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fessional baseball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7초

야구장 안전펜스 성능평가를 위한 충돌시험기 개발 (Development of Collision Tester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Safety Fence in Baseball Stadiums)

  • 한의돈;장웅기;고순탁;곽호택;서영호;김병희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957-962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performance testing device for safety fences of domestic professional baseball stadiums. Safety fences of professional stadiums have been fabricated and installed without adhering to any safety regulations, safety fences demonstrate critically low safety performances and many outfielders are severely injured every season.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fabricated a performance testing device for safety fences and investigated its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A HIC (head injury criterion)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colliding data. We found that the optimal expulsion pressure and eliminated the accelerometer by replacing it with a velocity sensor using an estim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mentum data obtained from velocity sensor and the impulse data from the accelerometer.

한국프로야구 선수들의 타율에 기반된 타격 능력의 베이지안 추정 (Bayesian estimation of the Korea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hitting ability based on the batting average)

  • 조용주;이광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197-207
    • /
    • 2015
  • 야구경기에서 타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 측도에는 타율, 타점, 홈런, 득점, 출루율 등이 있지만 최근에는 타자의 능력을 OPS, ISO, SECA, TA, RC, XR 등과 같은 포괄적인 지표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지표들은 흔히 특정 기간 동안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된 것이기 때문에 기간에 따라 대체로 큰 편차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며 특정 모수 (parameter)를 추정하는 것도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프로야구 선수들의 순수한 타격 능력 (hitting ability)을 모수로 간주하여 통계적 방법으로 추정하고자한다. 타격 능력에 추정에는 타수 (at bat)가 반영된 베이지안 방법이 사용될 것이다.

농구 선수와 야구 선수의 기질 및 인지 기능의 비교 (Comparison of Temperament and Cognitive Function Between Basketball and Baseball Players)

  • 김건중;한덕현;김선미;오명진;유주형;이동민;민경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31권2호
    • /
    • pp.134-141
    • /
    • 2023
  • 연구목적 과거 스포츠 선수의 신체, 기술적인 능력에 초점이 맞추어 훈련하던 경향과 더불어 최근 선수의 기질, 성격 그리고 인지 능력과 같은 심리적인 요소의 중요성에도 초점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격 및 기질과 인지기능에 따라 선수들 및 일반인들 사이에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더불어 차례가 정해져 있고 느린 템포의 경기를 하는 야구 선수와 빠른 템포의 경기를 하며 순간적인 판단을 자주하는 농구 선수 간의 기질과 인지 기능에도 차이가 있을 거라 예상했다. 방법 2023년 한해 동안 프로 농구팀에 소속되어 있는 선수 57명, 프로 야구팀에 소속되어 있는 선수 51명, 선수 생활을 해본 적 없는 일반인 44명을 대상으로 기질 및 성격 검사, 컴퓨터화된 신경인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세 군의 인구 특성, 기질 및 성격 특성, 인지 기능의 평균 차이를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Bonferroni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전과 비주전 선수들간의 기질 및 성격, 인지 기능의 비교는 Mann-Whitney U test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세 군간의 기질 비교에서, 보상의존, 지속성은 농구 선수와 야구 선수 그룹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다. 성격 검사에서는 자기지향성과 연대감은 농구 선수와 야구 선수 그룹에서 대조군보다 높았던 반면 자기초월은 농구와 야구 선수 그룹에서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농구 선수 그룹에서 주전 선수들은 비 주전 선수들에 비해서 자기지향성과 연대감의 점수가 높았다. 인지 능력 검사인, 감정지각 검사에서, 야구 선수와 농구 선수가 대조 군에 비하여 correction rate가 높았다. 심적회전 검사에서 농구 선수 그룹이 가장 correction rate가 높았고, 카드정렬 검사에서는 야구 선수와 농구 선수 그룹의 움직인 카드 횟수가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야구 선수와 농구 선수 그룹에서 주전 선수의 감정지각 검사 correction rate가 비 주전 선수에 비하여 높았다. 농구 선수 그룹에서 주전 선수의 심적회전 검사 correction rate가 비주전 선수에 비하여 높았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프로 농구 및 야구 선수들과 일반인 간의 성격, 기질 그리고 인지 능력 차이를 비교하였다. 프로 선수들의 기질은 일반인과 비교하여 높은 보상의존과 지속성 경향성을 보였다. 성격에선 프로 선수가 일반인과 비교하여 자기지향성과 연대감 경향성이 높았지만 자기초월성 점수는 낮았다. 인지 능력 검사에서 감정지각 검사, 심적회전 검사, 카드정렬 검사 모두 운동 선수가 일반인보다 능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프로 선수들이 성격, 기질 및 인지 능력 면에서 일반인과 차이가 있으며 이는 선수 육성과 지도 목표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A Statistical Analysis of Professional Baseball Team Data: The Case of the Lotte Giants

