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thodontic defect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가철성 국소의치와 후방연장 계속가공의치를 장착한 환자의 치주 및 보철 상태 (PERIODONTAL AND PROSTHETIC FINDINGS IN PATIENTS TREATED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S OR DISTALLY EXTENDING CANTILEVER BRIDGES)

  • 김정찬;한수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3호
    • /
    • pp.635-645
    • /
    • 1993
  • This study was perfomed to investigate the prosthodontic and periodontal status of the abutment teeth in distally extending bridges(DEBs) (78 cases)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s(RPDs) (43 cases) for 122 patients (55 males and 57 females) visiting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average wearing periods were 67.8 months for DEBs and 66.4 months for RPDs. 38.4% of the patients in DEBs and 35.9% in RPDs complainted of chewing discomfort and 22.6% and 24.4% were not chewing on the prosthodontically - treated sides, respectively. In DEBs, when the restoration for 2nd molar supported by 1st molar & 2nd premolar was grouped to type 1, 1st molar supported by 1st & 2nd premolars was type 2, and 1st & 2nd molars supported by 1st & 2nd premolars was type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tooth mobility score among clinical parameters (type 2>type 1>type 3). In RPDs, when bilateral free-end case was grouped to type 1, and unilateral case was type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ingival index (type 1>type 2). In DEBs, 62.8% of restoration were overcontoured, 72% had interproximal space closures, 30.5% overextended pontics and 86.6% overhanging margins. In RPDs, 24.4% of the restorations were overcontoured, 45.5% had interproxinal space closures and 58.3% overhanging margins. From these results of this study, periodontal problems caused by prosthodontic defects were considered to be contributing factors in chewing discomfort.

  • PDF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bilateral auricular deformity

  • Mantri, Sneha Shivkumar;Thombre, Ram U.;Pallavi, Daigavane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3권2호
    • /
    • pp.101-105
    • /
    • 2011
  • Maxillofacial prosthodontics is an art and science which provides life like appearance to the person with facial deformity. Maxillofacial prosthetic rehabilitation for acquired defects has become more complex and sophisticated with advancement in techniques and materials.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clinical and laboratory procedure for fabricating an auricular prosthesis for a patient with trauma related bilateral auricular deformity. Ear prosthesis was fabricated in two parts taking retention from external auditory canal.

상악골 절제술후 발생한 중앙부및 구개 결손부의 재건 (RECONSTRUCTION OF MIDFACIAL AND PALATAL DEFECTS AFTER MAXILLECTOMY)

  • 김훈;최미숙;최성원;김호겸;김성문;임재석;권종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1호
    • /
    • pp.1-16
    • /
    • 1996
  • There are various defects caused by trauma or resection of maignant tumor in the orofacial region, which can be reconstructed with various regional and pararegional flaps. Among these defects, it is very difficult to reconstruct palatal and midfacial defects after maxillectomy and patients have problems in speaking and swallowing of foo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surgeons to reconstruct these defects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 and to return the patients to the normal social activity. These defects are usually obturated with prosthodontic appliances to assist the phonation and swallowing. But nowadays surgical reconstruction by various flaps was considered and performed for better rehabilitation. For this purpose the forehead flap, the nasolabial flap, the tongue flap, the sternocleidomastoideous flap, the temporal flap, the latissimus dorsi flap, the scapular flap etc. are used. We reconstructed small-sized plalatal defects with tongue flap, medium-sized palatal and maxillary defects after maxillectomy with temporal myofascial flap and large midfacial defects including eyeball exenteration with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laps. Here we are to report 5 cases of these flaps used for the reconstruction of palatal and midfacial defects and consider the versatility, reliability and limitation in use of these flaps.

  • PDF

외상성 치조골 상실 후 장골 이식을 동반한 이회법 임플란트 치료; 증례보고 (DENTAL IMPLANT TREATMENT WITH ILIAC BONE GRAFT VIA TWO-STAGE APPROACH FOR AVULSED ALVEOLAR BONE DEFECTS; CASE REPORT)

  • 최영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4호
    • /
    • pp.386-390
    • /
    • 2007
  • This is about the case of loss of multiple teeth and alveolar bone caused by trauma, which needed alveolar bone augmentation before implant treatment. Alveolar bone was reconstructed using iliac bone graft, and thereafter first implant surgery was followed by consolidation period of 3 months. Iliac bone resorption was observed at the time of implant placement. And that resorption was more in the horizontal dimension than in the vertical. We conclude that additional treatment planning(e.g. using alveolar distraction osteogenesis or tissue expander) should be considered besides bone graft for vertical alveolar bone augmentation. For both maxilla and mandible, prosthodontic treatment was carried out $4{\sim}5$ months after implant placement. To compensate alveolar bone deficiency, partial hybrid overdenture on maxilla and implant-supported fixed bridge on mandible were fabricated, and the total treatment was finished.

