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iotic property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Probiotics로서의 젖산균주의 특성 및 면역활성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Potential Probiotics)

  • 서재훈;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81-687
    • /
    • 2007
  • Probiotics로서의 사용을 위한 우수 젖산균주 선발을 위해 김치 및 발효유 제품으로부터 분리한 젖산균과 공시 젖산균주를 대상으로 내산성, 내담즙성, 장내 점착능, 병원성균 억제능 등의 probiotics 특성과 장관면역활성, mitogenic activity 및 대식세포 활성화 등의 면역활성을 검토하였다. 내산성 실험의 결과, Lactobacillus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 Lb. plantarum과 Leuconostoc mesenteroides ssp. mesenteroides ATCC 8293의 경우 생존률이 5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Lb. acidophilus DDS-1과 Lb. acidophilus B-3208의 경우에는 70% 정도의 높은 생존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젖산균주의 담즙산 내성에서는 Lactococcus lactis ssp. lactis ATCC 7962를 제외한 모든 균주가 3% oxgall이 함유된 MRS배지에서도 성장이 가능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젖산균주의 장내 점착능 면에서 볼 때, Lb.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과 Bifidobacterium bifidum KCTC 3357의 장내 점착능이 실험에 사용된 다른 젖산균주와 비교하여 우수하다고 관찰되었으며, 특히 Lb. acidophilus DDS-1과 B-3208의 장내점착능이 높게 나타났다. 젖산균주의 병원성균 억제능 실험의 결과, Lb. acidophilus DDS-1, Lb. acidophilus B-3208 및 B. bifidum KCTC 3357은 Staphylococcus aureus를 제외한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43895, Listeria monocytogenes ATCC 59414, 그리고 Salmonella enteritidis ATCC 49313에 대해 높은 증식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젖산균의 세포질 획분과 세포벽 획분을 대상으로 면역활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장관면역 활성은 젖산균의 세포질 획분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LPS와 같은 수준의 면역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Lb. acidophilus속 균주들의 세포벽 획분의 장관 면역활성이 다른 균주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편 젖산균주의 세포질과 세포벽 성분에 대한 비장 림프구의 증식능은 대조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낮게 관찰되었으나, 이들의 대식 세포증식능은 세포벽 및 세포질 모두의 획분에서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특히 세포벽 획분의 경우에는 양성대조군인 LPS 보다 높거나 유사한 정도의 높은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험 균주 중에서 Lb. acidophilus 균주인 DDS-1과 B-3208이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요구되는 조건을 충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들 균주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계분으로부터 Lactobacillus salivarius의 분리 및 생균제적 특성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alivarius CPM-7 Isolated from Chicken Feces.)

  • 임수진;장성식;강대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8-103
    • /
    • 2007
  • 산란계의 분변으로부터 생균제 특성을 가진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무작위 선발법과 agar well diffusion assay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유산균을 1차 선발하였으며 이 중에서 대장균 억제능이 가장 우수한 CPM-7 균주를 분리하였다. 최종 선발된 CPM-7 균주는 형태학적 특징, 당 이용성 및 16S rRNA 서별 분석을 통하여 Lactobacillus salivarius CPM-7으로 동정되었다. L. salivarius CPM-7은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pH 2에서 30분 동안 및 pH 3에서 6시간 동안 생균수가 거의 유지되었으며, bile salt 0.2%가 첨가된 MRS 배지에서 증식할 수 있었다. L. salivarius CPM-7은 a-galactosidase를 포함한 다수의 효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돼지의 장 상피세포에 흡착할 수 있었다. L. salivarius CPM-7의 배양액 및 중화액은 자돈 설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E. coli K88에 대한 강력한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에 의한 질소 산화물 전환 및 철 이온 환원활성 (Bioconversion of nitrogen oxides and reduction of ferric ions b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 김세림;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85-791
    • /
    • 2021
  • 다양한 유산균들이 생체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프로바이오틱스로 제시되고 있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L. kimchicus, L. lactis, L. casei, L. plantarum, LGG 및 Leu. mesenteroides 등 유산균 6종을 선별하여 균주별 nitrate의 환원과 nitrite의 소거, 그리고 철 이온에 대한 환원활성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6종의 유산균 중, 5종의 균주에서 72시간 배양시간 동안 nitrate에 대한 환원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L. kimchicus는 nitrate의 환원을 통해 과량의 nitrite를 생성했다. 한편, nitrite 소거활성은 균주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L. kimchicus는 nitrate와의 반응과 마찬가지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어 반응시간과 균수에 따른 급격한 배지 중 nitrite 수준 감소를 유도하였다. Ferric ion의 ferrous ion으로의 환원에 있어서도 L. kimchicus가 다른 5종의 균주에 비해 420-1500배의 높은 활성을 보였다. L. kimchicus의 환원활성은 멸균처리 균주나 균체 용해물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아 생균의 대사능력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L. kimchicus의 활성은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효과뿐만 아니라, 관련 환원활성에 의한 NO 등 유용 포스트바이오틱스 대사물에 의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질 내 유산균의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 효과 연구 (Characterization an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andida albicans of Vaginal Lactobacillus spp. Isolated from Korean Women)

