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olis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5초

Propolis from the Stingless Bee Trigona incisa from East Kalimantan, Indonesia, Induces In Vitro Cytotoxicity and Apoptosis in Cancer Cell lines

  • Kustiawan, Paula M;Phuwapraisirisan, Preecha;Puthong, Songchan;Palaga, Tanapat;Arung, Enos T;Chanchao, Chanp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581-6589
    • /
    • 2015
  • Background: Previously, stingless bee (Trigona spp.) products from East Kalimantan, Indonesia, were successfully screened for in vitro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human cancer derived cell lines. It was established that propolis from T. incisa presented the highest in vitro cytotoxicity against the SW620 colon cancer cell line (6% cell survival in $20{\mu}g/mL$). Materials and Methods: Propolis from T. incisa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further partitioned with n-hexane, ethyl acetate and methanol. The in vitro cytotoxicity of the extracts was assessed by the MTT assay against human colon (SW620), liver (Hep-G2), gastric (KATO-III), lung (Chago) and breast (BT474) cancer derived cell lines. The active fractions were further enriched by silica gel quick column, absorption and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The purity of each fraction was check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Cytotoxicity in BT-474 cells induced by cardanol compared to doxorubicin were evaluated by MTT assay, induction of cell cycle arrest and cell death by flow cytometric analysis of propidium iodide and annexin-V stained cells. Results: A cardol isomer was found to be the major compound in one active fraction (F45) of T. incisa propolis, with a cytotoxicity against the SW620 ($IC_{50}$ of $4.51{\pm}0.76{\mu}g/mL$), KATO-III (IC50 of $6.06{\pm}0.39{\mu}g/mL$), Hep-G2 ($IC_{50}$ of $0.71{\pm}0.22{\mu}g/mL$), Chago I ($IC_{50}$ of $0.81{\pm}0.18{\mu}g/mL$) and BT474 (IC50 of $4.28{\pm}0.14{\mu}g/mL$) cell lines. Early apoptosis (programmed cell death) of SW620 cells was induced by the cardol containing F45 fraction at the $IC_{50}$ and $IC_{80}$ concentrations, respectively, within 2-6 h of incubation. In addition, the F45 fraction induced cell cycle arrest at the G1 subphase. Conclusions: Indonesian stingless bee (T. incisa) propolis had moderately potent in vitro anticancer activity on human cancer derived cell lines. Cardol or 5-pentadecyl resorcinol was identified as a major active compound and induced apoptosis in SW620 cells in an early period (${\leq}6h$) and cell cycle arrest at the G1 subphase. Thus, cardol is a potential candidate for cancer chemotherapy.

원산지별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생리활성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Propolis Extracts with Various Countries of Origin as Cosmetic Materials)

  • 정은선;원진배;지향기;유지영;오세영;김하연;신영희;김은빈;허강혁;박덕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59-166
    • /
    • 2020
  • 프로폴리스는 식물에서 채취한 수지에 꿀벌의 분비물이 합쳐져 만들어진 아교성 물질로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국, 브라질 유래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항산화, 항균, 미백, 항염 활성을 비교하고, 이들 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함량분석과 자유라디칼 소거능 시험을 통해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한국, 중국, 브라질 프로폴리스 추출물 모두 유의한 항산화 효능을 보였다. 피부에 상재하는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능을 MIC 시험법을 통해 측정한 결과 C. acnes 균에서 한국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해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KPE: 62.5 ㎍/mL, CPE: 250 ㎍/mL, BPE: 500 ㎍/mL). 또한, 한국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고, 마우스대식세포에서 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유도된 염증인자인 산화질소와 PGE2 생성을 나머지 두 추출물보다 우수하게 억제하였다. 이들 결과를 종합하면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항산화, 항균, 항염 효능소재로 응용될 수 있으며, 특히 항균, 항염, 미백에서 우수한 효능을 보인 한국프로폴리스추출물의 응용가능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로에 베라 및 프로폴리스 혼합 추출물의 구강내 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bined Extract of Aloe vera with Propolis against Oral Pathogens)

