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lulanas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고도 호열성 Archaebacterium Thermococcus profundus가 생산하는 Amylolytic Enzymes (Amylolytic Enzymes Produced from Hyperthermophilic Archaebactorium Thermococcus profundus)

  • 정영철;김경숙;노승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9-266
    • /
    • 1994
  • The hyperthermophilic archaebacterium Thermococcus profundus Isolated from a deep-sea hydrothermal vent system, produced several amylolytic enzymes such as extracellular amylase and pullulanase, intracellular a-1,4-91ucosidase in respone to the presence of complex carbohydrates In the growth medium. This strain showed high activities on 0.5% maltose than on complex carbohydrates One of the amylases was partially purifie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DEAE-Toyopearl chromatography. The amylase exhibited maximal activity at pH 5.5 and 80$^{\circ}C$, and was stable in the range of pH 5.5 to 9.5 and up to 80$^{\circ}C$ for 30 min. The enzyme activity was no dependence on Ca2+ and not inhibited by detergents. The amylase hydrolyzed soluble starch, amylose, amylopectin and glycogen to produce maltose and maltotriose with trace amounts of glucose, but not pullulan and ${\alpha}$-, ${\beta}$-, ${\gamma}$-cyclodextrin. Malto-oligosaccharides ranging from maltotetraose to maltoheptaose were hydrolyzed in an endo fashion.

  • PDF

DSC와 효소법을 이용한 멥쌀 밑 찹쌀떡의 노화도에 관한 연구 (Degree of Retrogradation of Non-Waxy and Waxy Rice Cakes during Storage determined by DSC and Enzymatic Methods)

  • 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6-192
    • /
    • 1996
  • 저장온도($25^{\circ}C$, 5$^{\circ}C$, -2$0^{\circ}C$) 및 저장기간(5시간-21일) 따른 멥쌀 및 찹쌀떡(수분함량 45%)의 노화 정도를 측정 비교하기 위하여 시차주사열량기와 효소 소화법($eta$-amylase-pullulanase method)을 사용하였다. 실온($25^{\circ}C$) 및 냉동(-2$0^{\circ}C$) 저장된 떡시료는 DSC thermogram상에서 흡열곡선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냉장(5$^{\circ}C$)저장된 시료에서만 나타나 노화가 냉장저장 중현저히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저장기간을 통하여 개시온도, 피크온도의 변화는 없었으며 엔탈피($\Delta$H)는 1일 이내에 현저히 증가하여 저장 5일까지 계속적인 증가를 보였고 그 이후 저장 14일까지는 평형을 유지하였다. 전체 냉장저장기간을 통해 찹쌀떡이 멥쌀떡 보다 높은 엔탈피를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아밀로펙틴의 재결정화에 의한 노화가 더 진행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효소법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멥쌀 및 찹쌀떡 모두 냉장 <실온 $\boxUl$냉동의 순으로 호화도가 높게 나타났다. 아밀로오스 함량이 많은 멥쌀떡은 효소 소화분해에 대한 호화도가 낮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높은 노화도를 반영하여 DSC에 의한 노화특성과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 두 방법간의 상관관계는 예상하기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두가지측정방법 모두에 의해 쌀의 종류에 관계없이 냉장저장의 경우 노화가 쉽게 일어났고 저장 일수에 따라 노화도가 증가했음이 밝혀졌다 즉 아밀로오스나 아밀로펙틴 함량이 같은 떡시료들간에서는 노화가 많이 일어날 수록(높은 엔탈피값) $\beta$-amylase와 pullulanase에 대한 효소반응성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저장조건에서는 효소소화법이 DSC를 이용한 방법 보다 비교적 예민하게 떡에 대한 노화도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었다.

  • PDF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이용한 전분의 변형 및 특성 조사 (Modification of Starch using Dextransucrase and Characterization of the Modified Starch.)

  • 이진하;김도만;백진숙;박관화;한남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3-150
    • /
    • 1998
  • 덱스트란수크라제는 sucrose를 이용하여 덱스트란의 합성을 촉진하는데 sucrose이외에 다른 탄수화물이 효소 반응기 중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sucrose의 glucose기를 이 탄수화물에 전달하는 반응을 촉진하여 새로운 구조의 산물을 생산한다. Leuconostoc mesenteroides B-742CB로 부터 얻은 덱스트란수크라제를 이용하여 입자 전분과 호화 전분에 sucrose의 glucose를 수식함으로써 변형을 시도하였다. 사용한 전분의 종류(Small starch 또는 Potato starch)에 따라 그리고 전분의 상태(입자 혹은 호화된 상태)에 따라 이론적 수율의 46-72%(s.d.<${pm}$5)를 얻었다. 변형 전분을 ${alpha}$-amylase, isoamylase, pullulanase 그리고 endo-dextranase로 처리하여 변형 전의 전분과 가수분해 상태를 비교한 결과 변형전의 산물에 비해 이들 가수분해효소에 대해 저항성을 보였다. 변형에서 얻어진 산물들의 methylation결과 입자 전분을 이용한 변형 반응의 산물의 변형 정도가 더 컸으며, 변형입자를 SEM으로 관찰하면 불규칙한 크기의 작은 조각의 산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변형 반응으로 sucrose의 glucose가 전분 glucose의 C3, C4, 그리고 C6 위치의 free-OH group에 수식된 새로운 구조의 변형 산물을 생산하였고 이는 iodine에 의한 염색 정도를 크게 감소시켰으며 용해성을 증가시켰다.

