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health.

검색결과 2,606건 처리시간 0.04초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공감능력을 매개변수로 노인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the Elderly Contact Experience and Aging Knowledge on the Elderly Discrimination Recognition Using the Empathy Ability)

  • 양정남;최은정;김화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59-7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노인접촉경험과 노화지식이 노인차별인식에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2018년 12월 20일~30일까지 J도 D대학 학생 35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Sobel의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접촉경험과 노인차별인식의 영향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노화지식과 노인차별인식 간에도 공감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노인차별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노화지식 함양과 노인 접촉경험을 확장하고 공감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노년기 조기퇴직과 경력마감 형태 : 남성노인을 중심으로 (Old Age Early Retirement and Careering Ending Patterns : Centering around the US Older Men)

  • 이현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33-61
    • /
    • 2003
  • 본 연구는 서구사회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중고령자의 조기퇴직과 그에 따른 경력의 마감형태에 대하여 개인수준의 자료를 갖고 노동시장 및 사회보장정책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오늘날 많은 중고령근로자들이 조기퇴직을 하고 있지만 그 이후에 어떤 형태로 경력을 종료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55세 이후 직업에서 이탈한 후 61세까지의 개인의 노동시장 경험을 분석하여 노년기의 경력마감형태를 발견 구성해 보고 어떤 요인들이 복잡한 경력종료형태에 영향을 미치는지 미시적 모형과 거시적 모형을 설정, 그 영향력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틀은 대규모의 조기퇴직 현상은 종래의 사회심리적 결정모델과 미시경제적인 설명방법보다는 사회의 구조적 과정으로서 노동시장의 주체(기업, 경영자협회, 노조, 국가)등의 역할을 강조하는 고령화의 정치경제적 접근(political economy of aging)에 바탕을 둔 노동시장접근방법을 차용하였다. 본 목적을 위해 전미고령자종단연구 1966-1991(최종분석대상 n=2,784)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면 55세 현직에서 계속 근무하는 형태(27.3%), 55세 직업을 그만두고 전직하여 다른 직업에서 근무하는 형태(46.1%), 노동시장전출입을 반복한 형태(4.4%), 간헐적으로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형태(15.9%), 영구 퇴직하여 노동시장에 복귀하지 않는 형태(6.3%)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설명모델을 추정한 결과 건강의 정도, 코호트 소속, 민족적 배경, 가치관 변수보다는 기업연금, 공적연금, 노동시장상태, 직업의 구조변수들이 고령자의 경력마감행동에 더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노동시장접근관점이 조기퇴직을 설명하는데 더 강한 설명력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서울시내 일부 노인들의 소외정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Extent of Alienation Revealed among A Group of Aged People in Seoul City)

  • 김행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2-43
    • /
    • 1974
  • A steady increase in the aged population poses a great challenge to nurses with their diversities of health care needs, especially of psychological nature, such as an alienation problems among the a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ture of alienation problems among the aged in urban are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aged people.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has tried to identify causes of alienation in the aged, and to determine the extent of alienation in relation to sex, family structure, religion, economic statu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The survey was done during the period from the last part of August to the end of September 1973. After a day's training, 10 interviewers have interviewed 210 stratified random samples of people over the age of 65 residing in Seoul with the free-ended questionnaire prepared by the investigator.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ested by Critical Ratio. Following Hypothesis have guides formulation of the study: I. The extent of alienation in old man would be higher than in old woman, II.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ho live alone would be higher than those living with their family. III.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ho have no spouse would be higher than who live with their spouse. IV.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people without religious beliefs would be higher than the people with religious biles. V.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ould be higher in proportion to decreased level of their economic productivity. Ⅵ.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ho do not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would be higher than that of the aged who actively participate. The analytic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ellows: 1. The extent of alienation in woman was revealed higher than that of man b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CR=3.66) Accordingly hypothesis I was denied. 2.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ile live alone was revealed higher than that of the aged who live with their family by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CR=7.31) So hypothesis II was supported. 3. The extent of alienation of the aged who have no spouse was revealed higher than that of the aged who live with their spouse at the significant level of P <0.01. CR=4.65) Accordingly hypothesis III was supported,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t of alienation between the people with and-without religion. Thus hypothesis IV was rejected. 5.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as found to be higher in proportion to decreased level of their economic ability. a. The aged with greatest income showed least alienation b. The aged with no income had a greater extent of alienation than the aged with minimal income b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at P <0.01 level . (CR=4.82) c.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eatest income group and the minimal income group was. found to be less significant than the difference between minimal income group and the-people without income. Thus hypothesis V was positively supported. 6. The extent of alienation in the aged who do not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ged who actively participate. (P <0.01, CR=6.24) According1y hypothesis Ⅵ was supported.

