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vincial road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1초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ONSITE EQUIPMENT USAGE IN ROAD CONSTRUCTION

  • Byungil Kim;Hyounkyu Lee;Hyoungbae Park;Hyoungkwan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286-291
    • /
    • 2011
  • Onsite usage of construction equipment accounts for a 6.8% of air pollution in Korea. The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such emissions impact not only climate change, but also people's health. However,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onsite equipment usage have not yet been fully investigated. This study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n how much greenhouse gas is generated by various equipment types used in different construction activities. Two ongoing cases which involve a typical road construction project in Korea were selected for the comparison purpos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each onsite equipment usage of the different activities were estimated on the ground of design documents. The estimat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the main source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result showed that earthwork constituted the largest part-more than 90%-among work types. Dump truck, bulldozer, and loader were major sources for such emissions.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onsite equipment usage.

  • PDF

무선조정 헬리곱터 사진측량시스템을 이용한 도로의 평면선형정보 추출 (Extraction of Horizontal Alignment Information using RC Helicopter Photogrammetric System)

  • 장호식;노태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4-5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무선조정 헬리곱터 사진측량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로의 중심선 좌표 및 기타 도로시설물을 추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추출된 도로 중심선 측량에서 X방향은 -0.117m ~ 0.103m, Y축으로는 -0.014m ~ 0.009m 정도의 오차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기존의 도로 중심선 측량방법보다 나은 값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이 시스템을 적용하여, 도로시설물의 유지관리뿐만 아니라 교통이 혼잡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지역이나 소지역에서의 위치선정 및 선형설계에 필요한 DB을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긴급제언 - 대심도 광역지하급행철도 네트워크 효과 (Deeper Underground Greater Metropolitan Express Train Network Effect)

  • 이선
    • 기술사
    • /
    • 제42권4호
    • /
    • pp.45-50
    • /
    • 2009
  • The modal split structure of the Korea's transportation system has been dominated by road-oriented structure. The shortage of the inftrastructure to accommodate the rapidly increasing travel demand has brought about socio-economic losses such as severe traffic congestion and high logistic costs, and thereby weakened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Highway transportation sector is more vulnerable to energy consumption comparing with railway sector since the highway sector is dependent mostly on fossil fuels for its energy source. In 2006 annual road cogestion costs in Korea reached 24.6 trillion won, with an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5.4%. The annual road congestion cost of intercity highways were 9.2 trillion won. As the new cities that recently developed are located far from Seoul area, the boundary of commut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is extended. It makes passengers have longer trips with longer travel time, and the congestion problem to be more serious. In this regards,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proposed a deeper underground metropolitan express train system for the greater Metropolitan area. which is named as GTX. Gyeonggi Province suggested 3 key underground lines, based on the outcome of the feasibility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Society of Transportation, and submitted to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for its review. If the project is approved for construction and completed in 2016, the daily volume of surface traffic bound for Seoul will be reduced substantially and therefore the users will be benefitted for time savings by an annual amount of 2 trilion won every year.

  • PDF

2차로 시설개량 사업의 도로 안전성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Road Safety Evaluation Method for Improvement Project of Two-Lane Road)

  • 신철호;김낙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1호
    • /
    • pp.105-114
    • /
    • 2019
  • 최근 사회여건의 변화로 도로정책의 패러다임은 이용자 중심의 안전성 위주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 시설개량사업은 지속적인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으나 대부분 경제적 타당성 확보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도로 안전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타당한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시설개량 대상사업 선정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 개발을 위해 국도, 국지도, 지방도 등 75개 노선에 대해 현행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을 토대로 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분석하여, 새로운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사고발생현황을 가중치를 통해 일반 평가항목으로 추가하고, 지자체 공무원들의 문제 지적 및 건의 사항 등을 통해 최종 평가항목을 확정하였다. 각 평가항목에 대해서는 전문가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설문 평가를 통해 합리적 가중치를 도출하였으며, 항목별 평가기준을 토대로 안전지수(Safety Index)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각 항목의 안전지수(SI)를 토대로, 각 안전지수의 곱인 종합 안전지수를 산출하였으며, 위험구간 판정 기준을 정립하였다. 또한, 위험구간 연장 비율인 종합위험도에 따른 시설개량 대상사업 선정 기준 도출 등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도로 안전성 평가기법을 개발하였다.