법랑질 형성부전증 환아의 치험례 (AMELOGENESIS IMPERFECTA: A CASE REPORT)

  • 박희숙;김태완;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62-570
    • /
    • 2008
  • 법랑질 형성부전증(amelogenesis imperfecta)은 전신질환과 관련없이 법랑질에 결함을 나타내는 유전질환이다. 법랑질 형성부전증은 발현되는 증상과 유전 양상에 따라 14가지의 아류형으로 분류된다(Witkop, 1989). 임상적으로는 크게 형성부 전형(hypoplastic type), 저석회화형(hypocalcified type), 성숙부전형(hypomaturation type)으로 나누어진다. 하지만 이들은 때로 혼재된 양상으로 나타난다. 법랑질 형성부전증은 법랑질이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부족하며 치수 석회화, 치근 형태 이상, 맹출 장애와 영구치의 매복, 점진적인 치근의 흡수, 선천적 치아 결손, 그리고 전치부나 구치부의 개교합 등의 문제점을 나타낸다. 첫 번째 증례는 만 1세 4개월때 유전치부의 치아색 이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로 그 후 모든 유치 및 영구치에서 법랑질 형성부전증이 관찰되어 수복 술식, 교정적 치료 및 최근 보철 치료까지 완료하였다. 두 번째 증례는 만 9세 3개월된 환아로 유치 및 영구치에서 법랑질 형성부전증이 관찰되었다. 수복 치료가 시행되었고 보철 치료는 성장 완료 후 시행하기로 계획하였다. 본 증례들을 통하여 법랑질 형성부전증은 유치 및 영구치 모두에 발생할 수 있으며 장기간의 치료 및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순/구개열 환자에서의 교정-보철 치험례 (ORTHODONTIC AND PROSTHODONTIC TREATMENT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 장원석;최영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88-393
    • /
    • 2000
  • 순 구개열(cleft lip and palate)은 구강악안면 영역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선천성 기형 중 하나로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다. 순 구개열 환자는 입술, 코 등의 기형을 보이며 치과적 문제점으로, 이환측 측절치는 결손되어 있거나 과잉치가 존재하고 형태적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고, 맹출하지 못하거나 이소맹출을 하게된다. 이른 시기에 수행된 수술의 반흔조직(scar tissue)으로 인하여 상악골 성장의 장애가 발생되어 흔히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이 야기되기 쉬우며, 섭식장애와 발음장애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복잡한 문제로 인하여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로부터 다양한 관리가 필요하다. 순/구개열(cleft lip and alveolus only)은 악안면 영역에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비이환측은 전방으로 회전되어 수평피개가 증가되고, 이환측은 내측으로 회전되어 견치부에서 end to end 관계, 혹은 반대교합을 보인다. 순/구개열 수술은 이와 같은 문제점 등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악골의 전후방적 성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좌측에 순/구개열을 가진 5세 3개월의 여아로 생후 3개월 및 3세에 두 번의 구순열 봉합 수술을 받았으며, 상악 좌측 유측절치와 영구측절치가 결손되어 있었고, 다발성 우식증 및 비구누공(oroantral fistula)이 존재하였으며,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을 보였다. 그러나 본 증례가 지니고 있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은 구순열 수술후의 반흔조직에 의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환자의 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혼합치열기 동안 공간관리(space supervision) 및 악기능 장치 (functional regulator)를 이용한 골격성 부정교합을 치료하였으며, 영구치열기 동안 고정성 교정치료를 시행한 후 보철 치료를 시행하여 비구누공을 key and keyway attachment와 Konus crown을 이용한 가철성 obturator로 폐쇄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 PDF

Fiber post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지대주에 보철물을 결합하는 SB-locking method: A case report (SB-locking method for keeping implant restorations mechanically in place using fiber post: A case report)

