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nase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5초

이종 항원 제거를 위한 무세포화와 알파-갈락토시다아제를 이용한 효과적인 우심낭 보존 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Effective Preservation of Bovine Pericardium Using Decellulariation and ${\alpha}$-galactosidase for Eliminating Xenoreactive Antigen)

  • 김민석;박참진;김수환;임홍국;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576-587
    • /
    • 2010
  • 배경: 이종조직판막이나 조직이 임상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조직의 장기간의 내구성이 동반된 효과적인 보존과 적절한 고정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심낭을 sodium dodecyl sulfate (SDS)와 N-lauroylsarcosinate를 이용하여 무세포화하고, 알파-갈락토시다아제를 처리한 뒤,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함으로써 조직손상과 면역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우심낭 보존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우심낭으로부터 이종 이식 보철편을 채취한 뒤 SDS와 N-lauroylsarcosinate를 이용하여 무세포화 하였고, 알파-갈락토시다아제를 처리하였다. 이 두 가지 군에 대하여 각기 다른 조건 즉 glutaraldehyde (GA), l-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 (EDC)/Nhydroxysuccinamide (NHS)의 처리를 달리하여 고정하였다. 이후 각 군들의 물리적 성상, 인장강도, 열 안정성 검사, 세포독성 검사, 프로나아제 저항 시험과 Pronase-Ninhydrin 시험, 투과도와 유순도 검사, purpald 검사 등을 시행하였으며, H&E 염색과 DNA 정량, 알파-갈 항원결정인자 염색 등도 함께 시행하였다. 결과: GA 단독 고정군은 EDC/NHS 고정군에 비해 물리적인 성상과 열안정성에서 더 우수하였고, EDC/NHS와 GA의 이중 고정군은 EDC/NHS 고정군에 비해 물리적인 성상과 열안정성에서 더 우수하였으며, GA단독 고정군과 비교해서 열안정성에서 더 우수하였다. 프로나아제 저항 시험과 Pronase-Ninhydrin 시험을 통해 알아본 crosslinking 정도는, GA 고정 군과 EDC/NHS의 이중 고정군이 EDC/NHS 고정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EDC/NHS와 GA의 이중 고정군은 GA 고정군에 비해 투과도와 유순도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GA 고정군에 비해 인장강도가 높고 세포 독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GA와 EDC/NHS의 이중고정을 통해서, GA단독 고정의 독성을 줄이면서 효과적인 crosslinking을 시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생체내 시험을 통해서 GA와 EDC/NHS의 이중고정이 석회화의 감소와 조직부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추가적인 연구와 검증이 필요하다.

2단계 막반응기를 이용한 어피젤라틴 가수분해물의 연속적 생산 (Continuous Production of Fish Skin Gelatin Hydrolysate Using a Two-Stage Membrane Ractor)

  • 김세권;변희국;전유진;양현필;조덕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2호
    • /
    • pp.130-141
    • /
    • 1994
  • 연속식 2단계 막(MWCO 10,000, MWCO 5,000)반응기를 이용하여 어피젤라틴 가수분해물 제조를 위한 최적 가수분해조건과 막반응기 장치에서 효소활성, 효소안정성에 미치는 인자 및 가수분해물의 생성량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pH-drop법으로 젤라틴 분해에 대한 효소활성은 pronase E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trypsin이었다. 1단계 막반응기에서 trypsin으로 어피젤라틴의 최적 가수분해조건은 반응온도 $55^{\circ}C$, pH 9.0, 효소농도 0.1 mg/ml, 기질 대 효소비 100(w/w), 반응부피 600 ml, 유출속도 6.14 ml/min였으며, 이때 가수분해도는 79%였다. 2단계에서 1단계 젤라틴 가수분해물을 pronase E로 분해할 경우는 반응온도 $50^{\circ}C$, pH 8.0, 효소농도 0.3 mg/ml, 기질 대 효소비 33(w/w)였으며 그 이외의 조건은 1단계와 동일하였고, 이때의 가수분해도는 80% 이상이였다. 막을 통한 효소의 누출량은 1단계에서 전체 효소량 중 작동시간 5시간에서 11.5%였으나 5시간 이후에는 거의 누출되지 않았으며, 2단계에서는 작동시간 4시간에서 9.0%가 누출되었다. 막반응기의 기계적인 전단웅력에 의한 효소활성저해는 1단계 및 2단계에서는 작동시간 3시간까지 34% 및 18%가 각각 감소되었으며, 이때 막을 제거시킨 반응기에서 효소활성 감소는 23% 및 10%가 각각 저해되었다. 그러나 효소누출과 가수분해물의 생산량 사이에는 명백한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1단계 및 2단계 막반응기의 각 최적조건하에서 부피대체율 8배까지의 가수분해물의 생산량은 각각 334 mg 및 250 mg으로 2단계 보다 1단계의 효소 mg당 생산량이 약 1.3배 높았다.