  • PDF

소셜 빅데이터와 Google 검색트렌드를 활용한 한국과 미국의 사이버불링 검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Social Factors Affecting Internet Searches on Cyber Bullying in Korea and America Using Social Big Data and Google Search Trends)

  • 송태민;송주영;천미경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7-7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빅데이터와 Google 검색 트렌드를 활용하여 한국과 미국의 사이버불링 검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의 사이버불링 요인 분석은 2011년 1월 1일부터 2013년 3월 31일까지 총 227개 소셜미디어에서 수집된 검색통계를 활용하였고, 미국은 2004년 1월 1일부터 2013년 12월 22일까지 구글 검색트렌드에서 검색된 검색량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첫째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스트레스가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은 한국이 미국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집단 구조모형 분석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 스트레스에서 운동, 음주, 사이버불링으로 가는 경로가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미국은 모든 경로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스트레스 ${\rightarrow}$ 운동', '스트레스 ${\rightarrow}$ 음주', '음주 ${\rightarrow}$ 사이버불링', '스트레스 ${\rightarrow}$ 사이버불링' 경로가 한국이 미국보다 더 유의하게 강하게 나타났다. 한국의 청소년과 성인은 사이버불링과 관련한 담론을 주고받으며, 이러한 언급이 실제적인 사이버불링과 관련된 심리적 행동적 특성으로 노출이 될 수 있기 때문에 SNS상에 사이버불링 행위에 대한 위험징후가 예측되면 실시간으로 개입할 수 있는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국내 인지행동치료 연구의 지식구조: 동시출현단어 분석 (Knowledge Structure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tudies in Korea: Co-word Analysis)

  • 김도희;김현진;안다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509-521
    • /
    • 2019
  •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Cognitve Behavioral Therapy: CBT)분야 학술지에서 나타난 키워드의 출현패턴을 조사하여 국내 CBT 연구의 지식구조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국내·외에서 수행된 CBT 연구를 비교하고자 '인지행동치료'에서 출판된 논문 234편(2008-2019)과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에서 출판된 논문 2,316편(1977-2019)이 수집되었다. 자료는 NetMiner 4.3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으며 동시출현단어 분석은 코사인 유사도 행렬을 산출하고, 네트워크를 시각화하는 절차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국내 CBT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식별되었고, 국내 CBT 지식구조는 9개의 연구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척도 타당화', '완벽주의와 속박감', '조현병 환자의 인지, 정서, 관계적 특성', '경계선 성격장애와 우울/양극성 장애 환자의 인지적 특성과 치료', '적응과 심리적 건강', '사회불안장애 환자의 인지적 특성과 치료', '우울의 원인과 공존이환', '수용전념치료', '폭식 장애 환자의 이해와 치료'. 본 연구는 지난 11년 동안 국내 CBT 분야에서 축적된 지식을 점검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국내 CBT 연구의 향후 발전과제로 임상적 실천 표준을 제고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아동 구타의 발생율 조사 (AN INCIDENCE SURVEY OF BATTERED CHILD IN THE TWO ELEMENTARY SCHOOLS OF SEOUL - A FOLLOW-UP STUDY IN 5 YEARS -)

  • 고복자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권1호
    • /
    • pp.56-72
    • /
    • 1992
  • 1986년 선행조사에서와 같은 학년 학생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내용의 설문지를 동일한 조사방법을 통해 1991년에 재조사하여 아동구타 발생율의 변화를 살펴보고, 선행연구에서 얻어졌던 결과들과 후속연구결과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5년 전에 비해 매맞는 아동의 수가 상당히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66.2%{\rightarrow}96.4%$), 2) 5년 전에 비해 심하게 구타당한 아동의 수, 즉 아동구타율은 거의 3배 정도 증가된 것으로 나왔다. 3) $가정{\cdot}사회{\cdot}$환경요인의 특징은 거의 대부분 5년 전의 결과와 동일하거나 유사하였다. 4) 구타양상이나 구타아동의 정신증상 및 신체증상 역시 5년 전의 결과와 동일했다.

