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software business regula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Impact of Work Motivation on Satisfaction and Turnover of Public Universities Lecturers

  • PHAM, Chinh D.;HOANG, Thao P.D.;NGUYEN, Yen T.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1135-1146
    • /
    • 2021
  • The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types of motivation and satisfaction as well as turnover intentions of public university lecturers. Intrinsic motivation is found to affect both satisfaction and turnover, while for extrinsic motivation, only one typ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The web-based questionnaire with convenience sampling was chosen to approach target respondents. Data was collected by sending a link of the questionnaire to the lecturers' email. There were 700 questionnaires collected. Of which 681 valid responses, after screening out unusual questionnaires. In order to fulfill these aims, the authors employ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maximum likelihood method supported by AMOS software with 681 valid samples. The evidence confirms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satisfaction for university lecturers which has been shown in previous studies. With regard to extrinsic motivation, extrinsic regulation (material) i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meaning financial rewards and job security will lead to his contentment while introjected regulation is a source of dissatisfaction.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at intrinsic motivation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intentions. A person who is interested in the job itself is less likely to leave his or her job due to a keen passion for it.

경제규제의 헌법적 원리와 발전적 재조명 - 소프트웨어진흥법상 대기업참여제한제도의 헌법적 소고 - (Constitutional Principle on Economic Regulation and Progressive Prospect: Focused on Restriction of the Participation of Large-scale Software Business Operators in the Public Informatization Market with respect to the revised Software Industry Promotion Act)

  • 이학수
    • 정보화정책
    • /
    • 제19권3호
    • /
    • pp.3-18
    • /
    • 2012
  • 경제질서라는 헌법적 문제는 어느 국가와 시대를 막론하고 항상 뜨거운 이슈가 되어 왔다. 한국에서도 국가규제의 정도와 수준에 대하여 끊임없는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헌법 제119조는 시장경제질서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예외적으로 시장에 대한 정부의 개입과 조정을 허용하고 있다. 헌법이 국가에게 규제와 조정의 권한을 부여한 것은 기본권의 보장과 실현이라는 최종적 헌법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국가는 "시장의 자유와 창의"의 수호자로서 또한 경제민주화라는 목표달성을 위한 공정한 조정자와 중재자로서의 역할이 그 소명을 다하여야 한다. 경제헌법이 어떠한 역사적 변천과정을 겪었는지를 살펴 보고, 학설과 판례를 통해 축적된 헌법 제119조의 원리를 분석함으로써, 현재 우리 사회에서 경제헌법이 갖는 의미를 되짚어 보기로 한다. 그리고 최근 개정된 소프트웨어 산업진흥법상의 대기업참여제한제도를 고찰하여 바람직한 국가정책방향을 모색해 보기로 한다.

  • PDF

델파이와 AHP 기법을 활용한 전자정부사업 규제의 적정성 분석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alysis Model of E-government Business Regulation Using Delphi and AHP Method.)

  • 김회수
    • 정보화정책
    • /
    • 제27권2호
    • /
    • pp.40-6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정부 사업 규제에 대해 이해당사자의 파편적인 주장에 근거하여 규제를 제정하지 않고, 정량적인 방법에 의해 규제의 비용편익분석을 하고 이에 따라 규제 도입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자정부 규제 마련 시 추구해야 할 정책 목적을 기반으로 정량적인 규제분석 모델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먼저 전자정부 규제 시, 추구해야 할 정책목적을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대중소 분류로 나누어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AHP 기법을 적용하여 개별 정책목적 항목의 중요도를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분석모델을 기반으로 기존 전자정부 규제에 대해서도 그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수 규제들이 규제 제정 당시 논의되었던 일부의 규제 목적은 달성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전체적인 국민편익 측면에서도 부(-)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효율성과 소비자 편익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이 크다고 분석되었다.