  • PDF

한외여과막 반응기를 이용한 FPC의 가수분해 (Hydrolysis of Fish Protein Concentration in an Ultrafiltration Membrane Reactor)

  • 최정호;변희국;김세권
    • 멤브레인
    • /
    • 제10권2호
    • /
    • pp.83-91
    • /
    • 2000
  • 불용성 농축어육단백질(fish protein concentration, FPC)의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외여과막 반응기 (MWCO 5,000)를 사용하여 효소적 가수분해를 시도하였다. 막반응기에서 불용성인 FPC의 막힌현상(fooling)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회분식에서 pepsin으로 1차 가수분해하였으며, 그 가수분해물을 한외여과막 반응기에서 pronase E를 사용하여 2차 가수분해하였다. 회분식에서 FPC의 최적가수분해 조건은 45$^{\circ}C$, pH 2.0, 기질 대 효소비 150 (w/w)였으며, 이때의 가수분해도는 약 89%였다. 회분식에서 반응속도 상수 $K_{m}$ 및 V$_{max}$는 각각 1.25%, 0.89 mg/$m\ell$/min이었으며, 기질농도 1.5% 이상에서 기질저해가 있었다. 한외여과막 반응기는 순환속도 474 $m\ell$/min, 투과압력 15 psi로 작동하였으며, 온도에 따른 투과유속은 증가하였으나 pH에 대해서는 거의 일정하였다. 막반응기에서 기질과 2차 가수분해효소 pronase E의 비 (S/E)는 200 (w/w)이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이때의 가수분해물의 생산량은 효소 mg당 702 mg으로 회분식 51 mg에 비해 13배 이상 높았다. FPC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은 1차 가수분해물의 경우 2,500~20,000 Da 영역에 분포하였으며, 2차 가수분해물은 700~10,000 Da 이었다.

  • PDF

신기능 소염 단백질 분해효소 개발에 관한 연구

  • 노현모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57-57
    • /
    • 1993
  • 단백질 분해효소는 염증주변에 축적된 파괴조직이나 변성단백질등을 분해하여 염증, 특히 만성염증의 순환을 정상화함으로써 소염제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 Chymotrypsin, Trypsin, Promelain, Papain, Serrathiopeptidase, Pronase 등이 소염효소제로써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주로 미생물 배양액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정제하여 사용하며, 유전자 재조합기술을 사용하여 재조합 균주에서 생산할 경우 그 생산성을 증대시킬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과요오드산 산화당에 의한 인공 당단백질의 조제 (Glycosylation of Protein by Conjugation of Periodate-Oxidized Sugars)

  • 안용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2-67
    • /
    • 1999
  • 과요오드산 산화 가용성전분 및 말토올리고당을 고구마 ${\beta}-amylase$, 밀 ${\beta}-amylase$, aldolase, bovine serum albumin, catalase, carboxypeptidase, ferritin, pronase와 반응시켜서 전기영동하였다. 이들 단백질은 전기영동상의 이동도가 달라지고, 단백질 밴드와 같은 위치에서 PAS 염색 밴드를 나타내어 당이 부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당의 부가는 과요오드산 산화당의 알데히드기가 단백질 분자 표면 리신의 ${\varepsilon}-NH_2$기와 Schiff 염기를 형성하여 일어난다. 변형효소는 자외흡광곡선에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김치에서 분리한 젖산균 bacteriocin에 의한 Listeria monocytogenes의 억제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Bacteriocin(s) from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김정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02-307
    • /
    • 1995
  • 김치로부터 Listeria spp.를 억제하는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젖산균 4균주를 선발하여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2균주),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 및 Pediococcus pentosaceus로 동정하였다. 실험한 모든 Listeria monocytogenes 균주들은 모든 분리 균주의 박테리오신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L. denigrificans 28과 L. welchimeri 89는 Leu. paramesenteroides 분리균주에 의해 억제되지 않았다. 분리균주들 중에서 P. pentosaceus의 박테리오신이 가장 항균활성이 높았고, 항균범위도 넓었다. Leuconostoc 분리균주들의 박테리오신의 항균활성은 pronase E에 의해 완전히 불활성화 되었으나 P. pentosaceus의 것은 완전히 불활성화되지 않았다. 분리균주들의 박테리오신은 catalase, ${\alpha}$-amylase, lysozyme 및 $100^{\circ}C$ 30분의 열처리에 대해서 안정하였다.

