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ing

검색결과 68,992건 처리시간 0.087초

지그비 기술을 이용한 무선기반의 출입 통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base on Access Control System Using ZigBee Method)

  • 주헌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11-220
    • /
    • 2008
  • USN을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아직도 홈 네트워크 기술로서 많은 부분에 유선을 사용한다. 지그비(ZigBee)는 무선기술로서 홈 네트워크의 핵심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그비는 USN를 이용하여 태그와 센서로부터 인식 및 감지 저장, 처리, 통합하여 정보 제공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그비 기술을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지그비를 이용한 무선 기반 구축은 유비쿼터스 사회를 조기 구현시킬 수 있는 영향력 있는 기술이다. 또한 관련 산업분야에 커다란 파급 효과를 나타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첨단 IT 서비스 및 제품의 부가 가치를 창출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ZigBee 기술을 이용한 무선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이용에 보안성과 편리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모바일 환경하에 RFM 기법을 이용한 개인화된 추천 시스템 개발 (Implementation of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ystem using RFM method in Mobile Internet Environment)

  • 조영성;허문행;류근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1-50
    • /
    • 2008
  • 모바일 환경하에의 RFM 기법을 이용한 개인화 된 추천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평가 자료에 의존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번거로운 질의 응답 과정이 없이 묵시적인(Implicity) 방법을 이용하여 고객정보와 구매이력정보를 기반으로 RFM 기법을 이용하여 고객 세분화와 아이템 세분화 통해서 대상 사용자에게 구매 가능성이 높은 아이템을 추천한다. 또한 기존의 추천시스템의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신규 고객이나 신규 아이템 추천을 고려하여 적용한다. 추천 아이템과 사용자가 구매한 아이템 이력 데이터를 비교하여 추천된 아이템이 중복 추천을 제거하였고 현업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셋을 구성하여 실험을 통해서 효용성과 타당성을 입증 및 평가하여 개인화된 일대일 웹 마케팅을 실현하였다.

  • PDF

미계측 중소유역의 월유출량 산정을 위한 다중회귀모형 연구 (A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the Estimation of Monthly Runoff from Ungaged Watersheds)

  • 윤용남;원석연
    • 물과 미래
    • /
    • 제24권3호
    • /
    • pp.71-82
    • /
    • 1991
  • 수질원 부존량의 평가를 위한 월유출량의 추정방법은 통상 경험식에 의한 방법, 물수지분석에 의한 방법 그리고 회귀분석에 의한 방법등이 있다. 본 연구는 수위계측지점의 유출자료를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회귀모형을 수립함으로서, 장기 수자원 개발계획의 수립에 필요한 월유출량의 추정을 가능토록하였다. 사용한 자료는 총 48개 수위관측소의 월유출량 및 기상,지상 인자 이며 이중 43개 지점은 모형의 개발에, 나머지 5개 지점은 모형의 검증에 이용하였다. 또한 모형을 유역별모형과 전체모형, 평균치모형과 개별자료모형으로 구분하여 모형-1, 모형-2, 모형-3 그리고 모형-4의 4개 모형을 수립하였으며, 검증결과 모형-2가 가장 적절한 모형으로 판단되었다. 선정된 회귀모형과 기존의 가지야마공식의 적용성을 통계적 방법에 의해 비교한 결과 본 다중회귀모형이 연유출량 뿐아니라 월별유출량의 변화성향을 매우 잘 나타내고 있으며, 적용 또한 용이함이 입증되었다.

  • PDF

추출방법과 감마선 조사에 따른 귤피 추출물 생리활성의 변화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itrus Peel Extract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and Gamma Irradiation)

  • 강호진;조철훈;김덕진;서재수;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88-393
    • /
    • 2003
  • 가공 과정에서 대량 발생하는 폐기물 중 하나인 귤피를 천연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추출방법을 달리한 귤피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감마선 조사에 의한 귤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변화에 관하여도 관찰하였다. 정치추출의 경우 열수추출에 비해 초기 L$^{*}$ 값이 낮은 반면 a$^{*}$ 값과 b$^{*}$ 값이 높았으나 저장기간 또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차이가 없어졌으며,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귤피추출액의 L$^{*}$ 값과 a$^{*}$ 값은 증가하였으며, b$^{*}$ 값은 감소하였다. 전자공여능, tyrosinase 저해효과, nitrite 소거능은 감마선 조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저장기간동안 이러한 생리활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출방법(열수 vs 정치)에 따른 귤피 추출물의 생리활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감마선 조사는 천연물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경제적인 추출방법을 선택한다면 감귤가공후 폐자원인 귤피를 다양한 용도의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절단배추의 선도유지를 위한 절단 공정 개선 (The cutting process improvement for cut kimchi cabbage quality)

