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ollagen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1초

토사자 에탄올 추출물이 UVB로 유도된 CCD-986Sk cell에서 주름개선 생리지표에 미치는 영향 (fects of Cuscuta Chinensis Lamark Ethanol Extract on Wrinkle Improvement Bio-markers by UVB-induced CCD-986Sk Cell)

  • 주인환;최학주;심부용;민가율;김동희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21-32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scuta chinensis Lamark ethanol extract (CL) on wrinkle improvement. Cuscuta chinensis Lamark is known to contain dried saccharide, alkaloids, flavonoids, lignans and rein glycoside as major components of dried mature seeds of Cuscuta japonica Choisy.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nti-wrinkle effects of CL and investigated bio-markers (e.g ; MMP-1, MMP-3, MMP-9, TIMP-1, type I procollagen) associated with skin wrinkle improvement. We tested the anti-wrinkle effect of CL using human fibroblast called CCD-986Sk cell. We observed an increase in MMPs, TIMP-1, and type 1 pro-collagen CL in CCD-986Sk cells irradiated with UVB at an intensity of $2mJ/cm^2$ for 60 seconds. As a result, CL decreased UVB-induced MMPs levels and mRNA expressions in CCD-986Sk cell. The levels and mRNA expressions of type I procollagen and TIMP-1 were increased by C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L has activities on improvement of skin wrinkle, which is induced by UVB radiation. Taken together, this study propos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herbal medicine and functional herbal cosmetic materials with wrinkle-improving effects of Cuscuta chinensis Lamark.

Nitric Oxide Inhibition and Procollagen Type I Peptide Synthesis Activities of a Phenolic Amide Identified from the Stem of Lycium chinense Miller

  • Gil, Chan Seam;Jang, Moon Sik;Eom, Seok 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8호
    • /
    • pp.1386-1391
    • /
    • 2017
  • The bioactivities of boxthron fruits, a source of oriental medicine, are well known, whereas phytochemical studies of the boxthorn stem are rare. In this study, the stem extract of boxthorn (Lycium chinense Miller) and its subfractions were evaluated for their effects on nitric oxide (NO) inhibition and procollagen type I peptide (PIP) synthesis. A phenolic amide isolated from the stem extract was also assayed for these effects. The compound, N-trans-feruloyltyramine, was identified by $^1H$, $^{13}C$, and 2D-nuclear magnetic resonance analyses. In NO inhibition, the chloroform fraction (CF) exhibited the strongest inhibitory activity ($MIC_{50}=24.69{\mu}g/ml$) among the subfractions of the ethanol extract (EE). N-trans-feruloyltyramine isolated from the CF showed strong NO inhibitory activity, presenting with an $MIC_{50}$ of $31.36{\mu}g/ml$. The EE, CF, and N-trans-feruloyltyramine shown to have NO inhibition activity were assayed for the activity of PIP synthesis. The EE and CF showed relatively high PIP values of 38.8% and 24.21% at $100{\mu}g/ml$, respectively. The PIP value for $20{\mu}g/ml$ N-trans-feruloyltyramine showed a 36% increase compared with the non-treated control, whereas that treated with $20{\mu}g/ml$ ascorbic acid as a positive control showed a 13% increas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per stem extract of boxthorn stem could be efficiently used to produce good cosmetic effects.

3-O-cetyl-L-ascorbic acid의 주름 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 of 3-O-cetyl-L-ascorbic acid)

  • 박창민;이순영;정민석;최종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3-309
    • /
    • 2008
  • 건강한 피부 기능의 악화 원인으로는 콜라겐 섬유 감소, 탄력섬유 변성, 활성산소종의 과다 생성 등이 있다. 이로 인하여 피부 탄력 저하나 주름이 생성된다. 피부 탄력 저하 및 주름 생성과 같은 피부 노화를 개선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비타민 A, C 및 그 유도체들이 화장품에 적용되고 있지만 화학적 불안정성의 문제점이 있어 새로운 유도체들의 합성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개선을 위한 화장품 원료로 최근 비타민 C로부터 새롭게 합성된 3-O-cetyl-L-ascorbic acid (VCCE)의 주름 개선과 관련된 효능 효과를 평가하였다. VCCE의 in vitro 실험 결과 procollagen type I의 합성을 0.002%에서 최대 149% 증가시켰다. 또한 인체적용시험에서 일차적으로 폐쇄 첩포 실험 결과 자극이 유발되지 않았으며, 모사판 분석 및 PRIMOS system을 이용한 주름측정결과에서도 주름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VCCE는 주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성분으로서 높은 응용 가치를 제시한다.

