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umer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7초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섬유제품 수요 경향 (Consumer needs of Digital Textile Printing in Clothing based on Digital Fashion System)

  • 조하경;김은경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99-99
    • /
    • 2012
  • 소비자의 기호가 다양화되면서 다품종 소량생산에 따른 대량 맞춤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의 발달 및 디지털 기기의 확산에 따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자상거래 환경에서의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는 최근 의류 분야에서 주요한 경향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대량 맞춤화 의류 제품의 수요는 인터넷 등 IT 기술의 발달과 맞물려 최근 개인의 특성과 취향을 고려한 인터넷 맞춤서비스를 기반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CAD 등의 테크놀러지의 활용을 통하여 디자인, 패턴제작, 재단 등의 자동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국내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을 통해 3차원 바디 스캔,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 3차원 Simulation, DID, DTP, 맞춤주문형 제품의 대량 생산기술 등의 단위 기술이 기업단위로 활용되는 등 가상현실을 이용한 3차원 가상쇼핑 등을 포함하는 기술로서 차세대 섬유패션 산업의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그 중,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디자인에서부터 날염까지 전체 공정을 컴퓨터로 처리하여 기존의 복잡한 날염 공정을 단축하여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날염 방식으로, 대량 맞춤형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프로슈머(prosumer)로서의 소비자가 직접 참여하여 그들의 욕구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소비자 만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대량 맞춤화 프로세스 중 하나의 단계로 소비자의 수요 반영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즉,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은 대량 맞춤형 의류 제품에 있어 소비자 만족도와 직결되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대량맞춤형 섬유제품 및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적용 섬유제품에 대한 기초 평가 문항을 제시하고, 소비자 태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분석된 기초 소비자 태도를 반영하여, 디지털 패션 시스템 기반의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igital Textile Printing) 의류 제품의 선호도, 인지도, 수요도 및 구입의향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디지털 패션 시스템에 적용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의류 제품의 수요 경향을 제시하였다.

  • PDF

모듈형 제품의 옵션 수가 소비자의 과잉혼란 지각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Study on Perceived Overload Confusion due to Modular Product's Option Size)

  • 김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75-284
    • /
    • 2017
  • 다양한 선택사항이 있는 모듈형 제품은 제품 구조나 배열 변경의 용이성을 장점으로 소비자들의 제품선택 폭을 확대해주고 맞춤형 제품의 구매기회를 제공해 준다. 또한 생산자로서의 소비자 역할을 수행케 함으로써 구매 후 부조화 감소와 제품 사용과정에서의 이용만족도도 높여 준다. 하지만 과도한 모듈화 또는 선택사항의 증가는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정보량 과다에 따른 소비자의 과잉혼란을 유발하여 구매결정의 연기 및 포기하는 부정적 결과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택 사항 즉 옵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과잉혼란의 지각 정도가 소비자들의 심리적 성향인 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 등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듈형 제품의 옵션 수에 따른 과잉혼란 지각정도가 이들 세 가지 변수의 영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3가지 조절효과 가설을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향상초점 소비자에 비해 예방초점 소비자가 옵션 수 확장에 따른 과잉혼란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친숙도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이들 두 변수 모두 그 정도가 낮은 그룹이 높은 그룹에 비해 옵션 수 확장에 따라 과잉혼란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메라 앵글 조정 방식을 통한 다시점 UCV(User Created Video) 서비스 분석과 평가 (Analysis and Evaluation of Multi-view UCV(User Created Video) Service through Adjusting Camera Angle)

  • 성보경;고일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39-47
    • /
    • 2014
  • 개인용 스마트 디바이스의 빠른 발전과 역동적 보급은 개인 사용자들을 영상시청 중심의 소비자에서 영상의 촬영에서 공유로 확장된 프로슈머로 변화 시키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방송영상에 비견되는 소비가 발생되고 지속적으로 생산 및 공유되는 사용자 제작 영상(User Created Video,UCV)이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가 가능한 플랫폼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경험의 공유 목적으로 제작되는 UCV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한정된 시간, 공간의 동일한 이벤트로부터 촬영된 것으로, 방송영상과 유사하게 동일한 이벤트를 다양한 앵글의 카메라로 촬영된다. 본 논문에서는 UCV의 다시점적 특성을 제시하고, 이러한 특징을 기반하여 동일한 이벤트에서 촬영된 UCV를 앵글 전환하며 시청할 수 있는 다시점 UCV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또한 사용자 만족도 설문을 통해 중복영역이 포함된 UCV의 시청방식으로 다시점 UCV 서비스를 기존의 선형적 시청방식보다 더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숏폼 애니메이션의 특성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and Future Trends of Short-Form Animation)