  • 정여정;강창호;신유진;소재성
    • KSBB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146-152
    • /
    • 2017
  • Vulvovaginal candidiasis (VVC) is one of the urogenital infections occurring in women worldwide. Candida albicans is generally observed among various types of microorganisms causing VVC. Antibiotic therapy is typical, and the use of Lactobacilli probiotics is to be recognized as a promising alterna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lect vaginal lactobacilli with probiotic properties against C. albicans. In a previous study, we isolated 38 lactobacilli from vagina of Korean women and 20 isolates were shown to inhibit C. albicans. We further selected 10 isolates which were able to inhibit C. albicans less than $10^5CFU/mL$. Among these selected strains, Lactobacillus salivarius MG242 (identified by 16s rRNA sequencing) was finally selected based on its strong anti-candidal activity, acid/bile salt resistance and adhesion property. Indirect adhesion activity of MG242 measured by auto-aggregation assay showed more than 60% auto-aggregation after 5 h standing. Taken these results together, the selected strain MG242 may have potential for application in vagina health related products.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obacillus sp. AP 116 from the Intestine of Pig for Potential Probiotics

  • Shin, Myeong-Su;Choi, Hyun-Jong;Jeong, Kyeong-Hyeon;Lim, Jong-Cheol;Kim, Kyeong-Su;Lee, Wan-Ky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1-3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bacteriocin-producing bacteria with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pathogens from the intestines of pigs for probiotic use. Lactobacillus sp. AP 116 possessing antimicrobial property was selected from a total of 500 isolates. The AP 116 strain showed a relatively broad spectrum of inhibitory activity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Clostridium perfringens, Pediococcus dextrinicus, and Enterococcus strains using the spot-on-lawn method. Bacteriocin activity remained unchanged after 15 min of heat treatment at $121^{\circ}C$ and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however, it diminished after treatment with proteolytic enzymes. Maximum production of bacteriocin occurred at $34^{\circ}C$ when a pH of 6.0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culture during fermentation. According to a tricine SDS-PAGE analysi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bacteriocin was approximately 5 kDa. The isolate tolerated bile salts and low pH, and also induced nitric oxide (NO)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Bacteriocin and bacteriocin-producing bacteria, such as Lactobacillus sp. AP 116,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use as probiotics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in the pig industry.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CBT LA1 생균과 사균체의 세포부착력, 자가응집력, 소수성 상호작용력, LPS 결합력에 대한 평가 (Assessment of cell adhesion, cell surface hydrophobicity, autoaggregation, and lipopolysaccharide-binding properties of live and heat-killed Lactobacillus acidophilus CBT LA1)

  • 신주현;이중수;서재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41-248
    • /
    • 2015
  •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생균의 효과가 많이 알려져 있지만 가열 처리된 유산균인 사균체의 기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CBT LA1의 사균체의 장관장벽 기능에 대하여 in vitro, in vivo에서 실험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포표면 소수성 상호작용력(cell surface hydrophobicity), 자가응집력(autoaggregation), 세포에 부착하는 능력(cell adhesion)과 자가응집력(autoaggregation), LPS와의 결합력을 조사하였다. 또한 HT-29 장상피세포에서 LPS로 유도되는 IL-8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CBT LA1을 80도에서 121도까지 10분 동안 열을 처리하였을 때, 80도에서 열을 처리한 CBT LA1 사균체가 가장 높은 세포에 부착하는 능력을 보여 주었다. CBT LA1 생균과 비교했을 때, 80도에서 열을 처리한 CBT LA1 사균체는 높은 LPS와의 결합력, 소수성 상호작용력, 자가응집력, HT-29 세포에 부착하는 능력과 IL-8의 발현을 억제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In vivo 실험에서 FITC로 label된 LPS를 투여하였을 때 16시간 후, CBT LA1 사균체를 섭취한 동물의 장관 내 LPS가 가장 많이 제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CBT LA1 생균처럼 CBT LA1 사균체도 장관장벽 기능을 가지며 이는, 파마바이오틱스로서 그 가능성을 시사한다.

Home-made 요구르트와 시판 중인 요구르트에서 분리한 젖산균의 기능적 특성 조사 (Studies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ome-made Yogurt and Commercial Yogurt)

  • 최문섭;윤현명;오계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8-14
    • /
    • 2014
  • 본 연구는 home-made 요구르트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casei SK-7과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요구르트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bulgaricus YK-11의 기능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먼저 분리세균인 SK-7과 YK-11의 생리화학적 특성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들 균주는 16S rRNA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유전학적 분석방법으로 동정하여, 각각 L. casei SK-7와 L. bulgaricus YK-11로 명명하였다. 16S rRNA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SK-7과 YK-11의 유전적 계통수를 작성하였다. 72시간 동안 SK-7과 YK-11 배양에서 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생산, 그리고 pH 변화를 조사하였다. 배양기간 동안 L. casei SK-7과 L. bulgaricus YK-11의 몇가지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L. casei SK-7과 L. bulgaricus YK-11 배양상등액은 주어진 nitrite를 각각 93.9%와 88.2% 소거하였다. SK-7 and YK-11 배양상등액의 항산화능은 각각 62.6%와 54.9%였으며, ${\beta}$-galactosidase 활성은 14.9 units/mg과 13.1 units/mg로 측정되었다. 항미생물능력은 SK-7과 YK-11 배양의 20배 배양농축액으로 조사되었으며, SK-7은 이 조사에 사용된 모든 미생물에서 명백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YK-11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부가적인 기능성 연구가 이루어져야 되겠지만, 본 연구에서는 home-made 요구르트에서 분리된 젖산균의 기능성은 시판요구르트에서의 기능성과 비교하여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