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초

직장 차별과 직장 폭력이 임금 근로자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Violence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Employees)

  • 김무성;최은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0-171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association between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employee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4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of 2014, which included 21,902 Korean employees. Depressive symptoms were measured using the WHO-5 Well-Being Index questionnaire scales. Result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workplace violence was found, and these two variables were also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After adjusting for variables such a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risk, and psychosocial working environment, workplace discrimination (OR=1.22, p<.001) and workplace violence (OR=1.69, p<.001) were both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to promote employees' psychological health, systems and programs to prevent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violence are needed. Development of these systems and programs should consider employees' experiences of workplace discrimination and workplace violenc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risk, and psychosocial working environments.

허베이스피릿호 유류유출사고 방제작업에 참여한 주민의 정신건강 (Psychological Health in Residents Participating in Clean-up Works of Hebei Spirit Oil Spill)

  • 송민교;홍윤철;정해관;하미나;권호장;하은희;최예용;정우철;허종일;이승민;김은정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2호
    • /
    • pp.82-88
    • /
    • 2009
  • Objectives : Our objective was to examine and evaluate the psychological health of the residents of Taean during the cleanup of the Hebei Spirit(HS) oil spill and to review som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results. Methods : A community survey of 71 men and women was conducted 8 weeks after the HS oil spill. Questionnaires used were the PWI(Psychological Well-being Index) scale for psychosocial distress, the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for depressive symptoms, and a questionnaire created to assess suicidal impulses. Results : The overall prevalence of high-risk psychosocial distress among the study group was 64.2%. The percentages of respondents with scores on the CES-D Scale above 16 and above 21 were 77.6% and 62.7%,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categorized as having suicidal impulses was 18.3%. When compared with unexposed groups in the general population taken from various sources, the residents of Taean were 6.5 times as likely to have high stress and 9.4-9.7 times as likely to be depress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suicidal impulse was found between the residents of Taean and the general population.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mpulses were age, a change in income, educational level, number of days working on the cleanup, and positive responses to questions about "affected daily activity" and "hospital visit due to work on cleanup".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HS oil spil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sychological health of residents of Taean, but the comparability of the unexposed groups is a limitation of the study.

Relationship between stress levels and treatment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Yoon, Hyung-Jun;Lee, Sung-Hee;Hur, Jun-Young;Kim, Hye-Sun;Seok, Jeong-Ho;Kim, Hyung-Gon;Huh, Jong-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8권6호
    • /
    • pp.326-331
    • /
    • 2012
  • Objectives: Stress may have an impact on treatment types that patients receive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s).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index and type of treatments in patients with TMD. Materials and Methods: The 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 (PWI-SF) was used to evaluate stress levels in ninety-two patients with TMD. Treatment typ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group received counseling, physical therapy or medication, while the second group received splint therapy or surgical intervention. Results: The high-risk group (PWI-SF${\geq}27$, the higher the points, the more severe the stress level) was more frequently treated by splint therapy than the low-risk group (PWI-SF<27). Female TMD patients reported higher PWI-SF scores than male TMD patien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relationship between stress levels and treatment types for patients with TMD. Thus, the appropriat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stress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in treating TMD.

또래관계에 대한 자기평가편향과 주관적 안녕감, 대인행동의 관계: 적정한계선 가설의 검증 (How self-estimation bias in peer relationship relates to subjective well-being and to interpersonal behaviors: Testing the optimal margin hypothesis)

