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nostic markers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24초

위선암에서 p53과 bcl-2의 발현이 예후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xpression of p53 and bcl-2 in Gastric Adenocarcinoma Affects the Prognosis and Survival Rate)

  • 홍종현;신동우;백소야;김일동;김기호;박진수;서병선;김상욱;임혜인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3호
    • /
    • pp.88-95
    • /
    • 2009
  • 목적: 세포자멸사의 중요인자인 p53과 bcl-2의 개별발현 및 동시 발현이 갖는 위선암의 예후 인자로서의 역할과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2월에서 2007년 7월까지 위선암으로 분당제생병원 외과에서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238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자료의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p53과 bcl-2의 발현은 DAKO사의 Envision kit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하여 발현군을 양성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 중 p53은 149예(62.5%)에서 발현되었으며, 다른 임상병리학적 예후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세포분화도(P=0.028), TNM 병기(P<0.001)에서 유의성을 나타냈다. bcl-2은 29예(12.2%)가 발현되었으며, TNM 병기(P=0.005)에서 유의성을 나타냈다. 단변량 생존율 분석을 통해 p53과 bcl-2는 생존율 감소에 영향이 있으며, 다변량 생존율 분석을 통해 p53은 독립적 예후 인자로서의 확인되었다. 또한 두 단백의 동시 발현군도 TNM 병기(P=0.002)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개별 발현 때보다 동시 발현 시 유의한 생존율 감소를 보였다(P<0.001). 결론: p53과 bcl-2의 개별 발현은 나쁜 예후를 나타내며, 이들의 동시 발현은 더욱 나쁜 예후를 나타냈다. 그러나 bcl-2는 다변량 분석에서 독립 예후인자로서 의미는 부족하여 더 많은 분석을 통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겠다.

  • PDF

T-Cell Immunoglobulin Mucin 3 Expression on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as a Positive Prognosticator i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 Byun, Kyung Do;Hwang, Hyo Jun;Park, Ki Jae;Kim, Min Chan;Cho, Se Heon;Ju, Mi Ha;Lee, Jin Hwa;Jeong, Jin Sook
    • Journal of Breast Cancer
    • /
    • 제21권4호
    • /
    • pp.406-414
    • /
    • 2018
  • Purpose: T-cell immunoglobulin and mucin domain-containing molecule 3 (TIM-3) is an emerging immune response molecule related to T-cell anergy. There has been tremendous interest in breast cancer targeting immune checkpoint molecules, especially in the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IM-3 expression on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s (TILs), its relationships with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and expression of programmed death receptor 1 (PD-1)/programmed death receptor ligand 1 (PD-L1), and its prognostic role. Methods: Immunohistochemistry on tissue microarray blocks produced from 109 samples of invasive ductal carcinoma type TNBC was performed with antibodies toward TIM-3, PD-1, PD-L1 and breast cancer-related molecular markers. Associations between their expression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as well as survival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TIM-3 was expressed in TILs from all 109 TNBCs, consisting of 17 cases (<5%), 31 cases (6%-25%), 48 cases (26%-50%), and 13 cases (>51%). High TIM-3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younger patients (p=0.0101), high TILs (p=0.0029), high tumor stage (p=0.0018), high PD-1 (p=0.0001) and high PD-L1 (p=0.0019), and tended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histologic grade, absence of extensive in situ components and microcalcification. High TIM-3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combinational immunophenotype group of high PD-L1 and high PD-1 (p<0.0001). High TIM-3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better disease-free survival (DFS) (p<0.0001) and longer overall survival (OS) (p=0.0001), together with high TILs and high PD-1. In univariate survival analysis, high TIM-3 showed reduced relapse risk (p<0.0001) and longer OS (p=0.0003), together with high PD-1 expression. In multivariate analysis, high TIM-3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prognosis, showing better DFS (hazard ratio [HR], 0.0994; 95% confidence interval [CI], 0.0296-0.3337; p=0.0002) and longer OS (HR, 0.1109; 95% CI, 0.0314-0.3912; p=0.0006). Conclusion: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at TIM-3 expression is an independent positive prognostic factor in TNBC, despite its association with poor clinical and pathologic features.

