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olis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272초

프로폴리스의 단백질합성저해활성 및 항진균활성 (Translation Inhibition Activity and Antifungal Activity of Korean Propolis)

  • 고아라;최갑성;최상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4-69
    • /
    • 2010
  • 본 실험은 Propolis ethanol 추출물과,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등 4가지 용매로 더 추출한 분획틀을 이용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실험과 항진균활성을 알아보았고, 고체배지 및 액체배지에서 항진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luciferase mRNA를 이용한 in vitro translation으로 이들 추출물에 의한 단백질합성에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첫 번째로, 액체배지에서의 항진균 활성을 실험한 결과 Candida glabrata, Candida lusitaniae 그리고 Cryptococcos neoformans 등의 성장저해율이 chloroform 분획 존재하에서 각각 39%, 41%, 48% 이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 존재하에서 각각 25%, 24%, 13%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는 ethyl acetate 분획에 비해 chloroform 분획에 진균 성장 저해물질이 가장 많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두 번째로, 동일한 비율로 희석한 프로폴리스 분획물들과 합성 항산화제인 BHT의 수소공여능을 비교하였을 때 Ethanol 추출물의 수소공여능은 합성항산화제인 0.1% BHT의 수소공여능보다 높았으며, 분획들 중에서 chloroform 분획이 가장 수소공여능이 높았다. 세 번째로, luciferase mRNA를 이용한 in vitro, translation 실험에서는 Propoliis ethanol 추출물이 단백질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Propolis 분획물들 중에서 chloroform 분획이 단백질 합성을 가장 많이 저해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loroform 분획물이 다른 분획에 비해 수소공여능, 진균성장 저해율 및 단백질합성 저해활성이 가장 큰 것으로 보여지므로 이 분획물에 대한 생화학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Propolis 첨가가 한방양념돼지고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polis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Oriental Medicinal Seasoning Pork)

  • 한귀정;신동선;김진숙;조용식;정경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5-81
    • /
    • 2006
  • 한약재 및 천연 propolis를 직접 음식으로 이용하여 재료과학화 및 저장성 향상을 통하여 돼지고기용 기능성 한방양념소스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품질특성을 규명 하고자 하였다. 한약재 추출조건 및 특성에 따라 기존 양념소스(formula A), 표준화된 양념소스로 propolis를 첨가한 것(formula B), propolis를 첨가하지 않는 것(formula C)으로 제조하였으며, 저장조건은 20일 동안 $4{\pm}1^{\circ}C$에서 실시하였다.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한방양념 돼지고기의 pH의 변화는 대체로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였으나 formula B가 약간 우수하였으며 각 formula 간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별 품질을 평가하는데 pH 보다는 총균수 및 대장균군수 변화가 보다 예민한 지표로서 작용하였다. 육제품의 신선도를 평가하는데 지표가 되고 있는 POV와 TBA가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propolis를 첨가한 formula B에서 다른 formula 보다 현저하게 감소하여 지질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VBN값도 formula B가 formula A와 C 보다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여 propolis의 단백질 분해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각 formula별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formula B군에서 특유의 향이 어우러져 부드러운 질감과 독특한 향취가 느껴졌다는 의견이 관능평가표 참고란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괴를 종합해 보면, 한방양념돼지고기의 품질특성은 전체적으로 formula B > formula C > formula A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한약재 및 propolis 첨가가 저장기간을 연장하고 식품의 보존제로서의 가치를 부여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국내산 아까시나무와 밤나무 유래 propolis의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enolic Compound in Propolis Collected from Falseacacia and Chestnut Tree in Korea)

  • 송효남;길복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46-551
    • /
    • 2002
  • 국내에서 채집되는 propolis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아까시나무와 밤나무를 밀원 식물로 하여 채집된 propolis와 그의 70% ethanol 추출물(EEP)에 대한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밀원식물에 따른 큰 차이 없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EEP의 경우 propolis 분말에서보다 대부분의 성분들이 상당량 감소되었다. 주요 무기질 5종은 일반성분과는 달리 채집지역과 수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대체로 아까시나무의 propolis가 무기물 함량이 많았다. 아까시나무의 propolis에는 칼슘함량이 가장 많았고, 밤나무 propolis는 칼륨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반면에 EEP에서는 두 시료 모두 칼륨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은 총 16종이 검출되었고, aparagine, cysteine, glutamine 및 tryptophan은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밤나무 propolis에서는 methionine도 검출되지 않았다.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고, methionine의 함유량은 극히 적었으며, 아까시나무 propolis가 아미노산 함유량이 전반적으로 더 높았다. 추출수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EEP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13.9{\sim}23.7%$였고, propolis의 phenolic fraction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인 flavonoids 함량은 $8.6{\sim}10.8%$로 나타나 다른 식품재료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고성능 박막크로마토그래피로 페놀성 화합물을 정성분석한 결과 시료종류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pattern의 chromatogram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 화합물의 HPLC 분석에서는 약 16개의 peak가 검출되었고, 이중 p-hydroxy benzo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benzoic acid, cinnamic acid 및 chrysin의 6종을 동정하였다. 시료간의 chromatographic pattern은 동일하여 propolis를 구성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종류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프로폴리스 생산성 우수 꿀벌 계통 선발을 위한 꿀벌 계통별 프로폴리스 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Propolis Productivity among Honey Bee Lines to Select Superior Lines)

