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4초

모바일 메신저 보안인식과 보안의도를 통한 개인정보 보호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n privacy protection behavior through mobile messenger security awareness and security intention - Focus on Theory of Self-Determination -)

  • 민경은;김성준;권두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1호
    • /
    • pp.207-233
    • /
    • 2016
  • 최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메신저 산업이 빠른 성장세에 있다. 그리고 단순히 메신저를 공유하던 형태를 넘어 개인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서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메신저 보안이 개인화되고 지능화된 기능을 통해 더 다양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모바일 메신저 이용자들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요인들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모바일 보안에 대한 보안인식과 보안태도를 통해 개인정보보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인과관계를 실증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간의 본연적인 내재적 동기를 강조한 자기결정성(SDT: Self-Determination Theory) 이론의 주요 변수들을 적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자율성은 보안인식과 보안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능성은 보안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관계성은 보안인식과 보안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안인식과 보안의도는 개인정보 보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인의 메신저의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소비자들에게 필요한 보안지침 개발을 위한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온라인 소셜네트워크에서 개인의 위험성평가와 자기통제력이 정보보안우려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ividual Risk Appraisal and Ability to Control o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in Online Social Network)

  • 문윤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294-301
    • /
    • 2017
  • 오늘날 온라인 소셜네트워크(OSN: Online Social Network)는 전 세계 수십억명의 사람들이 활용하는 대표적인 인터넷 서비스로, OSN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사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OSN 활용이 늘어나면서 OSN에서 사용자가 노출하는 개인정보가 악용되는 사례 역시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들은 OSN 상에서의 정보보안에 대해 우려감을 가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SN에서 사용자가 가지는 정보보안우려감 개념을 중심으로 정보보안우려감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보호동기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에 기반하여 개인적 차원(개인 사용자의 위험평가와 자기통제력)을 연구모형에 포함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개인적 특성과 정보보안우려감 간 관계가 사용자의 성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조절효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OSN을 활용하는 23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통한 실증분석으로 검증되었다. 연구결과 사용자가 OSN 사용에 따른 위험성이 높으며 더불어 이에 대해 행사할 수 있는 자신의 자기통제력이 약하다고 인지할 경우 정보보안우려감은 높아지지만,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위험평가와 정보보안우려감 간 관계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대학생의 건강행위 평가 연구 (The Study of Evalu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ealth Behaviors)

  • 이창금;박연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517-529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건강행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보호동기이론(Rogers, 1975)과 예방채택과정 모형(Weinstein, 1988)을 개념적 기틀로 사용하였다. 예비문항은 개별면담과 문헌고찰을 통해 추출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검정과 문항 이해도 평가를 거친 후 CVI가 .8이상인 행위문항 55개, 인식문항 24개를 선정하고, 60명의 남녀 대학생들에게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 후 타당도와 신뢰도 검정을 통해 행위문항 33개와 인식문항 24개로 본조사를 위한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조사 설문지는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400명에게 배포되었고, 최종 373부를 자료로 수집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 결과로는 구성타당도를 위한 문항간의 상관관계와 요인간 상관관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 분석에서는 약물복용관리, 위해행동줄이기, 스트레스대처, 몸을 잘 보살피기, 영양관리의 다섯 요인으로 구분된 설명변량이 54.498%였다. 집단 간 비교를 보면 건강행위의 의도를 가진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행위 점수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적 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8-.810, 반분신뢰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702~.789로 적합하였다. 본조사 때 수집된 설문지 문항들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여 결과적으로 최종도구의 문항은 27문항으로 확정되었다.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women's environmental health scales in Korea: severity, susceptibility, response efficacy, self-efficacy, benefit, barrier, personal health behavior, and community health behavior scales

  • Kim, Hee Kyung;Kim, Hyun Kyoung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3-165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following scales on women's environmental health and to examine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severity, susceptibility, response efficacy, self-efficacy, benefit, barrier, personal health behavior, and community health behavior scales. Methods: The item pool was generated based on related scales, a wide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on women's environmental health according to the revised Rogers'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model.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three nursing professional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ere examined. Results: The scales included 10 items on severity, 11 on susceptibility, 10 on response efficacy, 14 on self-efficacy, 8 on benefits, 10 on barriers, 17 on personal health behavior, and 16 on community health behavior. Convergent validity with the environmental behavior scale for female adolescents was supported. The Cronbach's α values for internal consistency were good for all scales: severity, . 84; susceptibility, .92; response efficacy, .88; self-efficacy, .90; benefits, .91; barriers, .85; personal health behavior, .90; and community health behavior, .91. Conclusion: The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shows that these scales are valid and reliable measures of women's environmental health awareness and behaviors. These scales may be helpful for assessing women's environmental health behaviors, thereby contributing to efforts to promote environmental health.

의료기관의 소셜 미디어 마케팅 역량이 인지된 위험 및 의료관광 환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ocial Media Marketing Capability on International Patient Satisfaction through Perceived Risk in the Medical Tourism Context)

  • ;엄기현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03-22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plore the role of social media in attracting international patients for cosmetic services in South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study aims to conceptualize social media as an effective marketing tool for minimizing perceived risks associated with cosmetic services and increasing patient satisfaction. Methods: The study validated proposed hypotheses using the PROCESS macro for SPSS with overseas patients who received cosmetic treatment in private Korean plastic surgery clinics in Busan.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information delivery capability reduced perceived risk and contributed to patient satisfaction, while communication capabil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erceived risk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information delivery capabilit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atient satisfaction, but communication capability did not.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outcomes of this study will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use of social media in reducing perceived risk and increasing satisfaction.