세포병리학적 기초에 의한 암진단의 발전: 진단방법과 보조기법 (Recent Advances in Cancer Diagnosis: On an Overview of Diagnostic Cytopathologic Modalities and Ancillary Techniques)

  • 김기태;함의근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1
    • /
    • 1996
  • 19세기말과 20세기초에 각각 비르효와 파파니콜로에 의해 명료하게 된 세포 병리학과 탈락세포학의 개념에서 오늘날의 암진단의 일차적인 방법이 발전해 왔다. 파파니콜로의 탈락세포학의 개념에서 1960년대 초반에 세침흡인 세포검사가 개발되었다. 이 세침흡인 세포검사는 주된 진단방법이 되어져, 절개생검을 감소하게 하고 의료비용의 효과적인 이용에 공헌하였다. 1980년대에는 면역생화학적 기술들이 암 진단에 보충역활을 하게 되었다. 단 클론 항체를 이용하는 면역과산화효소법이 먼저 암의 본성을 밝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쓰여졌다. 특정 단클론 항체들이 이용가능하게 되어 세포산물이나 표면 표지자들을 인지하는 것을 훨씬 용이하게 하였다. 예를 들면 중간세사에 대한 항체들이 분화가 나쁜 종양의 조직기원을 결정하는데 가치가 있는 것이 증명되었다. 종양표지자들은 종양존재의 생화학적 표시자로 이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종양표지자들은 혈장이나 다른 체액들에서 검출할 수 있다. 이 종양표지자들을 농출한 것을 진단적 검사에 이용하여 이미 진단된 암의 임상 경과를 추적하고 암 발생의 위험이 있는 집단에서 특정 종양을 발견해 내기 위한 선별검사로써 이용할 수 있다. 유세포 검사는 백혈병이나 림프종 세포들의 면역표현형을 알아내고, 종양세포들의 DNA함유량을 알아내며, 세포증식율을 알아내는 등의 몇가지의 세포의 특성을 분류해내는데 유용한 도구이다. 분자생물학적 방법들은, 암 환자를 진료하는데 있어 진단, 예후평가 및 치료 등의 분야에서 일보 전진하게 하였다. 핵산교잡법이 Southern blots, Nothern blot, Dot blot 및 in situ hybridization으로 이용된다. 분자생물학 및 그 기술이 암종 생물학을 이해하고 유전자 조작을 기초로한 치료법을 계획하는데 밝은 새로운 지평선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골의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MCM3, Ki-67 그리고 HH3)의 발현율과의 연관성 (Association with Recurrence of Giant cell Tumor of Bone Between Immunohistochemical Marker (MCM3, Ki-67 and HH3) Expression Rate)

  • 하종경;정훈;김용주;이관희;최경업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7-74
    • /
    • 2007
  • 목적: 골의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와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골에서 유발된 거대세포종양 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6명은 남자, 4명은 여자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전 생검을 통해 확진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 분류는 Enneking grading system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면역조직화학적 연구를 위해 MCM3, Ki-67 그리고 HH3 표지자가 사용되었다.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는 Microarray block을 사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10례 중 3례(30%)에서 같은 위치에서 재발되었다. 재발된 3례 중 2례는 방사선학적 단계 상 단계 2였고, 1례는 단계 1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의 발현율이 방사선학적 단계 1보다 2, 3에서 증가되었다. 하지만 결과의 일관성이 없어 세포 증식율과 방사선학적 단계의 연관성은 판별하기 어렵다. 평균 MCM3 표지자의 발현율은 재발하지 않은 종양에서 11.2%, 재발한 종양에서 7.2%였다. Ki-67은 12%, 8.9% 였고, HH3는 66.9%, 75.4%였다. MCM3 와 Ki-67 표지자는 재발한 종양에서 오히려 감소된 결과를 보여 재발율과는 연관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HH3표지자는 재발한 종양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여 거대세포종양의 재발과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 본 연구는 면역조직화학적 표지자 중 HH3표지자가 거대세포종양의 재발 가능성을 판정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leural Carcinoembryonic Antigen and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as Predictive Indicators of Visceral Pleural Invasion in Clinical T1N0M0 Lung Adenocarcinoma

  • Hye Rim Na;Seok Whan Moon;Kyung Soo Kim;Mi Hyoung Moon;Kwanyong Hyun;Seung Keun Yo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1호
    • /
    • pp.44-52
    • /
    • 2024
  • Background: Visceral pleural invasion (VPI) is a poor prognostic factor that contributes to the upstaging of early lung cancers. However, the preoperative assessment of VPI presents challeng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intraoperative pleural carcinoembryonic antigen (pCEA) level and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max) as predictive markers of VPI in patients with clinical T1N0M0 lung adenocarcinoma.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was conducted of the medical records of 613 patients who underwent intraoperative pCEA sampling and lung resection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Of these, 390 individuals with clinical stage I adenocarcinoma and tumors ≤30 mm were included.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findings, these patients were divided into pleural contact (n=186) and non-pleural contact (n=204) groups.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was construct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pCEA and SUVmax in relation to VPI. Additio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VPI in each group. Results: ROC curve analysis revealed that pCEA level greater than 2.565 ng/mL (area under the curve [AUC]=0.751) and SUVmax above 4.25 (AUC=0.801) were highly predictive of VPI in patients exhibiting pleural contact. Based on multivariable analysis, pCEA (odds ratio [OR], 3.00; 95% confidence interval [CI], 1.14-7.87; p=0.026) and SUVmax (OR, 5.25; 95% CI, 1.90-14.50; p=0.001)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VPI in the pleural contact group. Conclusion: In patients with clinical stage I lung adenocarcinoma exhibiting pleural contact, pCEA and SUVmax are potential predictive indicators of VPI. These markers may be helpful in planning for lung cancer surgery.