산청목(山靑木)이 간섬유화 진행 억제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Inhibitory Effect of Acer tegmentosum Max. on Fibrogenesis in Hepatic Stellate Cell Line T6)

  • 이승보;우홍정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46-355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fibrogenic effect of Acer tegmentosum Maxim. on r at hepatic stellate cell line T6. Materials and Methods : Hepatic stellate Cells (T6)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distilled water Acer teg mentosum Maxim. extract for 24, 48, 72 hours. After the treatment, cell viability, proliferation, procollagen levels, mRNA of AS MA, MMP-2, collagen type 1a2 and IL-6 production were measured using MTT assay, BrdU assay, RT-PCR, procollagen typ e 1 C-peptide EIA kit and murine IL-6 ELISA development kit. Results : Cell viability of HSC-T6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24 hours and 48 hours groups in a dose-dependant man ner. Proliferation of HSC also decreased in the same way. In the RT-PCR, mRNA expression of collagen type 1a2 and ASMA decreased in the groups which were treated with Acer tegmentosum Maxim. for 24 hours. The production of procollagen tended to decrease in a dose-dependant manner in the 24 hours treated group. IL-6 production increased under Acer tegmentosum trea tment in a dose-dependant manner in both 24 and 48 hours groups.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that Acer tegmentosum Maxim. can be an effective remedy for liver fibrosi s and liver cirrhosis.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광나무 추출물의 항 노화 효과 (Anti-Aging Effect of Ligustrum japonicum Extract in the Human Fibroblast Cells)

  • 김윤정;이유리;천종우;이현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95-30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고자 다양한 천연물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그중 광나무 추출물을 선별하여 주름 개선 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주름 개선 효과로 잘 알려진 oleanolic acid 31.06 %와 ursolic acid 8.92 %를 확인하였다. 제조된 광나무 추출물은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procollagen type I과 hyaluronan synthase-3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MMP-2, cyclooxygenase-2의 발현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elast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주름 개선 기능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광나무 추출물은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 개발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돌외 잎 추출물의 콜라겐 합성 증진 성분 규명 (Constituents of Collagen Synthesis Activation from the Extrac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Leaves)

  • 임준환;장문식;정욱순;문미연;이하연;김영훈;이기용;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89-29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주름개선 화장품 원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돌외 잎 70%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섬유아세포 HDFn에 대하여 콜라겐 합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돌외 추출물이 세포 독성 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을 확인하였다. 돌외 추출물로부터 용매 분획 및 크로마토그래피 분리과정을 거쳐 2개의 활성 성분을 분리하였다. NMR 데이터 및 문헌치로 확인한 결과 이들은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인 Ombuine 3-O-rutinoside(1) 및 Quercetin 3-O-rutinoside(2)로 규명되었다. 섬유아세포의 type I procollagen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상기 화합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는 화합물 1과 2를 함유한 돌외 추출물의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LED조사가 인간 피부 각질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융복합적인 영향 (Effect of LED Irradiation on Proliferation of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for Convergence)

