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ffing temperatur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초

비유탕 유과 제조를 위한 진공팽화기의 개발 및 공정변수에 따른 유과의 팽화특성 (Development of Vacuum Puffing Machine for Non-deep Fried Yukwa and Its Puffing Characteristics by Process Variables)

  • 유제혁;류기형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3호
    • /
    • pp.193-201
    • /
    • 2010
  • 기존의 재래식 유탕팽화유과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진공을 이용한 진공팽화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공정변수에 따른 진공팽화유과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부피팽화율, 밀도, 절단강도, 색도, 미세구조를 측정하였다. 진공팽화기의 공정변수는 가열온도(100, 120, 140, 160, ${180^{\circ}C}$), 예열시간(0, 2, 4, 6, 8분), 진공팽화시간(5, 10, 15, 20분)이며, 가열온도 ${100^{\circ}C}$, 예열시간 6분, 진공팽화시간 10분에서 진공팽화유과의 부피팽화율은 10.04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밀도는 0.15 g/$cm^3$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지만, 부피팽화율 9.47, 밀도 0.16 g/$cm^3$으로 측정된 가열온도 120${^{\circ}C}$,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에서의 진공팽화유과가 유탕유과의 외관 및 조직과 가장 유사하였다. 절단강도는 가열온도 ${100^{\circ}C}$, 예열시간 6분, 진공팽화시간 15분에서 140 g/$cm^2$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색도는 예열시간과 진공팽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백색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진공팽화유과의 백색도(L값)가 유탕팽화유과보다 25정도 높았으며, 적색도(a값)와 황색도(b값)는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진공팽화유과의 미세구조는 가열온도 ${120^{\circ}C}$,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에서 기공이 작고 균일하였다. 유탕팽화유과와 비교 시 절단강도는 유사하였으나, 부피팽화율은 낮았고, 밀도는 높았다. 셀이 균일하게 형성된 진공팽화의 미세구조와는 달리 유탕팽화유과의 미세구조는 표면과 내부층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진공팽화기의 최적 공정조건은 진공팽화유과의 품질을 고려 할 때, 가열온도 ${120^{\circ}C}$, 예열시간 4분, 진공팽화시간 5분으로 판단되었다.

Effect of Puffing in the Extraction of Active Ingredients from the Roots of Paeonia lactiflora and Astragalus membranaceus

  • Lee, Hyojin;Jang, Kyoung W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8권2호
    • /
    • pp.89-92
    • /
    • 2022
  • In Asia, the roots of Paeonia lactiflora and Astragalus membranaceus have been used as therapeutic agents for thousands of years. Once the medicinal plants are harvested, they are dried and their ingredients are extracted by heat-mediated reflux extraction. However, the condensed structure of organic products (especially roots) limits the extraction of bioactive components.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effect of the puffing method (using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before the extraction process in relation to the profile and antioxidant capacity of active ingredients. We demonstrated that the additional puffing process before extraction methods improves the yield of polyphenol concentrations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the roots of P. lactiflora and A. membranaceus.

디젤/1-부탄올 혼합연료 단일액적의 자발화 현상 (Autoignition Phenomena of a Single Diesel/1-Butanol Mixture Droplet)

  • 김혜민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0-95
    • /
    • 2018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erimentally observe the autoignition phenomena of a diesel/1-butanol mixture droplet in ambient pressure and $700^{\circ}C$ condition. A volume ratio of 1-butanol in the fuel was set to 25, 50 and 75%. A single droplet was installed at the tip of fine thermocouple, and the electric furnace dropped down to make elevated temperature condition. Droplet behavior during the experiment could be divided into 3 stages including droplet heating, puffing and autoignition/combustion. Puffing process intensively observed for the case of 1-butanol volume ratio of 25 and 50%, but did not occur at 75%. Increase of 1-butanol volume ratio hindered rise of the droplet temperature and delayed ignition. In addition, puffing process also affected on autoignition, so the ignition delay of 1-butanol volume ratio of 50% was became longer than that of 75% case.