  • 임지영;문유선;정승희;이규임;유수연;박원봉;심창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99-904
    • /
    • 2002
  • 알로에 및 프로폴리스 추출물과 그 혼합물의 구강 내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 및 상호작용효과를 검색하였다. 알로에 ethanol 추출물 (AE)의 구강 병원균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S. mutans, C. albicans, E. coli에 대해서는 250$\mu\textrm{g}$/mL, E. fae-calis는 270$\mu\textrm{g}$/mL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 ethanol 추출물(PE)의 경우에는 S. mutans에 대해서는 20 $\mu\textrm{g}$/mL, E. hirae, C. albicans, E. coli에 대해서는 20$\mu\textrm{g}$/mL, E. faecalis에 대해서는 40$\mu\textrm{g}$/mL로 나타났다. 수지 및 밀납성분을 제거한 분획(PW)의 S. mutans, E. hirae, C. albicans, E. coli의 최소저해농도는 70$\mu\textrm{g}$/mL로, PE 분획보다 낮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E.faecalis의 경우에는 18$\mu\textrm{g}$/mL로 PE분획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AE 및 PE의 혼합물의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S. mutans, E. faecalis, E. hirae, C. albicans에 대하여는 상승효과 (FICI=0.375)가 있었으며, AE 및 PE의 각각의 MIC의 1/2 이하의 모든 농도범위에서 상승효과(FICI$\leq$0.5)가 있었다. 그러나 E. coli에 대하여는 AE 및 PE의 혼합에 의한 상승효과가 없었다(FICI=1.0). 또한, AE 및 PW의 혼합물의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S. mutans, E. faecalis, E. hirae, C. albicans에 대하여는 상승효과가 적은 것 (FICI=0.75)으로 나타났다. 즉, 사용된 구강 병원균주 중에서 E. coli를 제외한 모든 균주들에 대하여 PE 및 PW는 AE의 항균효과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ctivation of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by Korean Propolis

  • Han, Shin-Ha;Sung, Ki-Hyun;Yim, Dong-Sool;Lee, Sook-Yeon;Cho, Kyung-Hae;Lee, Chong-Kil;Ha, Nam-Joo;Kim, Kyung-Ja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6호
    • /
    • pp.895-902
    • /
    • 2002
  • Monocytes and macrophages playa major role in defense mechanism of the host response to tumor, in part through the secretion of several potent products and macrophage cytokines. Monocytes and tissue macro phages produce at least two groups of protein mediators of inflammation, interleukin 1 (IL-1)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 Recent studies emphasizes that TNF and IL-1 modulate the inflammatory function of endothelial cells, leukocytes, and fibroblasts. In this study, our work is directed toward studying the in vitro effects of Korean propolis on the ability to induce cellular and secretory responses in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It was found that Water Extract of Korean Propolis (WEP) could activate macro phages by producing cytokines. The production of the macrophage cytokines, IL-1 and TNF-$\alpha$, by RAW 264.7 treated with WEP was examined from 2.5 $\mu\textrm{g}$/ml up to 25 $\mu\textrm{g}$/ml with dose dependent manner. Nitric oxide (NO) production was also increased when cells were exposed to combination of LPS and WEP from 2.5 $\mu\textrm{g}$/ml up to 25 $\mu\textrm{g}$/ml. At high dose of WEP (50 to 100 $\mu\textrm{g}$/ml) used to prescribe for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medicine showed inhibition of NO production in LPS-stimulated macrophage. Besides cytokine production, NO release, surface molecule expression and cell morphologic antigen expression were increased in response to the stimulation by WEP. These results suggested WEP may function through macrophage activation.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항균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Soluble Propolis)

  • 박헌국;김상범;심창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21
    • /
    • 2008
  • In this study, the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MIC), growth inhibition activity, and colony forming inhibitory activity of water soluble propolis against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Citrobacter freundii, Enterobacter aerogenes,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Salmonella enteritidis were tested. The MICs of the water soluble propolis against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Citrobacter freundii, Enterobacter aerogenes,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Salmonella enteritidis were 312.5 ppm, below 156.3 ppm, 625 ppm, 10,000 ppm, above 10,000 ppm, 10,000 ppm, above 10,000 ppm, above 10,000 ppm, 10,000 ppm, and above 10,000 ppm, respectively. The growth inhibition concentrations against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Citrobacter freundii, Enterobacter aerogenes,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were 156.3 ppm, below 156.3 ppm, 625 ppm, 5,000 ppm, 10,000 ppm, 10,000 ppm, 10,000 ppm, 10,000 ppm, and 5,000 ppm, respectively. However, 10,000 ppm did not inhibit the growth of Salmonella enteritidis. Finally, the colony forming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Bacillus cereus, Bacillus subtil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Citrobacter freundii, Enterobacter aerogenes,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Salmonella enteritidis were 98.0%, 99.8%, 69.8%, 98.1%, 62.0%, 63.1%, 79.5%, 61.9%, 79.6%, and 0.0%, respectively.