  • 박정숙;김미혜;이재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639-64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발광 다이오드 (LED)을 인간 피부 각질 세포에 조사 시 콜라겐, 프로 콜라겐의 증식 발현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었다. LED 조사 시 안전하게 인간의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LED 조사의 증식 효과는 인간 표피 각질세포에서 MTS 분석으로 결정하였다. 470nm의 파장 조사는 세포 독성 없이 mRNA의 콜라겐의 발현, 프로 콜라겐을 증가시켰으며, 이 결과는 470nm LED 조사가 피부각질세포 증식 효과와 콜라겐 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LED 조사시 독성 효과는 인간 피부 섬유 아세포 (HDF)에서 MTS 분석으로 결정 한 결과 세포 증식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470nm LED 조사시 시험 관내 콜라겐 합성 활동을 증가시킴으로 피부미용 및 융복합적인 부분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굴 효소 가수분해물과 분자량 분획물의 섬유아세포에 대한 주름 개선 효과 (Anti-Wrinkle Effects of Enzymatic Oyster Hydrolysate and Its Fractions on Human Fibroblasts)

  • 김현아;박시향;이수선;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45-1652
    • /
    • 2015
  • 해양생물 유래 피부건강 기능성의 소재를 발굴할 목적으로 굴 단백질을 Protamex와 Neutrase로 가수분해 한 후 생성된 굴 가수분해물 펩타이드의 주름 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굴 가수분해물은 약 7.9%의 유리아미노산을 포함하며 urea, taurine, alanine, glycine 등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다. 굴 가수분해물은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가지고 있었고, 피부세포인 CCD986sk에 대한 독성은 없었다. 분획물의 수율은 1,000 Da 미만이 40%였으며, 5,000 Da 미만이 60.4%를 차지하였다. 1,000~3,000 Da인 분획물이 항산화 활성, procollagen의 생성능 및 MMP-1 효소 저해 활성이 가장 높았다. 굴 가수분해물과 5,000 Da 미만의 분획물은 주름 개선을 위한 피부건강 기능성 소재로서 화장품 등의 제품에 응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콜라겐 단백가수물을 이용한 항노화 펩타이드 제조에 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Preparation of Anti-aging Peptides from Fish Collagen Hydrolysates)

  • 배인영;한유경;제현정;이현준;이현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61-7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어류 유래 콜라겐 가수분해물로부터 한외여과법(MWCO; 1 kDa)과 역상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항노화 활성 기능성 펩타이드를 분리, 정제하고자 하였다. 펩타이드의 분리, 정제에 따른 항노화 활성 변화는 Hs68 세포를 사용하여 procollagen 합성능과 MMP-1 저해능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콜라겐 가수분해물과 비교하여 최종 분리, 정제된 기능성 펩타이드의 procollagen 합성과 MMP-1 저해는 각각 46%와 77% 향상되었다. 또한 기능성 펩타이드의 구조는 Gly-Arg-Arg-Gly-Asn-Lys (GRRGNK; 콜라겐의 기본 구조인 Gly-X-Y sequence와 유사)의 서열을 보였고, 분자량은 686.175 Da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류 콜라겐 가수분해물로부터 분리한 펩타이드가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의 피부노화 지연 효과를 보이는 기능성 원료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ge-related Reference Intervals for Total Collagen-I-N-terminal Propeptide in Healthy Korean Population

  • Yoo, Jun-Il;Park, Ae-Ja;Lim, Yong Kwan;Kweon, Oh Joo;Choi, Jee-Hye;Do, Jae Hyuk;Kim, Sunjoo;Kim, Youngri;Ha, Yong-Chan
    • 대한골대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35-241
    • /
    • 2018
  • Background: Procollagen type I N-terminal propeptide (PINP) is one of the most clinically useful bone formation biomark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dependent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utomated total PINP assay and established age- and gender- specific reference intervals for PINP in healthy Korean population. Methods: The imprecision, linearity, and detection capability of Elecsys total PINP assay was determined and reference interval was established using 599 serums from Korean population with normal bone mineral densities based on bone densitometry. Age groups were divided into 20s, 30s, 40s, 50s, 60s and over. Results: Elecsys total PINP had excellent performance in imprecision, linearity, and detection capability. When partitioning age groups in Korean male and female population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PINP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In male populations, PINP level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age, then it remained steady after middle-age. In female populations, there was a decreasing tendency similar to that in the male population with a sharp increase in the 50 to 59 age group. Conclusions: Elecsys total PINP assay showed precise and reliable performance in our study. We established age-related PINP reference intervals for Korean male and female population with normal bone mineral dens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