  • PDF

쌀가루 냉수추출 ${\alpha}-D-glucan$의 분자구조적 특성 (Structural Properties of Cold Water Extractable ${\alpha}-D-glucan$ in Rice Flours)

  • 박용곤;석호문;남영중;최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03-610
    • /
    • 1990
  • 쌀가루로부터 추출한 냉수가용 ${\alpha}-D-glucan$의 blue value는 $0.026{\sim}0.030$, 극대흡수파장은 $518{\sim}522nm$, ${\beta}-amyolysis\;limit$$52.7{\sim}59.6%$ 정도의 범위를 나타내어 이들 물질은 아밀로펙틴에 유사한 성질을 지니고 있었으며, 또한 이들 ${\alpha}-D-glucan$에 가지절단효소인 pullulanase를 처리한 후 분해물의 쇄장분포를 조사한 결과 이들 ${\alpha}-D-glucan$은 쌀아밀로펙틴의 unit chain 분포와 유사하였고, 또한 이들 분해물에 대해 중합도 30 이하의 쇄장분포는 쌀가루 냉수추출 ${\alpha}-D-glucan$ 중 blade mill의 것만이 아밀로펙틴과 유사한 쇄장분포를 나타내었고 중합도 10 이하의 구성비에 있어서는 냉수추출 ${\alpha}-D-glucan$의 것이 아밀로펙틴보다 높았다.

  • PDF

Potato Yam(Dioscorea bulbifera)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tato Yam(D. bulbifera) Starches)

  • 석호문;박용곤;남영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53-761
    • /
    • 1990
  • Potato yam의 괴경(지하부) 및 주아(지상부)로부터 전분을 분리하고 이들 전분의 특성을 쌀 및 고구마 전분과 비교하였다. 아밀로오스함량은 지상부의 yam전분이 가장 높았으나 물겹합능력, 팽윤력, 용해도에서는 지하부의 yam전분이 가장 높았다. 5% 전분현탁액의 아밀로 그래프에 의한 호화개시 온도는 yam전분이 쌀 및 고구마전분보다 다소 높았으나 최고점도에 있어서는 지하부 및 지상부 yam전분이 각각 860 B.U. 및 590 B.U.로서 쌀 및 고구마전분에 비해 높을 뿐만 아니라 yam전분사이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Yam전분은 지상, 지하부 모두 ${\alpha}-amylase$에 의한 분해성이 쌀 및 고구마전분보다 낮았다. Yam전분 및 이로부터 분리한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의 ${\beta}-amylolysis\;limit$는 쌀 및 고구마의 것에 비해 다소 높았으나 yam전분사이에 큰 차이는 없었다. 분리전분을 Sepharose CL-2B로 겔 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 yam전분사이에 용출패턴의 차이는 없었으나 pullulanase로 아밀로펙틴의 ${\alpha}-1,6-glucoside$결합을 가수분해 시킨 후 Sephadex G-75로 겔 크로마토그래피한 결과에서는 지상부 yam의 것이 pullulanase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성분이 특히 많았고 아밀로펙틴의 짧은 사슬이 긴 사슬에 대한 중량비는 지상부 yam의 것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떡노화에 대한 전분분해효소류의 효과 (Effect of Starch Degradation Enzymes on the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s)

  • 송재철;박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62-1269
    • /
    • 2003
  • 효소류의 떡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DSC 열특성의 검토에서 호화개시온도는 GP(glucoamylase+pullulanase)로 처리한 경우가 71.1$^{\circ}C$로 가장 낮고 그 다음이 $\beta$-amylase, $\alpha$-amylase 순이었다. 또 호화최대온도는 효소 처리한 것이 대조구에 비해서 대부분 낮은 편이었으며 그 중 GP처리한 것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떡의 용융 enthalpy는 GP, $\beta$-amylase, $\alpha$-amylase 순으로 증가하였으며 GP의 용융 enthalpy값이 다른 경우보다 많이 낮게 나타났다. 재결정도는 GP의 값이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vrami exponent(n)는 0.90 ∼ 1.20 범위에 있었으며 노화속도의 시간상수 1/k은 GP, $\beta$-amylase, $\alpha$-amylase, Control의 순이었다. 효소류를 첨가한 떡의 조직감은 대조구에 비해서 차이를 보였으며 종류별 효과는 GP, $\beta$-, $\alpha$-amylase의 순으로 나타났다. L* 값은 $\beta$-amylase를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하고 a* 값은 효소간 5% 수준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었다. b* 값의 경우는 GP는 청색 방향으로, $\beta$-, $\alpha$-amylase는 반대인 황색 방향으로 변하였다. 효소 처리한 떡의 관능검사는 효소 처리한 것이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어 좋은 관능성을 보여주었다.

