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ropionic acid

검색결과 507건 처리시간 0.035초

Pyrimidines과 pyrimidine의 헤테로고리의 합성 (Synthesis of Pyrimidines and Heteroannulated Pyrimidine Ring Systems)

  • Mohammed, F.K.;Badrey, M.G.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18-229
    • /
    • 2011
  • Imine 화합물 1을 hydrazine hydrate와 같은 nitrogenous 시약과 반응시켜서 치환된 pyrimidines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얻어진 화합물 2를 다양한 반응조건, 즉 propionic acid, formic acid, ethyl chloroformate, acdetic anhydride, carbon disulphide, cyanogene bromide, triflauroacetic acid 및 ethyl chloroacetate와 반응시켜서 대응하는 화합물을 좋은 수율로 얻었으며, 반응은 Dimroth-type 자리옮김 반응을 통하여 진행되었다.

HPLC에 의한 목초액 중의 유기산, 페놀 및 벤조피렌의 분석법 개발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s, Phenol, and Benzopyrene in Wood Vinegar)

  • 이계원;김아람;조재수
    • 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2-19
    • /
    • 2008
  • The organic acids (formic acid, acetic acid and propionic acid), phenol and benzopyrene in wood vinegar were determine by HPLC. An $Atlantis^{TM}dC_{18}$ column with a acetonitrile: 0.1% phosphoric acid (5: 95, organic acids), acetonitrile: water (10 : 90, phenol), 100% acetonitrile (benzopyrene) as a mobile phase was used. Retention time of acetic acid, formic acid, propionic acid, phenol and benzopyrene was 4.77, 3.73, 9.08, 30.97 and 6.10 min, respectively. The calibration curves of organic acids, phenol, benzopyrene were linear over the concentration range of $30{\sim}500,\;60{\sim}1000$, and $3{\sim}50\;{\mu}g/ml$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of above 0.999. The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acetic acid, formic acid, propionic acid, phenol, and benzopyrene was 1.71 and 5.19, 1.11 and 3.35, 4.87 and 14.74, 6.45 and 19.55, 0.08 and $0.24\;{\mu}g/ml$, respectively.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for intra- and inter-day assay were $0.21{\sim}4.14$ and $0.07{\sim}1.19%$, respectively and the precision was $95{\sim}115%$. From this study, we suggest that HPLC is suitabl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organics in wood vinegar and could be applied to quality control of wood vinegar.

한국인의 식품첨가물 섭취량 조사 (A Study on Intakes of Some Food Additives by Korean)

  • 이철원;이달수;문범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20
    • /
    • 1989
  • 허용된 식품첨가물중 소비자 및 일반의 관심의 대상이 되는 첨가물 중 9개 성분에 대하여 1985년부터 1987년까지 3년간 걸쳐 섭취량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품의 섭취량은 매년 보건사회부에서 실시하는 국민영양 조사자료에서 발췌하였으며 조사식품 977건을 구입하여 춤가물 함량(평균)을 구하여 이를 식품 섭취량에 적용 첨가물 섭취량을 농촌, 도시, 전국으로 구분하여 산출하였다. 한국인의 일일 일인 섭취량은 도시가 농촌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전국평균은 BHA 및 BHT 가 함으로 0.017mg, DHA가 0.030mg, BA가 0.064mg, Sor. A가 6.011mg, POBA-Esters가 합으로 0.247mg, Propionic A. 가 0.1438mg, Nitroite ($NO_2$)가 0.016mg, Sulfite($SO_2$)가 0.022mg으로 FAO/WHO에서 평가된 이들 첨가물의 일일허용 섬취량(ADI)에 휠씬 못미치는 양이었다.

  • PDF

가공식품 중 천연유래 보존료 함량에 대한 조사 (Monitoring of Natural Preservative Levels in Food Products)

  • 박은령;이선규;황혜신;문춘선;곽인신;김옥희;이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640-1646
    • /
    • 2008
  • 보존료를 인위적으로 첨가하지 않았음에도 프로피온산, 안식향산이 천연 원료로부터 이행되거나 발효 및 숙성과정에서 미생물의 대사산물로써 생성되는 제품군들을 선정하여 berry류, 건강기능식품, 식초음료류, 초(염)절임류 등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 145건의 시료로부터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의 함량과 재래식 발효법에 의한 감식초의 담금, 발효기간에 따른 프로피온산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재래식 방법으로 담금한 감식초에서 발효과정 중의 프로피온산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식품 중 안식향산과 프로피온산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제조공정 중 안식향산 및 프로피온산을 사용하지 않은 식품 중 berry류(푸룬, 크랜베리), 건강기능식품(프로폴리스추출물제품, 인삼제품), 식초음료류(식초음료베이스, 식초혼합음료, 과실식초), 절임류(올리브제품, 염절임류, 오이피클류, 초절임류) 등 145건을 분석한 결과, 145건의 시료 중 144건의 시료에서 안식향산이 검출되었으며, 크랜베리와 프로폴리스 추출물제품 중에는 최대 약 500 ppm 농도의 안식향산이 원료로부터 천연유래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피온산은 시료 64건에서만 검출되었으며, 프로폴리스 추출물 제품의 경우 원료로부터 천연유래 된 것으로 나타났고, 과실식초음료류와 올리브 제품의 경우는 식품의 제조과정 중 발효 및 숙성에 의한 부산물로써 천연유래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폴리설폰 상전환막의 제조에 있어 프로피오닉산 첨가제의 영향 (Effect of Propionic Acid Additive on Preparation of Phase Inversion Polysulfone Membrane)