편평상피 폐암 및 주위 정상조직에서 p53 및 c-erbB2 발현의 의의 (p53 and c-erbB2 as the Immunohistochemical Markers in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 송창석;옥철호;정용석;장태원;정만홍;이재성;정혜진;허방;허만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4호
    • /
    • pp.523-532
    • /
    • 1999
  • 연구배경: 폐암은 조기진단이 어려운 대표적인 종양이다. 최근 정상세포에서 악성조직으로 진행되는 각각의 과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면서 폐암의 발병과 진행에 관계하는 여러 유전자와 염색체의 이상들이 발견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폐암 중에서도 객담 세포진검사나 기관지내시경 검사 등으로 진단이 용이하고, 조기진단의 의의가 높은 편평상피 폐암을 대상으로 종양세포와 인접 정상 세포에서의 p53 및 c-erbB2의 발현율과 그 의의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5월부터 1996년 11월까지 15개월 동안 편평상피 폐암으로 진단되어 폐절제술을 받은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종양부위 및 그 인접 정상세포에서의 p53과 c-erbB2의 발현 여부를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법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폐암의 병리적 병기 및 환자의 생존기간에 따른 발현율의 차이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25명의 환자 중에서 병리적 병기 I, II가 각각 5명, IIIA가 8명, IIIB가 4명 및 IV가 3명이었다. 종양조직에서의 p53은 12명(48%), erb-B2는 3명(12%)에서 발현되었다. 인접 정상 기관지세포에서는 erb-B2는 3명(12%)에서 발현되었으나 p53은 한 예에서도 발현되지 않았다. 종양세포에서, 병기 II기 이하인 군 10명과 IIIA기 8명 및 IIIB와 IV기의 7명으로 나눠서 비교한 결과 p53이 발현된 경우는 각각 2예, 4예 및 6예로 병기가 진행될수록 발현율은 유의하게 높아졌다(p=0.009 by test of trend). 그러나 종양세포에서 이들의 발현여부에 따른 생존기간은 차이가 없었다. 결 론: p53은 정상 기관지세포에서는 전례에서 발현되지 않았으나 페종양조직에서는 발현율이 48%로 나왔으며, 발현율은 병기가 진행할수록 높아졌다. 따라서 기관지 생검조직에 p53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검사를 병행할 경우 편평상피세포 폐암의 경우 조기진단이나 병기판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추정되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3T 자기공명영상에서 비특이 침윤성 유방암의 컴퓨터보조진단 인자들과 병리적 면역조직화학 표지자들과의 상관성 (Computer-Aided Diagnosis Parameters of Invasive Carcinoma of No Special Type on 3T MRI: Correlation with Pathologic Immunohistochemical Markers)

  • 정진호;박창숙;이정휘;김기준;김현숙;전선영;오세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49-161
    • /
    • 2022
  • 목적 3-tesla (이하 T) 자기공명영상에서 비특이 침윤성 유방암의 컴퓨터보조진단 인자들과 병리적 면역조직화학 표지자들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8년 1월부터 2019년 4월까지 비특이 침윤성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총 94명의 3T 자기공명영상에서 컴퓨터보조진단 시스템을 통해 얻은 혈관조영부피, 최대 조영증강, 조기 및 지연 조영증강 양상과 면역화학인자와 유방암의 분자형 아형과의 상관성을 Dwass, Steel, Critchlow-Fligner 비교 분석과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혈관조영부피가 큰 비특이 침윤성 유방암이 핵등급과 조직학적 등급이 높고, 림프절 전이가 있고, 에스트로겐 수용체/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음성, 인간 표피성장인자수용체 2/Ki-67 양성이 많았다. Ki-67 양성인 비특이 침윤성 유방암에서 지연기 소실 성분 비율이 높고 지연기 지속 조영증강 비율이 낮았다. 이항회귀분석에서는 컴퓨터보조진단 시스템의 요소 중 혈관조영부피 인자가 독립적으로 핵등급, 조직학적 등급, 림프절 전이,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인간 표피성장인자수용체 2와 Ki-67과 상관성이 있고, 지연기 소실 및 지속 조영증강 인자가 Ki-67과 상관성이 있었다. 결론 조영증강 유방 MRI 컴퓨터보조진단 시스템 인자 중 혈관조영부피 요소와 지연기 소실/지속 조영증강 비율이 예후 예측 인자로 알려진 면역화학인자들과 연관성이 높아 임상적 예후 예측 인자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ow Expression of the FoxO4 Gene may Contribute to the Phenomenon of EMT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Xu, Ming-Ming;Mao, Guo-Xin;Liu, Jian;Li, Jian-Chao;Huang, Hua;Liu, Yi-Fei;Liu, Jun-Hu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9호
    • /
    • pp.4013-4018
    • /
    • 2014
  • Because of its importance in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the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has become a research focus in the field of cancer. Recently, evidence has been presented that FoxO4 might be involved in EMT. Our study aimed to detect the expression of FoxO4, E-cadherin and vimenti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s (NSCLCs). We also investigated clinical feature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the markers. In our study, FoxO4, E-cadherin and vimentin were assessed by immunohistochemistry in a tissue microarray (TMA) containing 150 cases of NSCLC. In addition, the expression level of FoxO4 protein was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The percentages of FoxO4, E-cadherin and vimentin positive expression in NSCLCs were 42.7%, 38.7% and 55.3%, respectively. Immunoreactivity of FoxO4 was low in NSCLC when compared with paired normal lung tissu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oxO4 and TNM stage (P<0.001), histological differentiation (P=0.004) and lymph node metastasis (P<0.001), but no significant links with age (P=0.323), gender (P=0.410), tumor size (P=0.084), smoking status (P=0.721) and histological type (P=0.281). Our study showed that low expression of FoxO4 correlated with decreased expression of E-cadherin and elevated expression of vimentin. Cox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FoxO4 to be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in NSCLC (P=0.046). These data suggested that FoxO4 might inhibit the process of EMT in NSCLC, and might therefore be a target for therapy.

