39-147
    • /
    • 2019
  • 적외선 에너지를 추적하는 휴대용대공유도탄(MANPADS: Man Portable Air Defense System)은 개인이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가벼우며 다양한 항공기에 대응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배치되어 항공기의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러한 유도탄을 기만하여 아군 항공기와 전투원의 생명을 보호하는 적외선대응책(IRCM: Infrared Countermeasure)으로 섬광탄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존 적외선대응책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지향성적외선방해장비(DIRCM: Directional Infrared Countermeasure)가 최근 일부 선진국을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그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MANPADS 중 AM 변조 방식의 1세대 적외선탐색기, FM 변조 방식의 2세대 적외선탐색기, 펄스변조 방식의 3세대 적외선탐색기와 DIRCM에서 레이저빔이 조사될 때 탐색기에서 발생하는 산란광 현상을 모델링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MANPADS와 DIRCM을 장착한 항공기의 다양한 교전환경에서 기만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유도탄과 항공기의 최소거리인 Miss Distance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하나의 기만코드로 변조된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DIRCM이 교전거리 1km와 2km에서 1, 2, 3세대 MANPADS를 모두 기만하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특히 교전거리가 1km에서 2km로 늘어날 때 DIRCM을 장착한 항공기의 생존율도 증가하였고, 교전거리 2km에서는 생존율이 최소 99%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플래시 기반 유기금속화합물 열처리를 통한 고성능 유연 전극 제조 (Flash Lamp Annealing of Ag Organometallic Ink for High-Performance Flexible Electrode)

  • 우유미;이동규;황윤식;허재찬;정성민;조용준;박귀일;박정환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6권5호
    • /
    • pp.454-462
    • /
    • 2023
  • 금속 나노 입자의 플래시 램프 어닐링 공정은 빠른 가공 속도(밀리초 단위), 저온 공정, 롤투롤 공정과의 호환성 등 이유로 유연한 기판 위에 고성능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강력한 솔루션으로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금속 나노 입자[예를 들면, 금(Au), 은(Ag), 구리(Cu) 등]는 저온 공정을 위한 미세 금속 나노 입자(직경 10 nm 미만)의 제조가 어렵고, 고가이며, 잉크보관 및 플래시 램프 어닐링 과정에서 산화가 발생하는 등의 한계가 존재했다. 이러한 이유로 유기금속화합물 잉크는 금속 나노 입자를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서 저렴한 가격(기존 금속 나노 잉크 대비 1/100의 가격)과 저온 공정성, 높은 재료 안정성으로 인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기금속화합물의 플래시 램프 어닐링 처리를 통한 유연한 전극의 제조는 광범위하게 연구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 경험 없이 은 유기금속화합물을 플래시 램프 어닐링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료 매개변수와 플래시광 처리 매개변수(에너지 밀도, 펄스 지속시간 등)를 고려하여 유연 기판에 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결정하는 방법을 실험적으로 가이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