팽화처리가 인삼Extract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ffing treatments on the Sensory Qualities improving of Ginseng Extract)

  • 심건섭;이성갑
    • 기술사
    • /
    • 제33권1호
    • /
    • pp.106-115
    • /
    • 2000
  • The effect of puffing treatments on the sensory qualities improving of Ginseng Extract were investigated in the good products for rejecting soil flavor as Ginseng foreign bad taste, through chemical analysis and actual manufacturing practi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Puffing treated<15kg / ㎠psi> ginseng has produced a marked increase in soluble solid, crude saponin yield to the extent of 10% and without soil taste as compared with control Ginseng. Optimum Ginseng ethanol extraction condition were 90$\^{C}$ for 8 hours, which was cheap operating cost and color, apperance, total solid yield of Ginseng extracted products. For 70% ethanol extraction in temperature range of 60∼90$\^{C}$ for 8 hours, the higher temperature resulted higher yields in solids and Ginsenoside Especially, GinsenosideRgl as most effective physiological function component yield was increased in 18% by puffed Ginseng than control Cinseng products. The Hunter's color, L. a and b values of Ginseng extract were 31.09, 21.9 and 49.5 and increase brown and red color value and total Δ Evalue.

  • PDF

수분함량과 온도에 따른 즉석팽화 쌀 스낵의 물리적 특성 (Effect of Moisture Content and Temperature on Physical Properties of Instant Puffed Rice Snacks)

  • 김철;유제혁;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846-852
    • /
    • 2012
  • 멥쌀, 찹쌀, 찐멥쌀의 수분함량(9, 12, 15, 18%)과 즉석팽화기의 팽화온도(200, 210, $220^{\circ}C$)를 달리하여 제조한 즉석팽화스낵의 체적밀도, 색도,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 미세구조 등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즉석팽화스낵 제조 시 수분함량과 팽화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체적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색도에서 수분함량이 감소할수록, 팽화온도가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a,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는 수분함량과 팽화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멥쌀, 찹쌀, 찐멥쌀 간에는 체적밀도, 파괴력,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에서 차이를 나타내었고 색도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미세구조는 수분함량이 9%에서 15%로 증가함에 따라 기공의 크기가 작고 균일하게 분포되었으며 찹쌀 즉석팽화스낵의 기공이 가장 작고 균일하게 나타났다.

팽화 가공에 따른 홍삼과 백삼의 성분변화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and White Ginseng after Puffing)

  • 김상태;장지현;권중호;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5-361
    • /
    • 2009
  • 백미삼(지근), 홍미삼(지근), 홍삼절편Ⅰ(주근: 수삼-증삼-건조-습점-절편-건조) 및 홍삼절편II(주근: 수삼-절편-증삼-건조)을 puffing gun으로 팽화시켜 그 전후의 성분특성을 조사하였다. 팽화 후 기화로 인해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다른 일반 성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당의 경우 팽화 후 모든 시료에서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당의 경우 백미삼을 제외한 홍삼류 시료에서 증가 경향을 보였다. 모든 시료에서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홍삼류 시료들은 일부 ginsenoside에서 2배 이상의 증가량을 보였다. 또한 팽화 후 산성 다당체가 증가하였을 뿐만아니라 총 페놀성 화합물과 전자공여능의 경우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여 팽화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전반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팽화 후 아미노산 함량 및 지방산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백미삼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무기질 함량은 팽화 전후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모든 시료에서 일반 성분, 무기질 등의 함량변화 없이 약리활성을 가지는 조사포닌, 총 페놀성 화합물, 산성 다당체 등의 성분들이 팽화 가공으로 인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부가가치의 인삼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하여 팽화가공법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Puffing 조건에 따른 황기, 오미자, 맥문동 및 길경을 첨가한 한방차의 Benzo[α]pyrene 변화 (The Changes of Benzo[α]pyrene in Herbal Teas containing Astragalus membranaceus, Schizandra chinensis, Liriope platyphyll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Which are affected by the Puffing Conditions)

  • 오성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5-79
    • /
    • 2014
  • The following study is the result of herbal teas puffed at different temperatures between $140{\sim}220^{\circ}C$. Depending on treatment temperatures, the water contents decreased, while some carbonization occurred and crude ash contents relatively increased. Also, th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experienced little changes. B(${\alpha}$)P contents (0.16~0.17 ppb) showed little change according to treatment temperatures. From this result, the B(${\alpha}$)P content differed depending on the treatment temperature and raw materials. Solid elution rate figures of the herbal teas ranged from 0.27~0.45% (w/w) and the rate of solid elution increased along with higher puffing temperatures. The reason for the increase in solid elution rates is due to the breakage of cross bridges between the raw materials in the herbal tea which are carbohydrates, proteins, lipids and etc. after treatments of physical changes rather than chemical ones.