Roles of E-cadherin and Cyclooxygenase Enzymes in Predicting Different Survival Patterns of Optimally Cytoreduced Serous Ovarian Cancer Patients

  • Taskin, Salih;Dunder, Ilkkan;Erol, Ebru;Taskin, Elif Aylin;Kiremitci, Saba;Oztuna, Derya;Sertcelik, Ays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1호
    • /
    • pp.5715-5719
    • /
    • 2012
  • The relation between cyclooxygenase enzymes and E-cadherin, along with the roles of these markers in the prediction of survival in optimally cytoreduced serous ovarian cancer patients was investigated. Individuals who underwent primary staging surgery and achieved optimal cytoreduction (largest residual tumor volume <1 cm) constituted the study population. Specimens of 32 cases were immunohistochemically examined for cyclooxygenase-1, cyclooxygenase-2, and E-cadherin. Two could not be evaluated for E-cadherin and cyclooxygenase-1. Overall, 14/30, 19/30, and 15/32 cases were positive for E-cadherin, cyclooxygenase-1, and cyclooxygenase-2, respectively. The expressions of E-cadherin and cyclooxygenase-2 were inversely correlated (p:0.02). E-cadherin expression was related with favorable survival (p<0.001). The 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cyclooxygenase enzymes and poor survival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On multivariate analysis, E-cadherin appeared 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In conclusion, E-cadherin expression is strongly linked with favorable survival. E-cadherin and cyclooxygenase 2 may interact with each other during the carcinogenesis-invasion process. Further studies clarifying the relation between E-cadherin and cyclooxygenase enzymes may lead to new preventive and therapeutic targets in ovarian cance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Intracranial and Spinal Ependymomas : A Review from a Genetic Research Perspective

  • Lee, Chang-Hyun;Chung, Chun Kee;Ohn, Jung Hun;Kim, Chi He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2호
    • /
    • pp.83-90
    • /
    • 2016
  • Ependymomas occur in both the brain and spine. The prognosis of these tumors sometimes differs for different locations. The genetic landscape of ependymoma is very heterogeneous despite the similarity of histopathologic findings. In this review, we describe the genetic differences between spinal ependymomas and their intracranial counterparts to better understand their prognosis. From the literature review,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spinal cord ependymoma might be associated with NF2 mutation, NEFL overexpression, Merlin loss, and 9q gain. In myxopapillary ependymoma, NEFL and HOXB13 overexpression were reported to be associated. Prior studies have identified HIC-1 methylation, 4.1B deletion, and 4.1R loss as common features in intracranial ependymoma. Supratentorial ependymoma is usually characterized by NOTCH-1 mutation and p75 expression. TNC mutation, no hypermethylation of RASSF1A, and GFAP/NeuN expression may be diagnostic clues of posterior fossa ependymoma. Although MEN1, TP53, and PTEN mutations are rarely reported in ependymoma, they may be related to a poor prognosis, such as recurrence or metastasis. Spinal ependymoma has been found to be quite different from intracranial ependymoma in genetic studies, and the favorable prognosis in spinal ependymoma may be the result of the genetic differences.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se various genetic aberrations may enable the identification of more specific prognostic marker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targeted therap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