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solving ability

검색결과 1,499건 처리시간 0.049초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Learning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 SUNG, Eunm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8권2호
    • /
    • pp.249-26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respondents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life- learning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solv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To address those goal, the data set was analyzed that nationally collected from Korea Youth Competency Measurement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III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South Korea. 680 samples were used in the study that were 343 males and 337 females of university students. As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in the participants' gender. 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higher score th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All variables. Also, learning agility in life-learning competency was strongly related t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Thinking skills in life-learning competency was strong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in university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In terms of learning strategy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some suggestions have been made for university students.

청소년의 외모만족도와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의 융합적 관계 (Convergent Relationships among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Adolescent)

  • 장미영;강균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79-87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 외모만족도,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의 융합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 다. 연구대상은 J시 소재 2개 중학교 재학생 158명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외모만족도, 자존감, 문제해결력, 일반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자료수집은 2016년 9월 26일부터 10월 1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외모만족도, 자존감 및 문제해결력 정도는 중간이상이 었고, 문제해결력은 외모만족도(r=.602 p<.001), 자존감(r=.88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제해결력을 높이기 위해 외모만족도,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융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정보 교육 프로그램 (An Informatics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 이영준;임웅;이은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10
  • 지식 기반 사회에서 지식과 정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기존의 지식으로 해결할 수 없는 다양한 문제 상황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의 체계적 수집 및 활용을 통한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 및 이를 활용한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정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은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모두 다룰 수 있도록 조직하였으며, 문제 해결의 전체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학습자 내부 지식 뿐 아니라 새로운 정보를 수집,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고 구성하였다. 또한 정보 활용 난이도에 따라 분리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

High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Approaches on the Concept of Stoichiometry

  • Park, Hyun-Ju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5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wo students' problem solving approaches: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in their problem solving approaches, and the gener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heuristics) the students employed were discussed. The two students represent differences not only in terms of grades earned, but also in term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ttention to detail, and approaches to answering questions and problem solving. Three separate problem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 stoichiometry problem; a fruit salad problem; and a limiting reactant problem. Each student was asked individually on three separate occasions to contribute to this study. There are more similarities in the students'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an there are differences. Both students were able to correctly solve the stoichiometry and the fruit salad problems, and were unable to correctly solve the limiting reactant problem. They recognized that an algorithm could be used for both chemistry problems(a stoichiometry problem & a limiting reactant problem). Both students were unable to correctly solve the limiting reactant problem and to demonstrat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Law of Conservation of Mass. Nor did they show an ability to apply it in solving the problem.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ach one's ability to extend what had been learned/practiced/quizzed in class, to a related but different problem situation.

교사.학생이 수학문제 해결에서 사용하는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e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used by Teachers and Students)

  • 성인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11-19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trategies for problem solving used by teachers and students and obtain some information which would be useful to enhance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of the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apply the thinking aloud method to study 6 graders and 6 teachers who were asked to solve 5 word problems. And we create a coding system to analyze those strategies. Using this coding system, we code the examinees and problems. we come up with the following facts from our study. (1) The number of strategies used by teachers is less than that used by students. (2) The characteristic of the strategies used by students is to set up an equation. (3) There is deep relationship between understanding the question and choosing the successful strategies for problem solving. (4) The students use the inductive argument more often than the teachers in the case of nonroutine mathematical problem. (5) The student of high success rate have fewer strategies than the others. From the above facts. it proposes the following conclusion for the enhancement of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So far the teachers usually use a few typical strategies for problem solving. But they need to create various strategies for pqoblem solving. It makes it possible for the students to choose proper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ability. The students need to be given nicely constructed problem with enough time.

  • PDF

The effects of the online team project-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ooperative self efficacy and cooperative self regulation in students of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 Kim, Jung Hee;Lee, Woo Hyung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0
    • /
    • 2021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online team project bas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cooperative self-efficacy, and cooperative self-regulation of college students. Design: Single group pre-post design. Methods: The online team project based learning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92 college students for 8 weeks. A survey was conducted on problem-solving ability, cooperative self-efficacy, and cooperative self-regulation. In the online team project-based class, two projects were performed. It consists of video lectures and real-time video conferencing. Through the real-time video conference, the project was carried out based on discussion among learners and feedback was provide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in problem-solving ability compared to before learning (p<0.05).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cooperative self-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operative self-regulation compared to before learning (p<0.05). Conclusion: The online team project-based learning ar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problem-solving ability, cooperative self-efficacy, and cooperative self-regulation.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apstone Design Program on Creative Leadership,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 김지숙;최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06-41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에게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P시 U 대학교 간호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수강한 18명 실험군과 K 대학교 20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간호 캡스톤디자인 수업 전 후에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창의적리더십이 높아지면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캡스톤디자인 교육 실시 후 창의적리더십,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사고 성향 등을 반복적으로 조사하여 이를 간호교육의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PBL 수업에서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몰입의 영향에서 문제해결력의 매개 효과 탐색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Impact of Flow on the Level of Task Participation in PBL Classes for Pre-service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50-157
    • /
    • 2020
  • 본 연구는 PBL 환경에서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몰입의 영향을 문제해결력이 매개하는지 탐색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6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몰입, 문제해결력, 과제참여 수준을 설문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Macro 및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사용하여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몰입의 영향에 대해 문제해결력이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제참여 수준에 대해 몰입의 영향이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력이 .292 수준에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제참여 수준에 대한 몰입의 영향을 문제해결력이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PBL 활동에서 문제해결력 지원을 통해 과제참여 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간호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 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심미정;오효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328-337
    • /
    • 2012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문제해결능력을 확인하고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3년제 전문대학 2개교의 간호학생 217명이었고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2년 3월 2일부터 3월 31일까지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성별, 출신학교, 성격성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학습동기는 출신학교, 졸업 후 교과목 활용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는 출신학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문제해결능력은 졸업 후 교과목 활용도에서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학습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문제해결능력을 37.3%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및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를 높이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와 문제해결 능력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Nursing University Students)

  • 김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00-10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9월 20일 부터 9월 30일까지 G시 소재의 일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4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적 특성,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능력 및 셀프리더십을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하였으며,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절차를 이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문제해결 능력은 비판적사고(r=.48, p<.001), 셀프리더십(r=.73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비판적 사고는 셀프리더십(r=.70,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부분매개 효과(β=.47,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obel test: Z=6.64, p<.001).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의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정규 교육과정과 교과 외 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다양한 전략이 마련되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