Synthesis of Glucosyl-sugar Alcohols Using Glycosyltransferases and Structural Identification of Glucosyl-maltitol

  • Kim, Tae-Kwon;Park, Dong-Chan;Lee, Y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7권5호
    • /
    • pp.310-317
    • /
    • 1997
  • Enzymatic synthesis of glucosyl-sugar alcohols using various transglycosylating enzymes, such as cyclodextrin glucanotransferase (CGTase), ${\alpha}$-amylase, ${\alpha}$-glucosidase, and pullulanase was investigated using various sugar alcohols, such as sorbitol, xylitol, inositol, maltitol, and lactitol as glucosyl acceptors. CGTase showed the highest transglycosylating activity to sugar alcohols compared to other transglycosylating enzymes, and inositol and maltitol were the most suitable glucosyl acceptors. Soluble starch, extruded starch, cyclodextrins, and maltooligosaccharides were also identified to be adequate glucosyl donors for transglycosylation reaction of CGTase to sugar alcohols. The synthesis of glucosyl-maltitol in the reaction system using extruded starch as the glucosyl donor and maltitol as the glucosyl acceptor showed the best results showing the highest transglycosylation yield. The transglycosylation products were purified by activated carbon column chromatography with ethanol gradient elution. Chemical structures of above transglucosylated products were analyzed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and two products were identified to be maltotritol and maltotetraitol, in which one or two glucose molecules attached to the parent maltitol molecule by a ${\alpha}$-l,4-glucosidic bond, respectively.

  • PDF

고구마전분의 산처리 특성과 산분해 잔사의 구조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lintnerized starches from sweet Potato)

  • 김성란;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3호
    • /
    • pp.196-201
    • /
    • 1992
  • 분질 고구마인 수원 147과 점질인 황미로부터 전분을 분리하고 산가수분해 특성 및 X-ray 회절도를 통해 내부결합력 및 결정강도를 비교하였으며 겔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산분해 잔사의 구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원 147이 황미보다 산가수분해에 강한 저항성을 보였으며 생전분의 결정화도와 산처리에 따른 전분들의 상대적 결정화도의 증가는 수원 147이 더 크게 나타났다. 산처리에 의하여 ${\beta}$-Amylolysis limit(%)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겔크로마토그래피로 용출되는 분자크기가 크게 감소했다. 산분해 잔사는 중합도(DP) 25와 DP 15 부근의 2개의 peak로 분획되었다. Debranching 한 후의 분획은 DP 15부근의 단일 peak로 나타났고 peak의 DP에서 분질과 점질간 차이가 나타났다.

  • PDF

PRELIMINARY STUDY ON NIR SPECTRA OF RETROGRADED STARCH

  • Terazawa, Yoko;Maekawa, Takaaki;Kawano, Sumio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515-1515
    • /
    • 2001
  • Retrogradation of starch is one of important quality indexes for food based on starch such as rice. Therefore, in this research, possibility of near infrared spectroscopy to determine the degree of the retrogradation was examined. The degree of the retrogradation was indicated as the degree of geratinization analyzed by BAP(-amylase-pullulanase) method. 20 samples which have a wide range of the degree of the retrogradation were prepared and the NIR spectra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in reflectance mode with the NIR Systems 6500. In the correlation plots calculated from the 2nd derivative values of the MSC treated spectra and the degree of the geratinization, the major negative peaks of 1544 nm and 2258 nm, and the major positive peaks of 1460 nm, 1602 nm, 1766 nm and 2136 nm could be observed, indicating that NIR absorption at the positive peak wavelengths became strong while the absorption at the negative peak wavelengths became weak as the degree of the retrogradation increased. Because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the retrogradation and the degree of the geratinization. As a result of MLR using the 2nd derivative values of the MSC treated spectra and the degree of the geratinization, good calibration equation which include 2258 nm as the first wavelength and 1764 nm as the second one could be obtained, indicating that NIR spectroscopy has a possibility to detect the retrogradation of starch. In order to find the assignment of the bands observed in the correlation plots, further study may be needed.

  • PDF

분질 및 점질 고구마 전분의 아밀로펙틴 특성 (Characterization of amylopectins isolated from dry and moist type sweet potato starch)

  • 김성란;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1호
    • /
    • pp.26-31
    • /
    • 1991
  • 한국산 고구마 중 분질인 수원 147과 점질인 황미로부터 전분을 분리하고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아밀로펙틴의 분자구조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수원 147 전분은 황미전분에 비하여 팽윤력이 낮고 호화개시온도가 높았다. ${\beta}-Amyloysis\;limit(%)$는 수원 147 아밀로펙틴이 57.6%, 황미 아밀로펙틴이 57.0%를 나타내었고, 평균사슬길이는 수원 147 아밀로펙틴이 24.8 포도당단위, 황미 아밀로펙틴이 21.9 포도당단위였다. 아밀로펙틴을 pullulanase로 가지절단처리한 후 Sephadex G-50으로 분획한 결과는 중합도($\overline{DP}\;35{\sim}45$)와 $\overline{DP}\;10{\sim}20$의 bimodal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두 아밀로펙틴간 peak의 중합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