  • 오현림;김혜경;이명렬;이만영;김동원;우순옥;강아랑;최용수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6
    • /
    • 2019
  •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식물로부터 수집해 오는 수지성분으로 질병이나 기타 환경적인 요인으로부터 봉군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꿀벌 계통의 프로폴리스 생산성은 봉군의 유전적인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 생산성 우수 계통 선발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 수집 꿀벌 계통에 의한 프로폴리스 생산성을 평가하고 특성이 우수한 계통을 유지·보존하고자 하였다. 지역별 수집 계통 P1, P2, P3의 프로폴리스 생산성 평가는 2017년 6~7월, 8~9월 2차례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P2 계통의 프로폴리스 생산성이 각각 10.1 g/hive, 4.25 g/hive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계통에 대한 봉군발육조사 결과 P2 계통의 일벌 개체수가 타 계통에 비해 월등히 높아 이 계통의 프로폴리스 생산성에 크게 기여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집 서양종꿀벌 원종 계통 중 프로폴리스 생산성이 가장 우수한 계통은 P2 계통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향후 프로폴리스 생산성 우수 계통 선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tumor immunity by Propolis in mice

  • Choi, In-Sook;Itokawa, Yuka;Maenaka, Toshihiro;Yamashita, Takenori;Mitsumoto, Morihide;Tano, Kaoru;Kondo, Hiroyo;Ishida, Torao;Nakamura, Takashi;Saito, Kiyoto;Terai, Kaoru;Monzen, Hajime;Oshima, Masami;Takeuchi, Tetsuo;Mituhana, Yuicti;Bamen, Kenichi;Ahn, Kyoo-Seok;Gu, Yeun-Hwa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5권2호
    • /
    • pp.100-109
    • /
    • 2005
  • In South America, natural products with unknown drug effects are used as folk remedies and for preventive medicine. Among South American natural products, we directed our attention to Propolis, which have been known as medicinal plants, and examined the mechanisms by which these substances affect antioxidant activity, anti-tumor activity and immunoresponse. Whe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polis were examined by the DPPH and Rhoudan iron methods, since Propolis contains high levels of flavonoids, it is thought that flavonoids may be responsible for the antioxidant activity in this study. In the examination of immunoenhancement activity, we measured lymphocyte versus polymorphonuclear leukocyte ratios (L/P activity). The number of lymphocy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groups treated with Proplolis. Specifically, slightly high levels of $IFN-{\gamma}$ were measured in mice bearing the S-180 carcinoma, after administration of Propolis. This strongly suggests that cellular immunity is especially activated by treatment with Propolis, because production of $IFN-{\alpha}$ is limited to the T cells and NK cells stimulated by mitogen and sensitized antigen. $TNF-{\alpha}$ shows a different extent and mechanism of action depending on the target cells. When $TNF-{\alpha}$ was measured in mice bearing the S-180 carcinoma, mice treated with Propolis showed slightly higher $TNF-{\alpha}$ level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activated macrophages produce $TNF-{\alpha}$ in mice treated with Prapolis, since activated macrophages and lymphocytes are the source of most $TNF-{\alpha}$. When anti-tumor action was examined using two kinds of sarcoma (Ehrlich solid carcinoma and Sarcoma-180 carcinoma), tumor-suppressive ratios after treatment with Propolis was 29.1%. When Sarcoma-180 solid carcinoma was used, tumor-suppressive ratios were 62%. Thus, Propolis showed strong anti-tumor activity against two kinds of solid carcinoma. Taken altogether, this strongly suggests that Propolis enhances original functions of macrophages and NK cells, and as a result, secondarily enhances the immune reaction and suppresses tumor growth.

프로폴리스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Propolis)

  • 정창호;신창식;배영일;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725-1730
    • /
    • 2010
  • 프로폴리스를 기능성 식품 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지역에 따른 일반성분,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지방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조섬유가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은 거창산 에탄올과 물 추출물, 제주산 에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각각 184.17, 316.19, 204.33 및 47.83 mg/g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거창산 물 추출물에서 총 페놀성 화합물이 가장 높았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활성, 환원력 및 FTC 방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거창산 물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거창산 프로폴리스 물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바탕으로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대한 한국형 유산균의 안정성 (Stability Traits of Probiotics Isolated from Korean on Spices and Propolis)