  • 한명진;최승락;박소진;서범경;이근우;남석태
    • 멤브레인
    • /
    • 제18권4호
    • /
    • pp.317-324
    • /
    • 2008
  • 상전환법을 이용하여 폴리설폰 고분자막을 제조하고 막의 형상과 투과특성을 측정하였다. 폴리설폰, n-메틸피롤리돈과 프로피오닉산으로 이루어진 제막용액에서 프로피오닉산은 폴리설폰에 대한 비용매로서 제막용액에 첨가되었으며, 침지용 비용매로는 이소프로필알코올이 사용되었다. 첨가된 프로피오닉산은 제막용액의 열역학적 성질을 변화시켜 열역학적 상분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제막용액의 점도는 프로피오닉산의 양에 따라 증가하여 프로피오닉산의 첨가에 따라 유동성이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다. 제조된 모든 분리막은 프로피오닉산의 첨가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는 형상을 보였다. 프로피오닉산 없이 제조된 막의 밀집화된 표면층은 프로피오닉산이 10wt% 첨가되었을 때 거의 사라졌으며, 30 wt% 첨가되었을 때 분리막은 알갱이 형태의 표면층으로부터 스폰지 형태의 하부층으로 형상의 차이가 구배를 보이며 나타났다. 물 투과도는 비용매 프로피오닉산의 증가와 함께 증대하였으며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 배제율의 경우 프로피오닉산의 증가와 함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Lactobacillus buchneri 40788 and Buffered Propionic Acid on Preservation and Nutritive Value of Alfalfa and Timothy High-moisture Hay

  • Baah, J.;McAllister, T.A.;Bos, L.;Herk, F. Van;Charley, R.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5호
    • /
    • pp.649-660
    • /
    • 2005
  • The effects of Lactobacillus buchneri 40788 and buffered propionic acid on preservation, intake and digestibility of alfalfa (Medicago sativa) and timothy (Phleum pratense) hay were investigated. During baling, forages were treated with L. buchneri 40788 (1.2${\times}$10$^6$ CFU/g) as a liquid (LLB) or as a granular preparation (GLB), with buffered propionic acid (10 mL/kg, BPA), or left untreated (control). Triplicate 500 kg round bales of each treatment were put up at two moisture levels for each forage: 17%${\pm}$0.33% and 20%${\pm}$0.30% for timothy and 17%${\pm}$0.20% and 19%${\pm}$0.27% for alfalfa (mean${\pm}$SD). Bales were sampled for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analyses after 0, 30 and 60 d of storage. Compared to controls, all preservatives reduced (p<0.05) heating of both forages at all moisture levels with the exception of alfalfa baled at 19% moisture. After 60 d of storage, GLB reduced (p<0.05) moulds in 17% timothy hay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but at 20% moisture, moulds were reduced in LLB- and BPA-treated timothy as compared to controls. In alfalfa at 17% moisture, total bacteria were lower (p<0.05) in GLB-treated bales than LLB or control bales, but yeast and total bacteria were only reduced in BPA-treated alfalfa at 19% moisture. In situ DM disappearance of timothy (both moisture levels) and alfalfa (19% moisture level) increased (p<0.05) with LLB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Digestibility of both forages did not differ (p>0.05) among treatments, however, voluntary DM intake of LLB-treated timothy (1.32 kg/d) was 22.3% higher (p<0.05) than control, and 14.1% higher than BPA-treated timothy. Treating timothy and alfalfa hay with L. buchneri 40788 or buffered propionic acid may improve the nutritive value of the hay when baled at 17 to 20% moisture.