  • 이은주;염혜선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3호
    • /
    • pp.263-286
    • /
    • 2020
  • 본 연구는 실제 또래관계에 비해 자신의 또래관계를 긍정적으로 편향되게 지각하는 경향이 주관적 안녕감 및 기본심리욕구 지지적인 대인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긍정적 착각의 적정한계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자기평가편향이 이들 변인과 곡선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346명을 대상으로 또래관계에 한정된 영역특수적 자기평가와 그에 상응하는 객관적 또래관계 지표인 내향중심성을 준거로 자기평가편향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또래관계에 대한 자기평가편향은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에게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기평가편향은 부정정서와 유의미한 정적 곡선관계, 관계성지지 대인행동과 유의미한 부적 곡선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적 착각의 적정한계선 가설이 의미하는 바와 같이, 긍정적 자기평가편향이 높을수록 부정정서는 낮고 대인관계에서 타인의 관계성 욕구를 지지하는 대인행동을 많이 하지만, 자기평가편향이 적정 수준을 넘어서면 오히려 부정정서는 높아지고 관계성 지지행동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긍정정서, 유능성지지 대인행동, 자율성지지 대인행동에 대해 정적 선형관계를 나타낸바, 긍정적 착각의 적정한계선 가설이 모든 결과변인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었다.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영성과 스트레스 (Spirituality and Stress in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 김창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6권4호
    • /
    • pp.253-263
    • /
    • 2013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영성과 스트레스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여,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정신보건영역 등 휴먼서비스 전문가의 영성증진과 효율적인 스트레스 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방법: 2011년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국내 정신보건분야에 근무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54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영성척도(Spirituality Scale)와 심리사회적스트레스 척도(Psychosocial Well-being Index Short Form, PWI-SF)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영성수준은 평균 3.63점,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수준은 18.78점이었고, 영성수준은 연령, 교육, 종교유무, 결혼상태에 따라,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는 결혼상태에 따라 각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성과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r=-0.548, P<0.001)가 있었고, 영성의 하위영역인 삶의 의미와 목적, 자비심, 내적 자원, 자각, 연결성, 초월성 모두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각각 부적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수준은 정상군에서 영성수준이 가장 높았고, 고위험군에서 가장 낮았으며, 영성은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의 30.0%를 설명해 주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영성과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영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낮음을 시사해 주었다.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영성의 수준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영적 감수성 지향의 개입전략이 요구된다.

대학생들의 수면의 질과 우울증상과의 관계 : 긍정심리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University Students : Moderating Effect of the Positive Psychology)

  • 정수현;박정현;윤형준;김정호;김남철;김상훈
    • 생물치료정신의학
    • /
    • 제24권3호
    • /
    • pp.173-183
    • /
    • 2018
  • Objectives : The aim of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poor sleep quality and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or sleep quali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 A total of 2,338(1,071 male and 1,267 female) university students at seven universities of four cities in Korea were randomly selected to participate in a survey.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Positive Psychotherapy Inventory(PPTI),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 The prevalence was 44.8% for poor sleep quality and 14.4% for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By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poor sleep quality(${\beta}=0.453$, p<0.001) aggravated depressive symptoms of university students, and life satisfaction(${\beta}=-0.087$, p<0.001) and happiness(${\beta}=-0.145$, p<0.001) respectively buffered the negative effect of the poor sleep quality on depressive symptoms.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very high prevalence of poor sleep quali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Overall, these findings demonstrates that positive psychology can be effective in the enhancement of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y help to reduce depressive symptom levels. In the context of public health, positive psychology can be used as preventive, easily accessible and non-stigmatizing tools.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물리적/심리적요인에 대한 연구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of musculoskeletal symptoms)

  • 박동현;배성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9권spc호
    • /
    • pp.107-12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근골격계질환, 특히 직업성요통에 관련되는 위험요인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째로 물리적인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해석적인 인체역학 모델과 NIOSH(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 Health) Guidelines를 이용하여 자동차 조립작업의 직업성 요통관련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총 246 작업자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분석결과 총 20개의 작업에서 L5/S1에서의 압축력이 300kg이 넘었으며 44개의 작업은 NIOSH Guidelines에 의한 분석결과, 최저허용기준치(ACTION LIMIT)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사회심리적 요인과 직업성요통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사회심리적 요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증상과 PWI(Psychosocial Well-being Index)를 토대로 한 설문을 이용하여 246명 작업자 모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7명의 작업자가 직업성 요통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으며 특히 27명의 작업자는 유병자로 분류된 바 있는 사람들이었다. PWI 점수를 근거로 하여 나눈 두 집단(저스트레스군, 고 스트레스군)은 증상이나 진단결과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작업강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주로 작업자세요인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업성요통의 발생에 대하여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인구학적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 작업특성 요인이 직업성 요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특성요인 즉, 작업경험, 흡연, 수면시간 등은 직업성요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특성요인은 직업성 요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과는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향후 다양한 직종에서의 이와같은 경험적 연구결과가 축적되어 우리나라의 조직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직업성 요통에 대한 위험모델에 구축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The round-the-clock technique for correction of gynecomastia