CFD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여객선 제연설비의 성능기반 설계 사례 (A Performance-based Design Example of Smoke Extraction System Using CFD Fire Simulation)

  • 이정무;김성훈;이성근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7권3호
    • /
    • pp.454-461
    • /
    • 2010
  • The new SOLAS regulation permits the alternative design approach for the approval of designs which deviate from those where prescriptive rules apply. The new approach is being promoted by recent advances of noble designs such as those employing large public spaces in passenger ships. From the respect of fire safety, it is needed to show that the level of safety of new design is equivalent to what can be achieved from the prescriptive rules where the fire simulation is regarded to be the essential tool.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process of performance-based design of the smoke extraction system in a cafeteria of a ROPAX. FDS, a CFD fire simulation software is used to show that the field-model software can improve the fire safety over what are expected from prescriptive rule sets or zone-model application.

래더링 기법을 이용한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공공 PMO)제도의 이해관계자 별 가치체계 (Stakeholder's Valuation of Public PMO System Using Laddering)

  • 백형충;박찬혁;장성용;김자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127-136
    • /
    • 2015
  •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이 개편된 후 문제로 지적된 사업 리스크와 품질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공 PMO 허용을 골자로 하는 전자정부사업관리 위탁 제도를 도입하였다. 이해관계자인 발주자, 사업자, PMO의 견해 차이로 공공PMO 제도가 안착하지 못하고, 추가적인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균형 있는 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각 이해관계자 간의 견해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심리학적 수단-목적 사슬이론(Means-end chain theory)과 그 방법론의 하나인 래더링 기법과 가치단계도(HVM, Hierarchical Value Map)를 이용하여 공공 PMO 제도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한 이해관계자 별 인지구조를 분석하고, 견해 차이를 유발하는 근본 원인을 분석한다. 추가로 이해관계자들이 제도에 기대하는 혜택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제도들도 분석한다.

공공 서비스 수출 플랫폼을 위한 온톨로지 모형 (An Ontology Model for Public Service Export Platform)

  • 이광원;박세권;류승완;신동천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1호
    • /
    • pp.149-161
    • /
    • 2014
  • 공공 서비스의 수출의 경우 수출 절차와 대상 선정에 따른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며, 공공 서비스 수출 플랫폼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 중심의 유연하고, 개방형 구조의 디지털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서비스의 수출은 다수의 이해당사자가 참여하고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사용자의 이해 종류와 탐색 컨설팅 협상 계약 등 수출 프로세스 단계별로 맞춤형 플랫폼 서비스 제공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플랫폼 구조는 도메인과 정보의 정의 및 공유는 물론 지식화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서비스 수출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위한 온톨로지 모형을 제안한다. 서비스 플랫폼의 핵심 엔진은 시뮬레이터 모듈이며 시뮬레이터 모듈에서는 온톨로지를 사용하여 수출 비즈니스의 여러 컨텍스트들을 파악하고 정의하여 다른 모듈들과 공유하게 된다. 온톨로지는 공유 어휘를 통하여 개념들과 그들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특정 영역에서 구조적인 틀을 개발하기 위한 메타 정보를 구성하는 효과적인 도구로 잘 알려져 있다. 공공서비스 수출 플랫폼을 위한 온톨로지는 서비스, 요구사항, 환경, 기업, 국가 등 5가지 카테고리로 구성되며 각각의 온톨로지는 요구분석과 사례 분석을 통하여 용어를 추출하고 온톨로지의 식별과 개념적 특성을 반영하는 구조로 설계한다. 서비스 온톨로지는 목적효과, 요구조건, 활동, 서비스 분류 등으로 구성되며, 요구사항 온톨로지는 비즈니스, 기술, 제약으로 구성 된다. 환경 온톨로지는 사용자, 요구조건, 활동으로, 기업 온톨로지는 활동, 조직, 전략, 마케팅, 시간으로 구성되며, 국가 온톨로지는 경제, 사회기반시설, 법, 제도, 관습, 인프라, 인구, 위치, 국가전략 등으로 구성된다. 수출 대상 서비스와 국가의 우선순위 리스트가 생성되면 갭(gap) 분석과 매칭 알고리즘 등의 시뮬레이터를 통하여 수출기업과 수출지원 프로그램과의 시스템적 연계가 이루어진다. 제안하는 온톨로지 모형 기반의 공공서비스 수출지원 플랫폼이 구현되면 이해당사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며 특히 정보 인프라와 수출경험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게 상대적으로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개방형 디지털 생태계를 통하여 이해당사자들이 정보교환, 협업, 신사업 기획 등의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