Pyridine 존재여부에 따른 Trans-3-hexene의 오존 산화 반응 (Ozone Oxidation of Trans-3-hexene with/without Pyridine)

  • 김철규;홍원표
    • 공업화학
    • /
    • 제3권4호
    • /
    • pp.579-587
    • /
    • 1992
  • 올레핀의 오존화 반응에서 보여지는 통상의 반응경로가 pyridine의 도움으로 modification될 수 있는지 여부가 검토되었다. 먼저, trans-3-hexene의 오존 산화 반응이 aprotic non-participating solvent인 n-pentane과 dichloromethane을 사용하여 시험되었다. 덧붙여, 올레핀의 오존 산화 반응에서 pyridine의 역할과 반응기구를 검토하기 위하여, monomeric과 Polymeric ozonides의 염기성 촉매 분해반응이 시험되었다. 본 연구에서 반응 과정의 고찰뿐만 아니라 생성물의 정량, 정성 분석을 위하여 현대적인 분석 기기들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Pyridine 무존재하 aprotic solvent에서 올레핀과 오존의 반응으로 주로 과산화물인 monomeric이나 polymeric ozonides가 생성되었으며, pyridine 존재하에서는 과산화물의 생성없이 propionaldehyde와 Criegee zwitterion의 자리옮김 생성물인 propionic acid가 주생성물이었다. 또한, tans-3-hexene의 오존 산화 반응에서 Pyridine의 촉매작용에 의하여 trans-3-hexene의 Criegee zwitterion의 propionic acid로 이성화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배추김치의 활성성분인 3-(4-hydroxyl-33,53-dimethoxyphenyl)propionic acid의 고지혈증 치료 효과 (The Effect of 3-(4-hydroxyl -33,53-dimethoxyphenyl)propionic Acid in Chinese Cabbage Kimchi on Lowering Hypercholesterolemia)

  • 김현주;권명자;서정민;김재곤;송수희;서홍석;송영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2-58
    • /
    • 2004
  • 배추김치의 생리활성물질인 3-(4-hydroxyl-3',5'-dimethoxyphenyl)propionic acid의 고지혈증 치료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고콜레스테롤 혈증을 유발시킨 토끼에게 1차 실험에서는 정상식이를 공급하고 2차 실험에서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공급하면서 각각 16일간 정맥으로 투여하여 혈장지질 농도 변화를 살펴보았고, 그 효과는 고지혈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Simvastatin과 비교하였다. 정상식이 공급시 Kimchi군 및 Simvastatin군에 의한 총콜레스테롤 감소는 대조군에 비해 18.65%와 29.67%이었고 고콜레스테롤 식이 공급시에는 각각 33.79%및 21.81%이었다. LDL-C의 저하현상은 정상식이 공급시에는 미미하게 관찰되었고, 고콜레스테롤 식이 공급시에는 Kimchi군 및 Simvastatin군에서 약 130%정도의 감소 효과가 관찰되었다. 중성지방의 감소효과는 정상식이시에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고콜레스테롤 식이시에는 Kimchi군에서 약 105%, 그리고 Simvastatin군에서 약 62%정도의 감소가 관찰되었다. HDL-C의 변화는 모든 군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토끼간의 HMG-CoA reductase 활성을 살펴보았을 때 Kimchi군 및 Simvastatin군의 활성이 48.44% 그리고 139.06%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Kimchi군은 고지혈증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이 관찰되었고, 그 효과는 Simvastatin군과 유사하였다. Kimchi군 및 Simvastatin군에서 관찰된 HMG-CoA reductase 활성의 증가는 지질저하 현상에 대한 보상 작용으로 생체 항상성 유지를 위한 현상으로 사료된다 3-(4-hydroxyl-3',5'-dimethoxyphenyl)propionic acid의 고지혈증 치료기전은 Simvastatin과 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행장애를 주소로 4세에 진단된 프로피온산혈증 (A Case of Propionic Acidemia with Gait Disturbance)

  • 이정현;고정민;유한욱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4
    • /
    • 2006
  • Propionic acidemia is an autosomal recessive metabolic disorder caused by a defect of propionyl CoA carboxylase with resultant accumulation of toxic organic acid metabolites. This disorder is biochemically characterized by metabolic acidosis, ketoacidosis, hyperglycinemia and hyperammonemia. Clinical symptoms are very heterogeneous and present as a severe neonatal-onset or a late-onet form. We describe one case of propionic acidemia in a 4-year-old boy who has developed gait disturbance after acute metabolic decompensation.

  • PDF

프로피온산 혈증 환아에서 경험한 의원성 헤모크로마토시스 I례 (Iatrogenic Hemocromatosis Case in Propionic Acidemia)

  • 김숙자;송웅주;전영미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4-56
    • /
    • 2013
  • Propionic acidemia is an inherited organic acid metabolic disorder. During chronic recurrent metabolic crisis, multiple blood transfusions can cause secondary hemochromatosis. We report a patient with propionic acidemia who had iron overload that resulted in liver dysfunction, cardiomyopathy and diabetes. When multiple blood transfusions are unavoidable, use of chelating agents for iron can prevent complications such as diabetes and hemochromato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