당귀, 작약, 천궁, 삼백초, 인진쑥 및 산조인을 첨가한 한방차의 팽화 온도별 고형분 용출율과 Benzo[${\alpha}$]pyrene의 변화 (Changes in Solid Elution Rate and Benzo[${\alpha}$]pyrene During Puffing Temperature of Herbal Tea Containing Angelica gigas, Paeoniae radix, Cnidium officinale, Saururus chinensis, Artemisia capillarisin and Zizyphus vulgaris)

  • 장재선;최미용;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05-312
    • /
    • 2014
  • 팽화 처리온도를 각각 $140{\sim}220^{\circ}C$로 한 한방차 제품의 성분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처리온도의 상승에 따라 일부 탄화가 발생하며 조회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소폭의 변화가 있었고,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분함량은 감소하였다. 한방차의 고형분 용출률은 0.18~0.27%(w/w)로 나타내었는데, 팽화온도가 상승할수록 증가하였다. 고형분의 용출은 온도가 화학적 변화보다 물리적 변화에 의해 식품의 원재료 성분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천연 상태에서 상호가교 결합이 물리적인 힘으로 어느 정도 파괴되어 성분의 용출이 용이해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벤조피렌 함량은 0.18~0.24ppb로 처리온도, 원재료에 따라 B(${\alpha}$)P 함량에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고구마 분말을 첨가한 팽화과자(뻥튀기)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al Properties of -uffed Snacks (ppeongtuigi) Added with Sweet Potato Flours)

  • 천선화;은종방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147-152
    • /
    • 2011
  • 고구마 분말을 첨가한 뻥튀기 제조 시 팽화시간, 팽화온도, 수분함량과 같은 팽화조건을 달리하여 물리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색도에서 수분함량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팽화온도와 팽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L^*$값이 감소하고, $a^*$값과 $b^*$값이 증가하였다. 비체적은 팽화시간, 팽화온도,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일반 고구마 뻥튀기의 비체적도 증가하였으며, 파괴력은 낮은 수분함량, 높은 팽화온도, 오랜 팽화시간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외관, 색, 향, 조직감, 맛에 대한 패널들의 전체적인 기호도를 나타낸 관능평가에서는 수분함량 및 팽화온도가 높고, 오랜 팽화시간 하에 제조된 시험구가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고온 증기를 이용한 잎담배의 팽화연구 (Method for expanding tobacco leaves with steam at high temperature and velocity)

  • 김병구;김기환;정한주;유광근;이태호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8-78
    • /
    • 1995
  • A study of expanding tobacco includes the steps of adjusting the moisture content of cut tobacco, without the use of exogenous impregnants by contacting the filler with a high velocity gaseous medium at elevated temperature such that heat is rapidly and substantially uniformly transferred from the medium to the filler for a total contact time sufficient to expand the tobacco leaves. Study is disclosed for drying and expanding cut tobacco by introducing the tobacco into an elongated tubular shaped conduit through which steam high temperature 150-35$0^{\circ}C$ and high velocity above the 18m1sec, super steam is recycled. moisture content of shreded tobacco leaves, immediately before treatment within the range of from 10% to 24% and, most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from 18% to 21%. Expanding rate showed 70% in NC -82(B.3) and 42% in Burley -21(B.1) which is produced in 1993 under this condition. When expanding tobacco expanded tobacco did not change significally, but they were decreased at 27$0^{\circ}C$ very largely. The curtailment of cost price an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items were improved in cigarettes. Key words : Expanding tobacco, Super steam tobacco expansion, Fast drying tobacco, High temperature treat tobacco, Puffing tobacc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