  • 정민아;이성복;이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56-362
    • /
    • 2020
  • 강동경희치대병원 보철과에서는 치료계획단계에서 마지막 결과를 미리 형상화하고 그것에 입각하여 치료를 진행하는 Top-Down 개념의 치료접근법을 2006년부터 실행하고 있다. 이번 증례도 그 개념에 입각하여 임플란트 수술에 앞서 미리 최종 보철치료의 방법과 결과를 형상화시켜 놓고 치료를 진행한 실례이다. 임플란트 보철의 여러 방법 중 시멘트 유지방식은 임플란트의 기울기에 구속받지 않고 간단하게 보철물 제작이 가능하나, 접착 후 치은 연하의 잉여 시멘트를 완전하게 제거하기 어렵고, 필요할 때 탈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치부 임플란트 보철수복 시 SB-locking method의 유지방식을 이용하여 시멘트 유지방식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심미적인 임플란트 보철수복이 가능했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Class III 악간관계와 교합평면 부조화를 보이는 환자의 전악수복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class III patient with disharmonious occlusal plane: A case report)

  • 김하영;백장현;권긍록;배아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51-457
    • /
    • 2016
  • 보철 치료계획 결정과정은 임상정보에 대한 치과의사의 분석과 환자와의 상호소통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치아의 상실이나 치관부 결손으로 인해 발생한 공간으로 반대악 치아가 정출된 경우, 구강기능을 회복시키는데 있어 적절한 치료방법 선택 및 예후를 예측하는데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치아의 정출로 인한 교합평면의 심한 부조화가 나타난 경우, 신중한 평가가 필요하며, 필요 시 교합평면을 재설정 해야 한다. 본 증례는 심한 정출에 의한 불균일한 교합평면과 class III 악간관계로 인한 비심미성 및 저작불편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로, 체계적인 진단과정을 통한 치료계획의 수립으로 교합평면 재설정을 통한 전악수복으로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외배엽 이형성증 환자의 임상적 치험례 (CLINICAL MANAGEMENT OF ECTODERMAL DYSPLASIA : A CASE REPORT)

  • 오소희;권순원;김종수;김용기;임헌송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2-228
    • /
    • 2000
  • Ectodermal dysplasia(외배엽 이형성증)은 외배엽성 기관에 한가지 이상의 선천적 이상소견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Ectodermal dysplasia는 약 120종류 이상이 보고되고 있고, 이 중 Hypohidrotic ectodermal dysplasia가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성염색체 열성인자에 의해 유전되며 남성에서 호발한다고 한다. 임상증상으로는 무한증, 감모증, 무치증 혹은 핍지증이 가장 특징적이다. 이외에도 무피지종, 손톱이형성증, 가늘고 성긴 머리카락, 두드러진 이마, 안장코, 돌출된 안와상부, 입술의 돌출과 함께 피부가 건조하고 땀샘이 결핍되어 있어서 더위를 참지 못하고 발열이 일어나기 쉽다. 본 증례의 환자는 단국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6세 6개월된 남아로써 무치증을 보이는 Hypohidrotic ectodermal dysplasia로 진단되었고 환자의 심미적 기능적 결함을 해소하기 위해 총의치로 치료를 시행하는 동안 다소의 지견을 얻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oot perforation sealer materials

  • Orcati Dorileo, Maura Cristiane Goncales;Pedro, Fabio Luis Miranda;Bandeca, Matheus Coelho;Guedes, Orlando Aguirre;Villa, Ricardo Dalla;Borges, Alvaro Henrique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9권3호
    • /
    • pp.201-209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solubility, dimensional alteration, p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radiopacity of root perforation sealer material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pH test, the samples were immersed in distilled water for different periods of time. Then, the samples were retained in plastic recipients,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olution was measured. The solubility, dimensional alteration, and radiopacity properti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Specification No. 57 of the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American Dental Association (ANSI/ADA).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ukey's test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When the sample distribution was not normal, a nonparametric ANOVA was performed with a Kruskal-Wallis test (${\alpha}$ = 0.05).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white structural Portland cement (PC) had the highest solubility, while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based cements, ProRoot MTA (Dentsply-Tulsa Dental) and MTA BIO ($\hat{A}$ngelus Ind. Prod.), had the lowest values. MTA BIO showed the lowest dimensional alteration values and white PC presented the highest values. No differences among the tested materials were observed in the the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alyses. Only the MTA-based cements met the ANSI/ADA recommendations regarding radiopacity, overcoming the three steps of the aluminum step wedge.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values of solubility and dimensional alteration of the materials were in accordance with the ANSI/ADA specifications. PCs did not fulfill the ANSI/ADA requirements regarding radiopacity.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materials with respect to the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naly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