  • Cho, Young-Seuk;Han, Jun-Tae;Park, Chan-Keun;Heo, Tae-Young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6호
    • /
    • pp.1191-1199
    • /
    • 2010
  • Knowing what factors into a player's ability to affect the outcome of a sports game is crucial. This knowledge helps determine the relative degree of contribution by each team member as well as sets appropriate annual salaries. This study uses statistical analysis to investigate how much the outcome of a professional baseball game is influenced by the records of individual players. We used the Lotte Giants' data on 252 games played between 2007 and 2008 that included environmental data(home or away games and opponents) as well as pitchers' and batters' data. Using a SAS Enterprise Miner, we perform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decision tree analysis on the data.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two analytic methods are compared and discussed.

한국프로야구에서 효율성 높은 투수가 팀의 포스트 시즌 진출에 미치는 영향: DEA 활용 분석 (A DEA Analysis of the Effect of High Efficient Pitchers on the Team's Advance to the Post Season of the Korean Baseball League)

  • 김재홍;황승준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30-36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ient pitchers and teams advancing to the postseason in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through DEA. A total of 1,133 pitchers who threw more than one inning from the 2014 season to the 2018 season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or DEA analysis, input variables were selected as annual salary and inning output variables as Wins, Saves, and Holds and the number of efficient pitchers for each season was classified using the input-oriented BCC model. After that, i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joining the postseason or not, and the number of efficient pitchers was compared through a prop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groups that advanced to the postseason in the rest of the season except for the 2014 and 2017 seasons had more efficient pitchers. Considering that the 2014 season recorded the highest WAR (Wins Above Replacement) at 183.56 compared to other seasons, most pitchers threw well, and in the 2017 season, they made more mistakes in pitching than in other seasons, but they performed well in bat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expanded the research field using efficiency analysis in professional baseball and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practical research.

한국 프로야구에서 출루 능력과 장타력이 득점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base and slugging ability on run productivity in Korean professional baseball)

  • 김혁주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6호
    • /
    • pp.1065-1074
    • /
    • 2012
  • 한국 프로야구에서 출루 능력과 장타력이 득점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2절에서는 OPS (On-base percentage Plus Slugging average)에 관하여 고찰하고 그것을 변형한 새로운 타격지표들을 소개하였다. 3절에서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의 정규리그 전 경기 자료를 바탕으로 타율, 출루율, 장타율, IsoP (Isolated Power), OPS 및 2절에서 소개된 지표들이 팀의 경기당 평균득점과 갖는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OPS와 2절에서 소개된 지표들을 일반화하여 여러 가지 가중값을 갖는 타격지표들이 팀의 경기당 평균득점과 갖는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출루율에 57%, 장타율에 43%의 가중값을 주는 가중OPS가 득점 생산성을 가장 잘 설명하는 타격지표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 프로스포츠 선수들의 연봉에 대한 다변량적 분석 (A Multivariate Analysis of Korean Professional Players Salary)

