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ximate analysis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33초

New composites based on low-density polyethylene and rice husk: Elemental and thermal characteristics

  • Anshar, Muhammad;Tahir, Dahlang;Makhrani, Makhrani;Ani, Farid Nasir;Kader, Ab Sama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50-257
    • /
    • 2018
  • We developed new composites by combining the solid waste from Low-Density Polyethylene in the form of plastic bag (PB) and biomass from rice husk (RH),in the form of $(RH)_x(PB)_{1-x}$ (x = (1, 0.9, 0.7, 0.5)), as alternative fuels for electrical energy sources, and for providing the best solution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Elemental compositions were obtained by using proximate analysis, ultimate analysis, and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and the thermal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from thermogravimetric analysis. The compositions of carbon and hydrogen from the ultimate analysis show significant increases of 20-30% with increasing PB in the composite. The activation energy for RH is 101.22 kJ/mol; for x = 0.9 and 0.7, this increases by 4 and 6 magnitude, respectively, and for x = 0.5, shows remarkable increase to 165.30 kJ/mol. The range of temperature of about $480-660^{\circ}C$ is required for combustion of the composites $(RH)_x(PB)_{1-x}$ (x = (1, 0.9, 0.7, 0.5)) to perform the complete combustion process and produce high energy. In addition, the calorific value was determined by using bomb calorimetry, and shows value for RH of 13.44 MJ/kg, which increases about 30-40% with increasing PB content, indicating that PB has a strong effect of increasing the energy realized to generate electricity.

토천궁과 일천궁의 화확성분 비교 (Comparision of Chemical Components of Ligusticum chuanzxiong HORT and Cnidium officinale MAKINO)

  • 황진봉;양미옥
    • 분석과학
    • /
    • 제11권1호
    • /
    • pp.54-61
    • /
    • 1998
  • 토천궁과 일천궁이 한방이나 가공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본적인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토천궁이 조단백 함량이 높았으며, 무기질은 일천궁이 토천궁에 비해 칼륨과 나트륨이 높은 반면, 그외는 토천궁이 전체척으로 높았다. 유리당 조성은 sucrose만 검출되었고, fructose와 gluc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순으로 구성되었고, 토천궁과 일천궁의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글루탐산,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발린 순으로, 대부분 필수아미노산도 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 PDF

Comparative nutritional analysis for protopanaxadiol-enhanced genetically modified rice and its non-transgenic counterpart

  • Na Yeon Kim;Sung Dug Oh;Soo Yun Park;An Cheol Chang;Seong Kon Lee;Ye Jin Jang;So-Hyeon Baek;Yong Eui Choi;Jong-Chan Park;Doh Won Yun
    • 농업과학연구
    • /
    • 제51권2호
    • /
    • pp.239-249
    • /
    • 2024
  • In the assessment of the biosafety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a comparative approach to identify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crops is helpful in identifying potential safety and nutritional issues. In this study, we aimed to compare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a protopanaxadiol-enhanced genetically modified rice (PPD GM rice) with its non-transgenic counterpart. The nutritional profile of PPD GM rice was assessed against that of the parental rice cultivar 'Dongjin' to ascertain nutritional equivalence.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PPD GM and Non-GM rice cultivar in proximate analysis, mineral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rude fat, crude protein, total dietary fiber, and some minerals between PPD GM rice and Dongjin, these variances fell within the range suggested by common cultivars (Anmi and Nipponbare) an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data. Similarly, while some amino aci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se metabolites did not deviate from the OECD rang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conducted using the nutritional analysis data of PPD GM rice and Dongjin. The results revealed that PPD GM rice and Dongjin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ultivation years. This suggests that the variability i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PPD GM rice tends to resemble that of the parental rice cultivar 'Dongjin' rather than being solely attributed to genetic modification. Overall,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PPD GM rice is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at of its non-transgenic counterpart.