프로폴리스의 세립형성에 따른 수율 및 관능적 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in Yield and Organoleptic Properties Depending on Granule Formation of Propolis)

  • 이기동;윤성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89-694
    • /
    • 2003
  • 꿀벌의 벌집에서 채집되어지는 프로폴리스는 항염증, 항암성 등의 민간의학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총당에 대한 포도당 함량(0~100%), 에탄올 농도(20~100%) 및 에탄올 용액 분무량 (6~10%)의 비율로 혼합하여 세립형성에 따른 수율, 교반에 의한 분쇄율 및 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수율의 경우 에탄올 함량이 감소할수록 수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분쇄율의 경우 에탄올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색, 향, 맛, 입안에서의 느낌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총당에 대한 포도당의 함량, 에탄올 농도 및 에탄올 함량 모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총당에 대한 포도당 함량 47.94%, 에탄올 농도 56.45%및 에탄올 용액 분무량 8.04%일 때 관능적으로 가장 우수한 6.90의 평점이 나타났다.

Antitumoral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Egyptian Propolis Against the PC3 Prostate Cancer Cell Line

  • Salim, Elsayed I;Abd El-Magid, Afaf D;Farara, Khalid M;Maria, Dina S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641-7651
    • /
    • 2015
  • It has been shown previously that nutritional supplements rich in polyphenolic compounds play a significant role in prostate cancer chemoprevention. Propolis is a natural, resinous hive product that has several pharmac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microbial,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tumoral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ytotoxic, antioxidant and antitumoral activities of an ethanolic extract of Egyptian propolis (EEP) in vitro with an established chemotherapeutic drug such as doxorubicin (DOX), and the effects of their combination against the PC3 human prostate cancer cell line. Cellular viability and $IC_{50}$ levels with EEP, DOX and their (v/v) combination were detected by sulphorhodamine-B (SRB) assay after incubation of PC3 cells for 72h with different doses (0, 0.01, 0.1, 1, 10 and $100{\mu}g/ml$). Two selected doses of $IC_{50}$ and $IC_{25}$ were applied to cells for 24h for antitumor evaluation assay of treatment compounds. EEP and its (v/v) combination with DOX showed significant antitumor potential besides high antioxidant proper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total antioxidant capacity (TAC), catalase (CAT), nitric oxide (NO) and reduced glutathione (GSH) level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untreated cells. DNA fragmentation assay and semi quantitative RT-PCR analyses for p53 and Bax genes showed that EEP activated cellular apoptosis and increased the mRNA expression levels more than other treatment. In conclusion, EEP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DOX at both doses used here showed greater antioxidant,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effects against the PC3 cell lines as compared to treatment with DOX alone. Therefore, EEP could be considered as a promising candidate for prostate cancer chemotherapy.

Evaluation of the antinociceptive activities of natural propolis extract derived from stingless bee Trigona thoracica in mice

  • Nurul Alina Muhamad Suhaini;Mohd Faeiz Pauzi;Siti Norazlina Juhari;Noor Azlina Abu Bakar;Jee Youn Moo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7권2호
    • /
    • pp.141-150
    • /
    • 2024
  • Background: Stingless bee propolis is a popular traditional folk medicine and has been employed since ancient tim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ntinociceptive activities of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aqueous propolis extract (APE) collected by Trigona thoracica in a nociceptive model in mice. Methods: The identification of chemical constituents of APE was perform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Ninety-six male Swiss mice were administered APE (400 mg/kg, 1,000 mg/kg, and 2,000 mg/kg) before developing nociceptive pain models. Then, the antinociceptive properties of each APE dose were evaluated in acetic acid-induced abdominal constriction, hot plate test, and formalin-induced paw licking test. Administration of normal saline, acetylsalicylic acid (ASA, 100 mg/kg, orally), and morphine (5 mg/kg, intraperitoneally) were used for the experiments. Results: HPLC revealed that the APE from Trigona thoracica contained p-coumaric acid (R2 = 0.999) and caffeic acid (R2 = 0.998). Although all APE dosages showed inhibition of acetic acid-induced abdominal constriction, only 2,000 mg/kg was comparable to the result of ASA (68.7% vs. 73.3%, respectively). In the hot plate test, only 2,000 mg/kg of APE increased the latency tim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In the formalin test, the durations of paw licking were significantly reduced at early and late phases in all APE groups with a decrease from 45.1% to 53.3%. Conclusions: APE from Trigona thoracica, containing p-coumaric acid and caffeic acid, exhibited antinociceptive effects, which supports its potential use in targeting the prevention or reversal of central and peripheral sensitization that may produce clinical pain conditions.