  • 이선주;한제성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8호
    • /
    • pp.29-51
    • /
    • 2015
  • 초고속 인터넷 망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달, 그리고 그를 통한 소셜 네트워크의 확산으로 대중 미디어 생태계는 생산자가 소비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일방성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미디어 프로슈머 문화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한 시대적 경향에 더불어 유튜브를 위시한 다양한 동영상 공유 플랫폼은 콘텐츠 생산자에게 광고수익을 배분하는 방식으로 콘텐츠 프로슈머들과 윈-윈(win-win)하는 모델의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동영상 콘텐츠 배급 채널이 수천만 명의 구독자를 확보하고 연간 100억 원 이상의 수익을 얻는 등 콘텐츠 산업에 일대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동영상 배급 채널과 숏폼 미디어 콘텐츠들 그리고 숏폼 미디어에서의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특성들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온라인 동영상 미디어 플랫폼의 시대에 애니메이션 콘텐츠가 뻗어나갈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모색하고자한다. 나아가 기존 애니메이션 콘텐츠와 구별되는 숏폼 미디어에서의 애니메이션 콘텐츠의 특징적 요소들과 성공사례를 제시함으로써 1인 창작자 또는 소규모 팀 애니메이션 창작자들에게 창작 애니메이션을 통한 자생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게임 팬덤의 이차 문화 생성 -머시니마를 중심으로- (Game Fan-dom of Generative the Secondary Culture -Based On Machinima-)

  • 오성석;박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30-13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대중문화에서 미약하게 다루었던 게임팬덤의 이차문화 생산에 대해 소개한다. 이러한 이차문화 생산 활동은 3차원 영상 콘텐츠를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는 게임엔진 기반의 머시니마 제작기술을 통해 폭넓게 확장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머시니마를 통해 단순한 게임소비자에서 새로운 대중문화의 생비자로 어떻게 역할을 전환하는지를 고찰하였다. 또한 머시니마를 이용한 다양한 선행 연구와 더불어 게임팬덤의 문화 활동을 민속지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게임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문화실천의 심리적 동기와 머시니마와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머시니마가 게임 팬덤문화에 끼치는 영향을 대한 객관적 반응을 검증하기 위해 수용자 반응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머시니마와 게임팬덤 문화생성 사이에 매우 밀접한 관계 형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머시니마가 기존의 게임문화 영역을 새롭게 확장시키는 주체로서 매우 중요한 도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량 맞춤형 의류상품을 위한 디자인 프로세스 모형 연구 (제1보) -인터넷 쇼핑 환경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Design Process Model for Mass-Customized Fashion Product (Part I) -On the Basis of Internet Shopping-)

  • 은명진;이주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87-19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effective mass customized fashion design process based on internet shopping, so that a total of fifteen models of mass customized fashion design processes which are different in the customized degree and in the composition of design elements was proposed in this study, and to compare their efficiencies and appropriateness with those of the existing fashion design process. The data was obtained from a survey of 180 Korean female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from Nov 17th to 29th, 200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whole respondents appeared to prefer mass customized products. Therefore, the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was considered to be applicable to some sectors in the present domestic clothing market. Second, Respondents generally preferred the designs by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model to those by existing fashion design process. However, satisfaction on the designs done by the mass customized design process suggesting only one choice to prosumers was lower than that of existing fashion design process. This result suggested that mass customized fashion design process enabling at least two choices should be presented to prosumers in order to increase their design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design process models suggesting more that three choices presented higher satisfaction than existing fashion design process.