AHP분석을 활용한 일방통행 선정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eria Establishment for One-way road using AHP)

  • 박제진;박민철;김재곤;하태준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9-49
    • /
    • 2017
  • 도시계획상 도로로 지정되지 못한 구도심의 이면도로에 있어서 교통혼잡 해소 등의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국내에 맞는 일방통행 선정기준의 정립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방통행제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교통체계관리기법 중 가장 효과가 큰 일방통행의 선정기준을 재정립하고, 이면도로를 대상으로 이용효율 및 일방통행 지정 확대를 위한 선정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방통행제 선정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교통관련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계층분석법(AHP)을 수행한 결과, 보행량 및 보행교통 사고요인의 중요도가 높게 분석되었다. 세부 평가항목과 평가척도를 조합한 발생가능한 모든 시나리오 중 10,000개를 임의 추출하여 시나리오별 분석 결과를 그래프화 한 결과, 변곡점을 갖는 3개 구간($1{\leq}$A구간<1.91, 1.9$1{\leq}B$구간 <2.08, $2.08{\leq}C$구간<3)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수행을 통해 제시된 이면도로 일방통행 선정기준은 향후 일방통행 지정 및 재정비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국도 도로유형별 설계시간계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Design Hourly Factor by Road Type for National Highways)

  • 하정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52-62
    • /
    • 2013
  • 설계시간계수는 계획목표연도의 연평균 일교통량에 대한 설계시간교통량의 비율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30번째 시간순위 교통량이 이용되고 있다. 30번째 시간순위 교통량을 설계시간교통량으로 하는 경우 휴일교통량 및 명절교통량의 영향을 크게 받아 과다설계될 수 있다. 보다 객관적인 K계수 산정은 연간 8,760시간의 모든 시간 교통량이 관측되어야 가능하나 상시조사 지점 이외의 경우 사실상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국도의 설계시간계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30번째 시간순위 교통량을 적용하는 방법과 첨두시간교통량을 적용하는 방법, 그리고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시간순위 교통량의 곡선의 곡률을 이용하여 설계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설계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설계시간계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일반국도의 설계시간계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도로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도로유형별 설계시간계수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30번째 시간순위 교통량을 적용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실제 시간순위 교통량의 곡선의 곡률이 어느 시간순위에서 변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국도 상시조사 지점의 각 지점별 8,760시간 교통량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0번째 시간순위 교통량으로 산출한 설계시간계수가 타 방법과 비교하여 설계시간계수를 높게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첨두시간 교통량으로 산출한 설계시간계수는 도로유형별 차이가 크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첨두시간 교통량은 1년 교통량의 특성을 설명하기 어렵고, 30번째 시간순위 교통량은 휴일 및 명절교통량의 영향이 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시간순위 교통량의 곡선의 곡률을 이용한 방법으로 일반국도 설계시간계수를 산출한 결과 관광부를 제외하고 미국 도로용량편람과 다소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간순위는 평균적으로 118번째 교통량이 적당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도로유형별로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행시간 기반 실시간 점대점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 (A Real-time Point-to-Point Shortest Path Search Algorithm Based on Traveling Time)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31-140
    • /
    • 2012
  • 네비게이션의 최단 경로 탐색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Dijkstra 알고리즘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가중치로 단지 길이 (거리) 만을 고려하고 있다. 거리 기반의 Dijkstra 알고리즘은 출발 노드부터 시작하여 그래프의 모든 노드에 대한 최단 경로를 결정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노드의 수 - 1회를 수행해야 하며, 알고리즘 수행에 많은 메모리가 요구된다. 또한, 거리에만 기반하기 때문에 전방에 차량사고로 인해 병목현상이 발생하였을 때 우회도로를 탐색하는 기능이 없어 항상 동일한 경로만을 탐색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은 도로 등급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을 고려하지 않고, 속도 기준 (원활, 지체 서행, 정체, 사고 통제 등)도 적용하지 않으며, 단지 도로별 주행시간 (주행속도 ${\times}$ 거리)을 고려한다. 이는 사고, 지체, 공사 등으로 인해 동일한 거리의 도로도 다른 시간이 소요되는 현실성을 반영하여 우회도로를 탐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특정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한 경우에도 도로의 통행속도를 실시간으로 반영함으로서 돌발지점을 우회하여 목적지 까지 최단시간 내에 도달 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기상인자를 고려한 도로 위험지도 개발 (Development of a Road Hazard Map Considering Meteorological Factors)