  • 송종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3호
    • /
    • pp.441-453
    • /
    • 2008
  • 프로스포츠 선수들의 연봉은 선수들의 개인 성적과 팀에 대한 기여도 등으로 결정된다는 가정하에 프로농구와 프로야구 선수들의 전년도 성적으로 다음해 연봉을 예측 분석하였다. 분석에 있어서 data visualization 기법을 통해 변수사이의 관계, 이상점 발견, 모형진단등을 하였다. 다중선형회귀 모형(Multiple Linear Regression)과 트리모형(Regression Tree)을 이용해서 자료를 분석하고 모델간 비교를 했으며, Cross-Validation을 이용해서 최적모델을 선택하였다. 특히, 자동으로 변수선택을 하는 stepwise regression방법을 그냥 사용하기보다는 먼저 설명변수들 사이의 관계나 설명변수와 반응변수 사이의 관계등을 조사하고 나서 이를 통해 선택된 변수들을 가지고 stepwise regression과 regression tree 방법론을 이용해서 적절한 변수 및 최종 모형을 선택하였다. 분석결과, 프로농구의 경우에는 경기당 득점, 어시스트, 자유투 성공수, 경력 등이 중요한 변수였고, 프로야구 투수의 경우에는 경력, 9이닝 당 삼진 수, 방어율, 피홈런 수 등이 중요한 변수였고, 프로야구 타자의 경우에는 경력, 안타 수, FA(자유계약)유무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였다.

프로야구 팬 특성과 소속 기업 팀 및 기업제품에 대한 지지도 연구 (A Study of Professional Baseball Team Fan's Preference to the Team and the Products of Its Company)

  • 장경;민재영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15-21
    • /
    • 2002
  • We studied the relations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fan's preference in a area of pro-baseball which is the most popular one among pro-sports. The dependent variables are pro-baseball team fan's preference to both the team and the products of the company which has a pro-baseball team, while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sex, age, and hometown of fans. Eight hypotheses are constructed with those variables. For testing them a questionnaire was used, whose reliability was checked using Kronbach Alpha. Subjects were 314 college students in a local city. For statistical analysis nonparametric tests like Mann 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etc were used. Useful and significant results among variables were obtained. Since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about management of pro-sports teams and fans and fans Preference to products in a view of sports marketing management, more researches should be done continuously in the future in this area.

효율성 분석을 이용한 한국프로야구 선수 영입 (Recruiting method for Korean Baseball using Efficiency Ananalze)

  • 강인교;이우기;정혜민
    • 정보화연구
    • /
    • 제11권1호
    • /
    • pp.75-80
    • /
    • 2014
  • 한국프로야구의 관심과 사랑이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효과적인 영입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대고 있다. 기존의 영입 방법은 전문가의 평가에 따라 각 팀의 선수를 영입 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기존 방법은 선수의 객관적인 평가보단 학연, 지연의 주관적인 평가도 많이 반영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영입 방법이라 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효율성 분석을 통해 각 팀의 선수들의 프로야구 전체 효율성과 팀별 효율성을 분석하여 각 선수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효율성을 기반으로 선수의 영입 방법에 대해서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해 영입 된 선수의 실제 처분에 대해서 확인하여 실험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중, 고등학교 투수의 투구 시 상지의 근활성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Upper Extremities Muscle Activity during Baseball Pitching in Middle and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 박찬희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9-48
    • /
    • 2023
  • Background: The position of pitcher requires a lot of repetitive motion, and because of this, it is known that not only professional baseball players, but also middle and high school players are frequently exposed to injuries in baseb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upp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repeated pitching and the activity of each muscle during repeated pitching by analyzing middle and high school pitchers, divided into groups by age. Methods: Twenty participants (10 middle school male students and 10 high school mal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is research. The outcome measures included neuromuscular motor control, including the upper trapezius (UT), triceps brachii (TB), deltoid (DT), latissimus dorsi (LD), biceps brachii (BB), pectoralis major(PM), extensor carpi radialis(ER), and flexor carpi radialis (FR). Results: The two-way analysis of varaince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muscle activity variables between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one-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the muscle activity variables within time differences each groups. Conclusion: Our results provided promising clinical evidence that guide for upper extremity muscles to increase pitching efficiency in middle and high school base ball play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