섬유의류산업의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의복종류별 방안 모색 (An Exploration according to Clothing Category for Increasing the Sustainability of Fashion and Textiles)

  • 나영주;이현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4-301
    • /
    • 2013
  • Sustainable fashion & textile is more than eco fashion & textile with the concepts for the next generation's happiness, prosumer value, and community responsibility. This study considers methods to enhance fashion and textile industry sustainability in accordance to clothing types (material, product life and washing properties) and to investigate company strategies. Company strategies are of redesign with stock, volunteering & measuring trash amount, participation by evaluation stores, clerk environment education, hiring QC specialist and reinforcing partnerships. For the case of daily innerwear, throwing away and recycling is more efficient for the environment than laundering in the consumer use stage; subsequently, we recommend the use of polypropylene fiber (a cheap and an eco-friendly material) for this item that can be recycled and reformed after use. For the case of single layer clothing (such as sportswear, blouse or pants) we recommend the use of thermoplastic materials with welding or fuse assembling technology instead of a sewing method of seams as well as the recycle design that is simply melted and reformed into new clothing without an after use dissembling process. Secondhand use or resale is suitable for denim/jean items if the clothing has a storytelling or private history tag. Lastly, module-type jacket or coat shows the variety of styles with one clothing worn w/o collar or sleeve details and changed into vest/coa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d or partly tear off some jacket/coat fibers of the felt material to reform it into a new design.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생산·소비량 인증 전력 거래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Authentication Power Trading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using Blockchain Network)

  • 김영곤;허걸;최중인
    • 에너지공학
    • /
    • 제28권4호
    • /
    • pp.76-81
    • /
    • 2019
  • 이 논문은 에너지 클라우드 참여 프로슈머의 신뢰성 있는 생산 및 소비량 인증에 기반 한 개인 간 거래, 클라우드 간 거래, 그리고 소규모 분산전력 중개시장 참여 등의 다양한 에너지 프로슈머 비즈니스 모델에 필요한 생산·소비량 인증 기반 전력 거래 시스템에 관한 고찰이다. 이 시스템은 에너지 거래에 있어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로 간주할 수 있는 거래 정산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써 에너지 프로슈머로부터 수집되는 발전·소비 빅데이터 분석에 의한 인증 기반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체결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IoT AMI로부터 수집 된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과 AMI 와 연계 구성된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적용한 생산량 인증 시스템 구성을 소개하고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전력 거래 매칭 방식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에너지 클러스터 거래 시스템 및 비즈니스모델을 알아본다.

디지털 융복합에 따른 소비행동과 소비문제 (An analysis of consumption behavior and consumption problem according to the digital convergence)

  • 김연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149-156
    • /
    • 2016
  • 본 연구는 디지털 융복합의 시대를 살고 있는 소비자들이 보유한 디지털기기 및 서비스 참여수준을 평가하고 평가수준에 따른 소비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여 디지털 융복합 시대의 소비행동과 문제를 추정해보았다. 디지털기기와 서비스의 융복합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IT 전문가를 대상으로 평가 기준 제시와 설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집단 간 평균과 ANOVA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자기 주도적 소비태도와 함께 온라인이 오프라인까지 연계 되서 그 경계가 모호한 사회적 문제로의 확산 가능성과 융복합 미디어를 통한 정보의 신뢰성과 네트워크상의 플로우를 통한 교류로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두 번째, 디지털 기기가 소비자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중요 도구이기 때문에 기기 의존적 성향을 보이며, 정보의 피로도가 급증할 수 있다. 디지털 환경 속에서 소비자들은 생산자적 소비자로서 사이버공간상에서 관계 지향적이고, 유희적 즐거움, 창조적 태도와 참여적 소비행동을 나타냈다.

수정된 ASSURE 모델 기반 영상제작을 통한 창의성 신장 방안 (The Plan to Improve Creativity through Producing Motion Image based on Modified ASSURE Model)

  • 공병갑;전병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1-165
    • /
    • 2008
  • 본 연구는 지식정보화 사회의 경쟁력인 창의성을 기르기 위하여 수정된 ASSURE 모델을 기반으로 한 영상제작 활동 교수 학습 과정을 설계하고 적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와 방법을 수행하였다. 먼저 영상매체 교육과 창의성 교육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한 후, 이 둘의 관계를 규명 해보고 그 결과로 수정된 ASSURE 모델을 적용한 교수 학습과정을 설계하였다. 그리고 영상제작 활동 교수 학습과정 전개 시 창의성 계발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의 효과성을 높였다. 본 연구 결과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제작활동 교수학습과정 적용의 결과 학생들의 창의적 성향이 신장되었다. 적용 전에 이던 것이 적용 후에는 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는 t=(p<0.05)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영상제작 활동 교수학습 과정 적용을 통하여 문화적 프로슈머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덧붙여서 본 연구를 함께 한 모든 학생이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리더그룹으로 성장하기를 기대해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