  • 이도경;박재은;김경태;도명진;정명준;이과수;김진응;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16-222
    • /
    • 2014
  • 건강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프로바이오틱스는 까다로운 미생물로 다양한 환경조건에 매우 민감하여, 이들의 생존율은 항생제, 노화, 스트레스와 식이 등과 같은 요인들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식단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마늘, 생강, 파, 양파, 청양고추, 홍고추)와 프로폴리스가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주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한국형 유산균주들은 모든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심지어 일부 한국형 유산균주(Bifidobacterium lacti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Streptococcu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 또는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대부분의 외래종 유산균주는 다양한 향신료와 프로폴리스에 의해 증식률이 감소 하였으며, 일부 외래종 유산균주(L. helveticus, S. thermophiles)는 특정 향신료에 의해 증식률이 크게 감소 하였다. 마찬가지로 각 향신료와 프로폴리스가 한국형 유산균주만 사용하여 제조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과 외래종 유산균주가 사용된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한국형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모두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해외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은 마늘, 양파, 파, 프로폴리스에 의해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한국인의 장에서 분리한 유산균은 대체적으로 항균활성이 있는 각종 향신료에 저항성을 가지는 생존력이 강한 균주로 판단되며, 한국인의 장에 적합한 유산균으로 사료된다.

Propolis를 이용한 육류양념소스 개발 (Development of Meat Seasoning Sauce Using Propolis)

  • 한귀정;신동선;김진숙;조용식;정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888-89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용되고 있는 돼지고기와 잘 어울리는 한약재와 각종 화학성분 및 flavonoid 화합물 등과 같은 천연 유기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propolis를 이용하여 기능성 및 천연 보존제로서 저장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육류용 양념소스를 개발 하고자 하였다. 양념소스 제조는 기존 양념소스(formula A), 한약재 추출조건 및 특성에 따라 표준화된 양념소스로 propolis를 첨가한 것(formula B), 표준화된 양념소스로 서 propolis를 첨가하지 않는 것(formula C), 표준화된 양념소스로 0.9 kg/$cm^{2}$ Gauge에서 60분 동안 2회 가압 추출한 것(formula D)으로 하였다. 양념소스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각 formula별 pH, 적정산도, 염도 및 당도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색도에 있어서는 육류양념소스를 60일 동안 냉장($4^{\circ}C\;{\pm}2$) 저장하여도 외관적 품질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pH의 변화는 대체로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여 formula B가 약간 우수하였으며 각 formula간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별 품질을 평가하는데 pH 보다는 총균수의 변화가 보다 예민한 지표로서 작용하였다. 시판제품과 시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에서 이화학적 특성은 각 시료간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관능적 특성에서는 시제품이 시판제품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신 X-선 조사 후 마우스의 대동맥 혈구에서 SEM을 이용한 프로폴리스의 방사선방어효과 연구 (Radioprotective Effect of Propolis on the Blood Corpuscle of a Mouse by SEM after X-irradiation on the Whole Body)

  • 지태정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1호
    • /
    • pp.49-54
    • /
    • 2008
  •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X-선 5Gy를 마우스 모델에 전신 조사 후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프로폴리스를 복강 주사 후 혈구들의 방사선 방어효과를 알아보았다. 혈구의 미세구조 관찰에서는 외관상 방사선 조사한 실험군에서 수가 줄어들었으며, 조사 후 10일에서 20일로 경과함에 따라 혈구의 엉김이 관찰되었다. 적혈구에서는 표면이 균열이 생기고 깨어진 형태와 변성구상적혈구들이 관찰되었다. 백혈구는 방사선조사군에서 혈구의 크기가 줄어들었으며, 가장자리 미융모들의 크기와 수가 대조군 보다 작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프로폴리스 투여 후 방사선 조사군에서는 혈구들이 대조군과 유사한 형태로 확인되었다.

  • PDF

Propolis 투여가 Ovalbumin으로 유발된 마우스의 알러지성 천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polis on the Ovalbumin-Induced Allergic Asthma in Mice)

  • 변지환;조은희;맹드게렐;박민철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6-44
    • /
    • 2011
  • Objective : Propolis (PP) has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PP ha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However, its immunoregulator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have not been well studied.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se activities of PP by using ovalbumin-induced allergic asthma in mice. Methods : To examine the effect of PP on allergic asthma, mice were sensitized with $100{\mu}g$ of OVA and 1mg of aluminum potasssium sulfate (Alum; Sigma) intraperitoneally on day 0 and 7. On day 14, mice were challenged on consecutive 3 days with 5% OVA and AHR was assessed 24 hours after the last challenge. To examine severity of AHR, I examined the population of eosinophiles and T cells in spleen and lung and cytokine production in T cells. Futhermore, I examined histological changes during the OVA-induced allergic asthma. Results and Conclusion : PP reduced the population of eosinophil and CD4+ T cells on the OVA-induced AHR mice model. PP also inhibited IL-4 production but increased INF-g production in T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P may be beneficial material for allergic asth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