  • 성기운;정헌식;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4-157
    • /
    • 2015
  • 신선편이용 절단배추의 선도유지 및 갈변 방지 목적으로 질소 치환 및 세라믹 칼날에 의한 절단 효과를 조사하였다. 저장 5일 이후부터 대조구에 비하여 NC 처리구의 중량변화와 갈변도가 적게 나타났다. 질소 치환과 세라믹 칼날의 사용에 의한 절단 공정의 개선이 절단채소의 선도 유지와 갈변 방지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홍조류 추출물을 이용한 오미자의 탈수 및 건조 (Dehydration of Omija (Schisandra chinensis B.) using Red Algae Extract as a Hypertonic Agent)

  • 김남호;조완신;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84-288
    • /
    • 2013
  • 홍조류 추출물(RAE)를 이용하여 오미자 절편을 탈수, 건조한 후, 열풍건조 처리된 시료와 복원율, 총 페놀 함량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처리 농도에 따른 시간 별 탈수양은 농도가 높을수록 탈수효율이 좋았으며,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RAE 40%를 최적 탈수제 처리 농도조건으로 수립하였다. 복원율에서는 열풍건조에 비해 RAE 처리 시료가 더 좋은 복원율을 보였고, RAE 40% 처리 오미자의 경우 총 페놀 함량이 1304.8 mg GAE/100 g으로 999.5 mg GAE/100 g인 열풍건조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RAE를 이용한 오미자의 탈수, 건조는 기능성 성분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선한 시료의 본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효율적인 건조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마늘의 저장 및 효소처리 조건에 따른 함황화합물의 변화

  • 신동빈
    • 식품저장과 가공산업
    • /
    • 제7권1호
    • /
    • pp.33-44
    • /
    • 2008
  • 마늘의 저장 중 생리활성과 향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성분의 변화를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마늘의 냄새를 최소화하고 생리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능성식품의 소재개발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열처리(blanching)로 마늘 중의 효소를 모두 불활성화 시킨 후, 이에 마늘로부터 추출한 alliinase를 가하여 반응조건에 따른 alk(en)yl thiosulfinates 생성 및 이들의 분해산물인 휘발성 황함유화합물의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수확한 마늘의 최종 저장물질로 알려진 -glutamyl-S-alk(en)yl-L-cysteines는 마늘중에 존재하는 -glutamyl-transpeptidase 및 oxidase의 작용에 의하여 감소한 반면 S-alk(en)yl cysteine sulfoxide는 감소한 만큼 증가하였으며, 이는 $-3^{\circ}C$ 및 실온($23^{\circ}C$)에서 보다도 냉장온도($4^{\circ}C$)에서 가장 많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 및 증가현상은 -glutamyl-S-(2-popenyl)-L-cysteine이 -glutamyl-S-(trans-1-propenyl)-L- cysteine이나 -glutamyl-S-methyl-L-cysteine보다 더 컸다. -glutamyl-S-(2-propen yl)-L-cysteine은 $4^{\circ}C$에서 저장 60일 만에 66%가 감소한 반면 이로부터 생성된 S-(2- popenyl)-L-cysteine sulfoxide는 그 만큼 증가하였다. -glutamyl-S-(trans-1-propenyl)-L-cysteine 및 -glutamyl-S-methyl-L-cysteine도 $4^{\circ}C$에서 150일간 저장한 경우 각각 81% 및 39%가 감소하고, 이들로부터 각각 생성된 S-(trans-1- propenyl)-L-cysteine sulfoxides 및 S-methyl-L-cysteine sulfoxide는 증가하였다. 한편 열처리 마늘에 alliinase를 가하여 함황화합물을 재생성 시킨 결과 8종의 S-alk(en)yl cysteine sulfoxides를 확인할 수 있었다. S-(2-propenyl)-L-cysteine sulfoxide은 전체 thiosulfinates함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 200, 300 및 400 unit의 alliinase를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킨 결과 총 thiosulfinates는 생마늘(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37, 68, 77 및 80%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C/MSD를 이용하여 대조구 및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alliinase를 100, 200, 300 및 400 unit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키면 각각 마늘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25, 36, 66및 76% 씩 재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마늘을 이용한 제품개발이나 연구를 할 경우 마늘의 저장조건에 따른 생리활성물질의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효소를 이용하여 적절히 반응시키면 마늘 냄새를 $30{\sim}80%$ 범위 내에서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마늘 열수 추출물의 활성산소중 생성을 통한 인체백혈병세포의 apoptosis 유발 (Water Extract of Allium sativum L. Induces Apoptosis in Human Leukemia U937 Cells through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 최영현
    • 식품저장과 가공산업
    • /
    • 제7권1호
    • /
    • pp.9-18
    • /
    • 2008
  • The health benefits of garlic (Allium sativum L.) are derived from a wide variety of components and from the different ways it is administered. The known health benefits of garlic include cardiovascular protective effects, stimulation of immune function, reduction of blood glucose level, protection against microbial, viral and fungal infections, as well as anticancer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it was examined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A. sativum (WEAS) on the growth of cultured human tumor cells in order to investigate its anti-proliferative mechanism. Treatment of WEAS to tumor cells resulted in the growth inhibition, especially in leukemia cells, which was associated with induction of G2/M arrest of the cell cycle and apoptosis. In order to further explore the critical events leading to apoptosis in WEAS-treated U937 human leukemia cells, the following effects of WEAS on components of the mitochondrial apoptotic pathway were examine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lteration of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and the expression changes of Bcl-2 and IAP family proteins. The cytotoxic effect of WEAS was mediated by its induction of apoptosis as characterized by the occurrence of DNA ladders, apoptotic bodies and chromosome condensation in U937 cells. The WEAS-induced apoptosis in U937 cells was correlated with the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OS, collapse of MMP, activation of caspase-3 and down-regulation of anti-apoptotic proteins. The quenching of ROS generation with antioxidant N-acetyl-L-cysteine conferred significant protection against WEAS-elicited ROS generation, caspase-3 activation, G2/M arrest and apoptosi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reveals that the cellular ROS generation plays a pivotal role in the initiation of WEAS-triggered apoptotic death in U937 cells.