재배지역별 단삼의 성분 분석 및 생리활성 비교 (Component Analysis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from Different Cultivation Regions)

  • 양은주;선유경;서예슬;신보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29-936
    • /
    • 2017
  • 재배지역에 따른 단삼의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를 위하여 고창, 영양, 장흥 지역의 국내산 단삼 3종과 중국산 단삼에 대한 일반성분,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고, 열수 및 75% 에탄올 추출을 시행하여 단삼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항염증 활성 평가와 salvianolic acid B 함량을 측정하였다. 단삼의 일반성분은 재배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영양 단삼이 가장 높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고창 단삼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재배지역별 단삼의 열수 및 75%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영양 단삼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75%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더 우수하였다. B. cereus에 대한 지역별 단삼 추출물의 항균 활성은 영양 단삼이 가장 높았으며, 열수에 비해 75%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더 우수하였다. LPS로 염증을 유도한 RAW 264.7 세포에 지역별 단삼 추출물을 처리하여 NO 저해율을 비교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중국산 단삼이 34% 저해율로 가장 높았으나, 75%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고창 단삼이 68% 저해율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재배지역별 단삼 추출물에서 주요 성분인 salvianolic acid 함량을 비교한 결과 영양 단삼 추출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열수에 비해 75% 에탄올 추출물의 함량이 좀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한국산 두류(豆類)중 단백질의 분별(分別) 및 전기영동(電氣泳動)패턴 (Fractionation and Electrophoretic Pattern of Proteins in Some Korean Beans)

  • 강명희;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15-422
    • /
    • 1978
  • 한국산 두류중 대두를 제외한 팥, 녹두, 강남콩에 대한 일반성분의 분석, 용해도에 의한 단백질의 분별(分別) 정량(定量) 및 polyacrylamide gel disc electrophoresis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으로는 지방이 적어 1%미만이었고 탄수화물은 60% 내외로 많았으며 단백질은 $20{\sim}25%$ 이었다. 2) 단백질중 총 globulin 함량은 $46{\sim}59%$로 대두에 비해 적었고 녹두>강남콩>팥의 순이었다. Albumin은 대두와 비교할 때 강남콩만 비슷하였고 팥, 녹두는 떨어졌으며 대신 glutelin의 함량이 많아 $10{\sim}19%$의 범위에서 팥>녹두>강남콩의 순이었다. 3) 전기영동(電氣泳動) 결과 전(全)단백질을 pH 7.6 완충액으로 추출한 것은 팥, 녹두, 강남콩에서 각각 9, 12, 11개의 band를 보였으나 pH 4.8 완충액으로 추출한 것은 분리가 더 되 어 각각 13, 13, 12개의 band를 보였다. Water extract의 경우는 팥, 녹두, 강남콩에서 각각 10, 8, 9개의 band를 보였으며 이 중 albumin획분(劃分)은 각각 8, 9, 7개, globulin 획분(劃分)은 모두 4개의 band를 보였다. 세가지 두류의 globulin 획분(劃分)중 Rm 치 $0.05{\sim}0.07$사이의 band는 모두 water extract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것으로 물에 녹지 않는 globulin 고유의 band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표고균사체 발효하수오 배양적 특성 및 이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sitions of fermented 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root by Lentinula edodes (Berk.) Pegler mycelials cultivation)

  • 오준석;홍재희;박태영;김경제;진성우;반승언;고영우;정상욱;임승빈;서경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4-190
    • /
    • 2016
  • 본 연구는 하수오 표고균사(Lentinula edodes JMI-10079) 배양 최적조건 탐색을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표고균사로 배양된 하수오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무기성분을 분석하였다. 하수오 표고균사 배양 최적온도는 생장속도는 $25^{\circ}C$ 였으며, pH 5~8의 범위에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하수오 표고균사 배양 최적 탄소원은 glucose였으며, 질소원은 malt extract로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적하수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지방 함량과 조회분 함량은 적하수오 발효물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섬유 함량은 대조구에서 36.3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16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총 구성아미노산 및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적하수오 발효물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하수오 100%에서도 표고균사배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향 후 대량생산을 시도할 때 공정조건이 간편할 것으로 보인다. 성분 분석 결과에서도 하수오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 조회분, 총 아미노산 및 potassium을 제외한 무기성분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여, 향 후 표고균사 배양 하수오를 이용한 식품개발이 기대되어 진다.

국내 다빈도 가공식품 중 볶음밥류의 영양성분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for Bokkeumbap Products in High-Frequency Processed Foods in the Republic of Korea)

  • 정의환;차승현;김병희;윤성원;김인환;천지연;이기택;김영화;신의철;서동원;이삼빈;이준수;장금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89-597
    • /
    • 2019
  • In this study, 70 kinds of nutritional composition for five bokkeumbap products(spicy chicken, shrimp(saeu), haemul, nakji, and barbecue bokkeumbap) in high-frequency processed foods were analyzed. Raw data of intake amounts were collected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garding proximate composition, spicy chicken bokkeumbap had lower water content and higher carbohydrate content than other bokkeumbaps, resulting in the highest total calories.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other bokkeumbaps were all distributed within a similar range. Vitamin content differed according to ingredients added to the bokkeumbaps. Haemul bokkeumbap had high content of vitamins B1 and B2, nakji bokkeumbap had high content of vitamin C and β-carotene, and barbecue bokkeumbap had high content of total niacin, folic acid, and vitamin A. For mineral content, barbecue bokkeumbap showed the highest content distribution, while nakji bokkeumbap showed the lowest content distribution. Regarding fatty acid and fat content, the highest content of fatty acids, saturated fats, and trans fats was detected in shrimp(saeu) bokkeumbap. For amino acid content, barbecue bokkeumbap showed highest content distribu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salient basic data for a food nutrient composition database and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consumers' health.