  • PDF

바이오휘드백을 이용한 점진적 근육이완훈련이 스트레스반응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using Biofeedback on Stress Response and Natural Killer Cell in first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 김금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9-121
    • /
    • 2000
  • Increasingly nursing science is embracing the concepts and methodology derived from psycho-neuroimmunology. It has been previously shown that stress increases and immune function declines in students undergoing examinations. To date, however, no many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stress levels, immune function and interventions in Korean students undergoing their first clinical nursing rotation. It was proposed that nursing students during their first clinical rotation experience increase in stress because of the novelty of the situation and their lack of clinical knowledge. It was also hypothesized that biofeedback and progressive relaxation, methods of self-regulation of involuntary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would reduce the stress respo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progressive muscle laxation using biofeedback The effectiveness of the experimental methods was test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symptoms of stress (SOS) and the values of ephinephrine, pulse rate, blood pressure and natural killer cel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irty nursing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was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group using biofeedback and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8 weeks of clinical practice. Biofeedback training was done by software developed by J&J company (1-410 form for progressive muscle training).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according to Jacobson's Theory was done by messaged word from biofeedback.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hronbach' ${\alpha}$ and t-test of the SPSS program and the significance level of statistics was 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 1)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using biofeedback was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symptoms of stress(t=-4.248, p<.001) under clinical practice stress conditions. 2)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using biofeedback was not effective for the values of epinephrine(t=-1.294, p=.206). 3)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using biofeedback was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systolic blood pressure (t=-2.757, p=.01). 4)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using biofeedback was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diastolic blood pressure (p=-2.032, 0=.05). 5)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using biofeedback was not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pulse rate(t=-15, p=.988). 6)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using biofeedback was effective for the maintenance of natural killer cells (t=2.381, p=02). The first clinical rotation for student nurses is a stressful experience as seen by the rise in the SOS in the control group. Biofeedback using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wer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rise of symptoms of stress and the blood pressure means when comparing the pre to post clinical experience, The mean natural killer cell count was depressed in the control group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xperimental groups, It is proposed here that stress via the hypothalamic - pituitary - adrenal axis suppressed the NK cell count whereas the relaxation methods prevented the rise in stress and the resulting immune depression. We recommend relaxation techniques using biofeedback as a health promotion technique to reduce psychological stress. In summary. the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raining using biofeedback was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symptoms of stress under clinical practice stress conditions.

  • PDF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in maxillectomy patients: A longitudinal study

  • Kumar, Pradeep;Alvi, Habib Ahmad;Rao, Jitendra;Singh, Balendra Pratap;Jurel, Sunit Kumar;Kumar, Lakshya;Aggarwal, Himanshi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1호
    • /
    • pp.29-35
    • /
    • 2013
  • PURPOSE. To longitudinally assess the quality of life in maxillectomy patients rehabilitated with obturator prosthesi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six subjects were enrolled in the span of 16 months, out of which six were dropouts. Subjects (age group 20-60 years) with maxillary defects, irrespective of the cause, planned for definite obturator prosthesis, were recruited. The Hindi version of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Head and Neck version 1 of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was used before surgical intervention and one month after definitive obturator. Questionnaire includes 35 questions related to the patient's physical health, well being, psychological status, social rela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Probability level of P<.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quality of life after rehabilitation with obturator prosthesis was 81.48% (${\pm}13.64$) on average. On item-level, maximum mean scores were obtained for items problem with teeth ($1.87{\pm}0.94$), pain in mouth ($1.80{\pm}0.92$), trouble in eating ($1.70{\pm}0.88$), trouble in talking to other people ($1.60{\pm}1.22$), problems in swallowing solid food ($1.57{\pm}1.22$) and bothering appearance ($1.53{\pm}1.04$); while minimum scores were obtained for the items coughing ($1.17{\pm}0.38$), hoarseness of voice ($1.17{\pm}0.53$), painful throat ($1.13{\pm}0.43$), trouble in having social contacts with friends ($1.10{\pm}0.40$) and trouble having physical contacts with family or friends ($1.10{\pm}0.31$). CONCLUSION. Obturator prosthesis is a highly positive and non-invasive approach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maxillectomy defects.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Bullying Damage Experience of Adolescent)

  • 문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85-697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관련하여 지난 20여년 간 국내에서 연구된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관련요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발요인의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발요인군의 개인심리요인군과 학교생활요인군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발요인군 중 개인심리요인군의 하부요인인 공격성, 불안,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요인군인 학업스트레스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억제요인 전체효과크기와 억제요인군의 가정환경요인군, 개인심리요인군, 학교생활 요인군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억제요인군인 중 가정환경요인군의 하부요인인 긍정적부모양육태도와 부모지지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심리요인군의 하부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요인군의 하부요인인 친구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은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의 선행된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정리하여 객관적 결과를 살피기 위한 수량적 통합을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를 예방하고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수립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조경시공분야 신입사원들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s among the Newcomers in the Construc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 김도균;유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73-86
    • /
    • 2015
  • 본 연구는 조경시공분야 신입사원들의 직무환경, 직무특성, 직무역량이 이직에 미치는 영향을 개념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설문에 의한 실증 분석하였다. 조경시공분야 신입사원들은 입사 3년 이내에 이직경험이 54.5%로 우리나라의 다른 분야 대졸신입사원들보다 1.6배 정도 더 높았다. 조경시공분야 신입사원들의 이직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회통계학적으로 직무량(p<0.01), 직무적합성(p<0.1), 대인관계(p<0.1)에 유의하였고, 나머지 직무자율성, 직무여건, 직무역량, 직무정체성, 직무다양성, 직무보상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조경시공분야 신입사원들의 이직의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량>대인관계>직무적합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경시공분야 신입사원들의 이직의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서 인적자원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