  • 김형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33-144
    • /
    • 2017
  • 최근 기상정보는 우리 실생활에 더욱 밀접해지고 있으며, 특히 교통분야에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에 따른 교통분야의 피해는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기상상태에 따른 도로 위험정도, 교통사고 발생가능성 등 상관관계가 매우 높을 것으로 추정됨에도 불구하고 교통예보서비스, 교통안전정보 제공 등 국내 연구는 기초연구 수준에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상인자별 사고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실시간 기상정보와 교통정보를 연계하여 기상상황별 도로위험 예보서비스를 위한 위험지도 개발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자료 수집 및 분석, 자료가공, 기상상태별 예측모형을 적용, 웹 지도상에서 전국고속도로를 대상으로 기상상태별도로 위험지도를 제공하는 방안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로 위험지도는 향후 온라인, 모바일 서비스 등 도로 관리자, 사용자에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인 자율주행자동차 운행에 있어 기상요소에 따른 위험도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위험지도 DB를 지속적으로 아카이빙하고 제공하여 보다 안전한 자율주행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립공원의 양서류 로드킬 현황 (Roadkill of Amphibians in the Korea National Park)

  • 송재영;김민선;김인수;김태헌;노일;서상원;서은경;서정근;양주영;우경덕;원혁재;이영구;임윤희;한선희;문명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7-193
    • /
    • 2009
  • 국립공원 내 양서류 로드킬(Roadkill)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 동안 24개 노선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2목 5과 9종 1,748개체가 차량에 의해 로드킬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년차별 비교결과 2006년에 비해 2007년, 2008년에 로드킬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월부터 6월 사이에 북방산개구리, 두꺼비, 물두꺼비가 집중적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림-하천" 및 "산림-산림" 환경에서 교통사고가 집중 발생하였고, 덕유산국립공원 국도 37호선, 속리산국립공원 지방도 517호선, 오대산국립공원 국도 6호선, 월악산국립공원 지방도 597호선 등 총4개 노선에서 집중적으로 로드킬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 지역의 주요 로드킬 대상종이 북방산개구리와 물두꺼비로 확인됨에 따라서 이들 종에 대한 저감대책 수립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제(日帝) 강점기(强占期) 광주(光州) 금남로(錦南路) 지역(池域)의 토지이용(土地利用)과 소유(所有)의 변화(變化) (Changes in Land Use and Ownership of Kumnamno in Kwangju Under the Rule of Japanese Colonialism)

  • 조정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0
    • /
    • 2001
  • 본 논문은 토지대장과 지적도를 이용하여 일제강점기 동안 광주의 금남로 지역을 대상으로 토지 이용의 변화, 가로형태의 변화, 토지소유의 사회적 패턴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일제시대 광주의 대표적인 상징물인 전남도청과 광주역을 연결하는 직선 상징 축으로서 금남로는 1925년에 시작되어 1933년에 완성되었다. 금남로 지역은 밭과 논이 있었으나 1940년에 모두 대지화되었다. 광주읍성내는 일본인과 국가의 토지소유가 많았고, 읍성 밖은 한국인의 토지소유가 많았다. 금남로의 개설이 금남로 1 2 3 4 5가의 토지소유의 사회적 패턴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지만, 금남로 5가의 밭의 대지로의 전환에는 약간의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금남로 지역의 토지이음의 변화에는 금남로의 개설보다는 광주의 인구증가 등 도시화에 의한 영향이 더 크게 작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