Comparing the Effects of Two Methods of Education (Online versus Offline) and Gender on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 Minjung Park;Sangmi Chai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30권2호
    • /
    • pp.308-327
    • /
    • 2020
  •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is increasing, and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users'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Among these various efforts,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is mainly aimed at providing users with information security knowledge and improving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into offline and online to examine the effects of each education method on attitudes toward information security (perceived severity, vulnerability, self-efficacy and response-efficacy) and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A survey was conducted for users with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experiences. The results obtain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the path coefficients of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according to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experiences showed that security behaviors were more significant in the online experience group than the offline group. In addition, gender differences were analyzed, and it was found that females had a greater impact on information security attitudes than mal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among Internet users with online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experience, females tend to have more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than males, but there were contrasting results among users with offline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nally address the necessity of reflecting users' personalities in the systematic design of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in the future.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need for an appropriate education system that sufficiently understands education types to maximize the effects of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Fraud Detection in E-Commerce

  • Alqethami, Sara;Almutanni, Badriah;AlGhamdi, Mana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6호
    • /
    • pp.312-318
    • /
    • 2021
  • Lack of knowledge and digital skills is a threat to the information security of the state and society, s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information security is extremely important to manage this threat.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assess the state of information security of the state and society.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a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according to the EU-27 2019.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study is the theory of defense motivation (PMT), which involves predicting the individual negative consequences of certain events and the desire to minimize them, which determines the motive for protection. The results show the passive behavior of EU citizens in ensuring information security, which is confirmed by the low level of participation in trainings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skills and mastery of basic or above basic overall digital skills 56% of the EU population with a deviation of 16%. High risks to information security in the context of damage to information assets, including software and databases, have been identified. Passive behavior of the population also involves the use of standard identification procedures when using the Internet (login, password, SMS). At the same time, 69% of EU citizens are aware of methods of tracking Internet activity and access control capabilities (denial of permission to use personal data, access to geographical location, profile or content on social networking sites or shared online storage, site security checks). Phishing and illegal acquisition of personal data are the biggest threats to EU citizens. It have been identified problems related to information security: restrictions on the purchase of products, Internet banking,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etc. The practical value of this research i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results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of education, training and public awareness of security issues.

SNS상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의도: 가해자 관점으로 (Privacy Intrusion Intention on SNS: From Perspective of Intruders)

  • 이에덴;김상희;서동백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7-39
    • /
    • 2018
  • 요즘 보편화된 SNS 사용은 사용자들로 하여금 보다 더 쉽고 빠른 개인정보의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SNS상 프라이버시 침해문제가 대두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프라이버시 침해 의도와 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진행된 프라이버시 연구는 대부분 피해자 혹은 피해사건의 분석이었으나,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침해행위를 작성과 유포라는 좀 더 세분화된 개념으로 나누고, 동기이론을 바탕으로 프라이버시 침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반응비용)과 내적 요인(인지된 즐거움, 침해 피해경험, SNS 징벌행위, 침해 가해경험)이 각각 작성과 유포 침해의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연구결과, 프라이버시 침해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인 반응비용은 작성과 유포침해의도 모두와 유의미한 관계를 가졌다. 내적요인은 대체적으로 외적요인보다 더 큰 상관관계를 가졌는데, 그 중 가해경험은 작성과 유포 침해의도 둘 모두에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여주었고, 인지된 즐거움 또한 작성과 유포 침해의도에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가졌다. 피해경험은 작성과 유포침해의도에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지 않았으며, SNS 징벌행위는 유포침해의도와 약하게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구분없이 표현되어 온 프라이버시 침해 가해자들은 정의감이나 과거 관련 피해를 입었던 사람들이 아니라, 침해 가해행위 자체에 즐거움을 느끼고, 또한 과거에 가해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라는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정보침해에 관해 보다 더 뚜렷한 기준과 의식 변화가 필요하다는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보안 위험성향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Framework for Measuring of Security Risk Appetite)

  • 김기삼;박진상;김정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141-148
    • /
    • 2019
  •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지능화 및 융합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비즈니스 모델 및 인프라, 기술 등 여러 측면에서 기존 방식을 초월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변화된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다양한 보안 위험이 점증하고 있으며, 보안 위험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기존의 정보자산 기반의 위험관리에서 벗어나 비즈니스 중심의 위험관리가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를 위해서는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한 위험성향(Risk Appetite)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는 추후 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제반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 판단 기준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위험성향 선행연구 분석 및 보호동기이론을 분석하여, 보안 위험성향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위험성향 프레임워크의 실무적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보안 위험관리 실무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통해 적용가능성과 중요성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재무, 운영, 기술, 평판, 컴플라이언스, 문화 6개의 보안 위험성향 고려 위험분야와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취약성, 자기효능감, 반응효능감 4개의 요인이 보안 위험성향 측정을 위한 프레임워크 구성요소로서 타당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의 환경유해인자 노출 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Exposure Prevention Program to Environmental Hazards for Mother with Young Child)

  • 양은정;신혜숙;김주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9권2호
    • /
    • pp.161-17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Hazards Exposure Prevention Program for Mothers with Young Child (EHEPP-MYC)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nvironmental health projects in the community. Methods: EHEPP-MYC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appli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number of study participants was 3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1 in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lectures as the main method, current affairs programs, discussions, booklets, animations, and practical training. The program was hel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4 sessions of 60 minutes each. The effect of applying the program was measured three times through surveys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and analyzed through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The EHEPP-MYC had significant effects on preventive behavior,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self-efficacy, response efficacy, and response costs at three time points. Conclusion: EHEPP-MYC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environmental hazards prevention behaviors among mothers of young child. EHEPP-MYC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projects developing programs to prevent exposure to environmental hazards and improve the environmental health of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