  • PDF

소 초기배 분할후 생존성과 체외발생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urvival and In Vitro Developmental Rates after Bisection of Bovine Embryos)

  • 김상근;;석호봉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5-280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n the survival and in vitro developmental rates of bisected bovine embryos by microblade, micropipette and pronase methods. Bisected embryos cultured for 1∼7 days in TCM-199 media with 10 FCS+hormones. Survival and in vitro developmental rates was defined on in vitro culture or FDA-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survival and in vitro developmental rates of bisected bovine embryos by microblade, micropipette and pronase methods were 22.2, 16.7, 15.0% and 22.2, 23.3, 18.8%, respectively. In vitro developmental rate of bisected bovine embryo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bisection embryos(27.8% and 25.0%). 2. In vitro developmental rates of bovine embryos bisected for 1, 2, 4, 8, 16 cells stages during in vitro culture in 10% FCS+TCM-199 media were 25.0, 20.0, 20.0, 15.0 and 6.7%, respectively. 3. In vitro developmental rates of intact and free-zona pellucida of bisected demi-embryos during in vitro culture in 10% FCS+TCM-199 media were 25.6, 16.7%, respectively. 4. In vitro developmental rates of biopsied embryos and biopsied blastomeres during in vitro culture in 10% FCS+TCM-199 media were 20.0, 11.1%, respectively.

  • PDF

Neutrase에 의한 glutamine과 aspargine 잔기의 탈아미드화 (Deamidation on Glutaminyl and Asparaginyl Residues of Protein by Neutrase)

  • 김효선;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94-798
    • /
    • 1995
  • 식품단백질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neutrase에 의한 glutamine과 asparagine 잔기의 탈아미드화에 관한 연구를 행하였다. Neutrase에 의한 BSA의 최적반응 조건은 $20^{\circ}C$, pH 10에서 3시간 반응시켰을 때로, 이때 BSA는 24%가 탈아미드화되었고. 동시에 2.9%가 가수분해되었다. 또한 pronase, bromelain, ficin 보다는 neutrase에 의한 BSA의 탈아미드화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적 탈아미드화 조건에서 neutrase에 의한 egg albumin, 분리콩단백 및 casein의 경우 탈아미드화에 수반하여 펩티드결합의 분해가 비교적 높게 관찰되었다.

  • PDF

Comparison of Surface and Core Peptide Fraction from Apo B-100 of Human LDL (Low Density Lipoprotein)

  • Cho, Hyun-Mi;Shin, Seung-Uon;Kim, Tae-Wo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45-151
    • /
    • 1999
  • Apolipoprotein B-100 (apo B-100)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plasma low density lipoproteins (LDL). It function as the ligand for the LDL receptor in peripheral cells. The LDLs are removed from the circulation by both high-affinity receptor-mediated and receptor-independant pathways. LDLs are heterogeneous in their lipid content, size and density and certain LDL subspecies increase risk of atherosclerosis due to differences in the conformation of apo B in the particle. In the present study , surface and core peptide fraction of Apo B-100 have been characterized by comparing peptide-mapping and fluorescence spectroscopy. Surface fragments of apo B-100 were generated by digestion of LDL with either trypsin , pronase, or pancreatin elastase. Surface fractions were fractionated on a Sephadex G-50 column. The remaining core fragments were delipidated and redigested with the above enzymes, and the resulting core peptides were compared with surface peptides. Results from peptide-mapping by HPLC showed pronase-digestion was more extensive than trypsin -digestion to remove surface peptide fraction from LDL. Fluorescence spectra showed that core fractions contained higher amount of tryptophan than surface fractions, and it indicated that core fraction wa smore hydrophobic than surface fractions. A comparison of the behavior of the core and surface provided informations about the regions of apo B-100 involved in LDL metabolism and also about the structural features concerning the formation of atherosclerosis.

  • PDF

Krill solube의 가공 및 아미노산 조성 (PROCESSING OF DRILL SOLUBLE AND ITS AMINO ACID COMPOSITION)

  • 이응호;김세권;조덕재;한봉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5-240
    • /
    • 1979
  • krill을 식용화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paste상 및 분말상의 krill soluble을 가공하고 제품의 구성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 리의 조성을 검토하였다. 생동결 krill, 자가소화 및 $0.2\%$의 pronase-p의 첨가후의 가수분해에 의한 paste상과 분말상의 krill solube의 구성아미노산 중에는 glutamic acid, lysinge 및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cystine과 histidine이 가장 적었다. 생동결 krill의 유리아미노산중에는 lysine, arginine, proline, glycine, alanine 및 leucine이 가장 많았으며, cystine과 histidine 그리고 구성아미노산에서 그 함량이 많던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가 가장 적었다. 자가소화에 의한 paste상의 krill soluble의 유리아미노산에서는 생동결 krill에서 보다 glutamin acid, serine threonine, isoleucine, aspartic acid, valine 등의 량이 많아졌으며, 특히 glutamic acid는 거의 40배정도로 증가하였다. 전체적으로는 lysine, leucine, threonine 및 alanine 등이 많았으며 cystine, aspartic acid 및 histidine의 량이 적었다. $0.2\%$의 pronase-p를 첨가하여 가수분해한 paste상의 krill soluble 유리아미노산에는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이 량이 자가소화시보다 월등히 큰 증가폭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는 lysine, leucine, arginine, alanine 및 proline이 많았으며 cystine, histidine, serine 등의 량이 적었다. 생동결 krill 및 drill soluble의 필수아미노산은 함량면에서 달걀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