야생 팽나무버섯의 생리활성 분석 (Analysis o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ild Flammulina velutipes)

  • 윤향식;최재선;김기식;노재관;박재성;노창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2-26
    • /
    • 2010
  • 충북지역에서 수집한 야생 팽나무버섯의 식품소재로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동결 건조한 후 일반성분 및 전자공여능, 총폴리페놀 함량, ACE 저해도와 ${\alpha}$-glucosidase 저해도등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대조군으로 갈뫼팽이버섯과 4종의 수집 야생 팽나무버섯의 일반성분은 건물중으로 분석하였으며, 조단백질은 17.1~21.3 g/100g, 조지방은 4.1~4.9g/100g, 탄수화물은 65.9~70.5g/100g, 조섬유는 7.9~18.1g/100g, 조회분은 5.7~8.4g/100g 범위를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63.35~69.31%로 시료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폴리페놀 함량은 9.83에서 11.14 mg/g로 대조구와 유사하였다. ACE 저해도는 대조구인 갈뫼 팽이버섯과 수집종인 CBMFV-02가 각각72.91%, 71.44%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도는 CBMFV-01이 46.5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사육을 위한 Chlorella의 배양 1. 적종 Chlorella의 선택 (Chlorella cultivation for mass culture of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I. Selection of suitable Chlorella species)

  • 허성범;김현준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35-143
    • /
    • 1988
  • 해산어류 및 갑각류의 유생사육시 먹이로 사용되는 rotifer(Brachionus Plicatilis)의 먹이생물로 이용되는 Chlorella중 어떤종이 대량사육에 가장 적합한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수산 Chlorella 2종, 담수산 Chlorella 4종에 대한 성장 및 영양염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해수산 Chlorella중에서는 C. ellipsoidea가 f/2배지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나타냈고 담수산 Chlorella 중에서는 C. vulgaris가 Complesal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다. 2. 성장의 측면에서 볼 때 담수산인 C. vulgaris는 해수산인 C. ellipsoidea보다 specific growth rate가 1.68배나 높게 나타났다. 3. 영양염의 측면에서 볼 때 지방은 해수산인 C. ellipsoidea가 조단백과 회분은 담수산인 C. vulgaris가 더 높았다. 아미노산측정에서 $NH_3$의 함량이 담수산인 C. vulgaris가 해수산인 C. ellipsoidea보다 8배 이상 높은 점이 특이하였다.

  • PDF

두류(팥, 녹두, 검정콩) 물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queous Extracts in Small Red Bean, Mung Bean and Black Soybean)

  • 고광진;신동빈;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54-859
    • /
    • 1997
  • 옛부터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었던 팥, 녹두 및 검정콩 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세가지 원료 두류 중 팥과 녹두는 탄수화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검정콩은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이 높았으나 두류 추출액들은 원료의 함량과는 상관없이 모두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유리당에 있어서 팥 추출액에는 fructose가, 녹두 추출액에는 fructose와 glucose가 그리고 검정콩 추출액에 있어서는 glucose와 maltose가 검출되지 않았고, 두류의 특징이라고 하는 삼당류인 raffinose와 사당류인 stachyose가 세가지 두류 추출액에 모두 상당량 함유되어 이들 기능성 올리고당에 대한 관심이 기대된다. 두류 추출액에서 17종의 유리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는데 이 중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및 serine의 함량이 상당히 높았으며 녹두 추출액에서는 팥과 검정콩 추출액에서 검출되었던 유리 아미노산인 cystine이 검출되지 않았다. 팥, 녹두, 검정콩 추출액에서 칼슘, 칼륨, 나트륨, 인 및 철의 5가지 무기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 나트륨, 칼슘, 철의 함량순으로 분석되었다. 검정콩 추출액이 460 nm와 540 nm에서의 흡광도가 가장 높았고, 색도는 세 가지 두류 추출액 중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일관성이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