  • Tarallo, Mauro;Taranto, Giuseppe Di;Fallico, Nefer;Ribuffo, Diego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6권3호
    • /
    • pp.221-227
    • /
    • 2019
  • Background Gynecomastia is a common condition that can cause severe emotional and physical distress in both young and older men. Patients in whom symptomatic recalcitrant gynecomastia persists for a long time are potential candidates for surgery. Methods From January 2014 to January 2016, 15 patients underwent correction of gynecomastia through a single 3-mm incision at our institution. Only patients with true gynecomastia underwent surgery with this new technique. Through the small incision, sharp dissection was performed in a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direction describing two half-circle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aesthetic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Breast Evaluation Questionnaire (BEQ). Results The patients' average age was 23.5 years (range, 18-28 years), and their average body mass index was $23.2kg/m^2$ (range, $19.2-25.3kg/m^2$). One case was unilateral and 14 cases were bilateral. The weight of glandular tissue resected from each breast ranged from 80 to 170 g. No excess skin was excised. Bleeding was minimal. The mean operating time was 25 minutes (range, 21-40 minutes). No complications were recorded. All lesions were histologically benign. The patients' average score was 3.5 (on a 5-point Likert scale) in all domains of the BEQ for themselves and their partners.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a new technique that allows mastectomy through an imperceptible 3-mm incision. We obtained high patient satisfaction scores using our surgical technique, and patients reported considerable improvement in their soci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fter surgery.

피로를 호소하는 성인의 핵심칠정척도 단축형을 활용한 정서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dult with Fatigue Using the Core Seven Emotions Inventory-Short Form)

  • 이나현;김광우;유영수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23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dults who complained of fatigue using the Core Seven Emotion Inventory-Short Form (CSEI-s) followed by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Chalder fatigue scale (CFQ) and 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 (PWI-SF). Methods: In this study, the medical records of 45 participants who complained of fatigue and completed the CSEI-s, CFQ, and PWI-SF were evaluated. Records of a total of 45 ad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25.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1.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participants, Thought (思) was identifi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below college graduate than in graduate school and above. 2. As the period of complaining of fatigue increase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Depression (憂) and Fright (驚). 3. According to the degree of fatigu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憂) and Fright (驚), and especially Depression (憂) was higher in the middle fatigue group than in the low fatigue group. 4. PWI-SF, Anger (怒), Depression (憂), and Sorrow (悲)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FQ score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CSEI-s can be used to measure the psychological symptoms of a patient with fatigue.

코로나 전후 행복 이슈 변화 분석 및 행복 증진 방안 연구 (A Topic Modeling Approach to the Analysis of Happiness Issues Before and After Pandemic)

  • 김가혜;이소현
    • 지능정보연구
    • /
    • 제28권3호
    • /
    • pp.81-103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정신건강과 웰빙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세계 행복 보고서를 통해 꾸준하게 대중의 행복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2019년 중국에서 발생한 코로나19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전염병의 장기화로 인한 스트레스 누적이 사람들의 행복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팬데믹 이후 '우울', '불안'과 같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알렸고, 수치상으로 행복 지수가 낮아졌음을 밝혔다. 전염병 이후 한국 사회에서 대중들이 느끼는 행복의 이슈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이슈를 분석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한국인의 행복이슈에 생긴 변화를 파악하고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코로나19 이전 데이터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코로나19 이후 데이터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로 시기를 나누어 수집하였다. ERG 이론에 기반한 하위 키워드 32가지를 검색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코로나19 전후 토픽 모델링 결과를 국회 미래연구원에서 발표한 '행복 지표 2.0'의 '건강', '안전', '경제', '교육', '관계 및 사회참여', '여가', '삶의 만족' 영역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토픽과 키워드의 세부적인 의미에서 코로나19 전후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각 영역의 관점에서 행복 증진 방안을 토픽과 키워드를 비교 해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실제 대중들의 '행복' 관련 의견을 마이닝하여 코로나19로 인한 심리적 변화에 대한 연구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시사한다. 또한, 기존 행복 증진 불행 경감 방안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객관적인 행복 지표 영역을 활용해 행복 증진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