프로폴리스 섭취 후 흡연자의 임파구 DNA 손상도 및 항산화 상태의 변화: 이중맹검 교차 인체시험 (Changes in Lymphocyte DNA Damage and Antioxidant Status after Supplementing Propolis to Korean Smokers: A Placebo-Controlled, Double-Blind Cross-Over Trial)

  • 강명희;이혜진;김미경;성미경;권오란;박유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5호
    • /
    • pp.442-452
    • /
    • 2009
  • 흡연은 신체 내 산화 스트레스를 유발할 뿐 아니라 체내 항산화 상태를 악화시킨다. 따라서 흡연으로 인해 유도되는 산화 스트레스를 줄여주기 위한 여러 다양한 식품영양학적인 시도들이 되어져 왔다.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에 꿀벌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혼합하여 만든 천연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가 산화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난 흡연자의 DNA 손상을 회복시키어 항산화 영양 상태를 개선시키는지를 보고자 하여 placebo를 사용하는 double- blind cross-over 인체시험을 수행하였다. 흡연자에게 800 mg의 프로폴리스와 placebo를 4주 섭취시킨 후 2주 washout period를 가진 뒤 다시 군을 바꾸어 교차시험으로 4주간 섭취시킨 후, comet assay에 의한 DNA 손상도 및 신체 내 항산화 효소 수준, 총 항산화력 및 항산화 비타민 상태를 분석하였다. 처음 2주 동안의 고갈기간 후에 흡연자 29명 (평균나이: 34.38 ${\pm}$ 1.73세)을 프로폴리스군과 위약군의 두 군으로 나누어 하루에 프로폴리스 또는 위약을 4주 동안 공급하였고 2주 동안의 washout 기간을 가진 후에 교차실험을 위해 대상자의 군을 바꾸어 다시 4주 동안 프로폴리스와 위약을 공급하였다. Comet assay로 분석한 대상자의 임파구 DNA 손상정도는 프로폴리스를 섭취한 군이나 위약을 섭취한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총 항산화 영양상태도 두 군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적혈구 항산화 효소인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도, 그리고 혈장 vitamin C와 tocopherol 수준도 프로폴리스군과 위약군 사이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흡연자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의 섭취가 BALB/c mice의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Immunomodulatory Effects of Propolis and Fermented-propolis in BALB/c Mice)

  • 김윤희;권혁세;김대환;박일환;박상재;신현경;김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74-579
    • /
    • 2008
  • 본 연구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체중 kg 당 50, 100, 200 mg/kg의 농도로 BALB/c 마우스에게 14일 동안 연속적으로 경구투여한 후, 이러한 시험물질 투여에 기인한 비장림프구와 창자간막 림프구의 증식능, 림프구의 아집단 비율의 변화 및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비장 림프구로부터 NK 세포를 분리하여 YAC-1 세포를 살해하는 NK 세포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의 투여에 의해 비장 림프구와 창자간막 림프구의 T 림프구($CD3^+$)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CD4^+$$CD8^+$ T 림프구 비율의 증가에 기인하였다. 비장 및 창자간막 림프절로부터 분리한 림프구의 증식능도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 투여에 의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Th-1/Th-2 사인토카인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비장림프구에서는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프로폴리스 추출물에 비하여 IFN-$\gamma$, IL-2, IL-4의 분비를 증강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자간막 림프구의 Th-2 사이토카인 분비증강은 고농도(200 mg/kg)의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 투여군에서만 관찰되었다.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 투여에 의해 YAC-1 세포를 살해하는 NK 세포의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경구투여는 체내 면역기능을 증강 시킬 수 있는 면역조절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