  • PDF

중이온 빔조사 담배(Nicotiana plumbaginifolia) 식물체의 생장과 DNA 변이 (Growth and DNA Alteration of Heavy-ion Beam Irradiated Tobacco(Nicotiana plumbaginifolia) Plant)

  • 류재일;김민수;;이효연;양덕춘;배창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9-178
    • /
    • 2005
  • 중이온빔$(^{20}Ne)$을 담배 식물체에 조사(irradiation)하여 식물체의 생장과 DNA의 변이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발아율과 초장은 조사선 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반면 $50Gy\~10Gy$의 저선량에서 추대와 개화가 촉진되어 발육은 오히려 촉진되었다. 총 100개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분석한 결과, 59개의 primer에서 총 336개의 DNA단편이 증폭되었고, 1개의 primer에서 중이온빔 조사처리구에서만 출현하는 DNA단편이 나타났다. AFLP분석 결과, 개체 특이적인 DNA단편은 나타난 반면 중이온빔 처리구 특이적인 DNA 단편은 관찰되지 않았다.

더덕의 주근에서 유래한 Dehydrin 1 (Dhn1) 유전자의 분리 및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hydrin 1 (Dhn1) gene from Codonopsis lanceolata)

  • 이강;양덕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8-244
    • /
    • 2003
  • 더덕 뿌리에서 유래한 EST 라이브러리로부터 dehydrin 유전자와 높은 상동성 을 나타내는 full clone cDNA를 얻었다. 더덕의 dehydrin, ClDhn1은 893 bp의 cDNA로 159개의 아미노산을 코딩하는 480 bp의 ORF를 가지고 있다. ClDhn1의 아미노산을 분석해 보면, 전체적으로 높은 친수성을 나타내며, lysine이 풍부한 K 반복구간(KIKEKLPG)을 카르보닐기 쪽에 2개 가지고 있다. 또한, 여러 dehydrin들의 공통적인 특징인 7개의 연속적인 serine잔기가 첫 번째 K반복 구간 앞에 위치한다. 그러나, 아미노기쪽의 DEYGNP보존 구간은 변형(DEHGNP)되어 있다. ClDhn1 유전자는 전사 단계에서 더덕의 뿌리에서 가장 높은 발현 양상을 보이며, 줄기와 잎에서는 적은 양이 발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