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9초

간호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에 관한 융합적인 연구 (Convergence Study on Perception on Patient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n Nursing Students)

  • 이현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59-65
    • /
    • 2017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전의 간호 학생들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 정도를 확인하여 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임상실습 학생들을 위한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 프로그램 마련에 필요한 기반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학과 2학년 학생 12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간호학생들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은 높은 수준이었다(4.52점/5점).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향후 일부 간호학생으로 제한되었던 대상자를 확대하여 간호학생의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다학제간 융합연구가 필요하고, 임상실습 미경험 간호학생들을 위한 환자 개인정보보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환자 개인정보보호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의료기관과 대학 측의 공동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전자정부서비스에 대한 개인정보제공의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Electronic Government Services)

  • 박정애;손달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1호
    • /
    • pp.53-73
    • /
    • 2017
  • Frequent outbreak of intrusion of private information is occurring recently not only at portal sites but also in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 of public agencies. Due to these intrusions, it is observed that the citizens tend to avoid providing their private information even to the service for public agencies.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can be explained as demonstrating the influence of the intention of provision for private information to foster the selectronic information ervice of the public agencies. In order to achieve this, this research intends to demonstrate how the experience of the intrusion of the private information affects the concern about the privacy and how the information factor from the public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 has influence on the reliability toward the publi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intrusion of privacy, awareness of the danger of privacy, and the sense protection of the information from the manager at public agencies have direct influence on the concern of privacy. Meanwhile,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awareness of information protection of a manager, the systemicity of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surveillance and punishment of information protection have influence on the reliability of public agencies.

기업의 정보보호활동의 효율성 평가 (An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Protection Activities of Private Companies)

  • 최원녕;김우제;국광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5_1호
    • /
    • pp.25-32
    • /
    • 2018
  • 해킹 공격이 지능화되고 증가됨에 따라 공공 및 민간기업들은 중요한 자산 및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정보보호인력을 충원하여 다양한 정보보호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많은 비용과 인력을 요구하는 정보보호활동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정보보호 효율성 평가연구는 주로 정보수집이 보다 수월한 정부기관에 대해서 행해져 왔다. 본 연구는 다양한 민간 기업들의 정보보호인증 및 정보보호활동에 대한 효율성을 평가하는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민간 기업들의 정보보호활동에 대한 공시된 자료인 정보보호공시 정보를 활용하여 계층구조분석(AHP) 과 자료포락분석(DEA) 기법을 적용하여 정보보호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효율성 평가 모델을 통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DMU를 선별하고 비효율적인 DMU들이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보안활동요소들에 대해 알아본다.

  • PDF

k-anonymity와 ℓ-diversity를 이용한 동적 데이터 보호 기법 설계 (A Design of DDPT(Dynamic Data Protection Technique) using k-anonymity and ℓ-diversity)

  • 정은희;이병관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17-22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동적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개인 정보 노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동적 데이터 보호 기법(Dynamic Data Protection Technique)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DDPT은 다중 속성 일반화 알고리즘을 이용해 MAG(Multi-Attribute Generalization) 규칙을 생성하고, 그 MAG 규칙에 따라 k-anonymity를 만족하는 EC(Equivalence Class)를 생성한다. 그리고 데이터 변경 시 MAG 규칙에 따라 EC를 재구성 하도록 하여, EC의 변경으로 인한 식별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ell}$-diversity를 만족하는 EC의 정보손실 정도를 측정하고, 임계치 이하의 EC를 선정해서 데이터의 정확성을 유지함으로써 개인 정보 보호를 향상시켰다.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민감정보 보호 방안 및 대응책: 서베이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and countermeasures in Big-data environment: Survey)

  • 홍성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55-59
    • /
    • 2018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혁심기술인 빅데이터는 보건, 금융, 유통, 공공부문, 제조업,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확하고 신속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마케팅 분석과 미래 설계에 매우 유용한 기술이며, 앞으로 더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하지만, 빅데이터 활용 시 가장 큰 문제점이 개인정보 보호와 프라이버시 문제이다.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을 통해 기존에 알지 못했던 개인의 취향 및 행동을 분석될 수도 있고, 이러한 정보들은 개인의 민감한 정보이자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를 활용할 때 발생 가능한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필요 사항들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필요한 개인정보보호 기술을 제안하여 개인정보 보호와 사생활 보호에 기여하고자 한다.

디지털시대의 개인정보보호 - 새로운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Digital Era -Review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 유종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81-90
    • /
    • 2011
  • 오늘날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확대추세에 따라 인터넷을 기업의 마케팅수단으로 활용하는 기업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소비자도 인터넷을 물품구매의 일상화된 생활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즉,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는 시 공간적으로 접근성에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어 일반 소비자들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가 인터넷을 통하여 물품을 구매하거나 거래하는 전자상거래가 본격화되고 있으며 그 내용도 광고, 계약, 대금결제, 클레임처리 등 거래행위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정보화시대에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개인정보 침해문제는 모든 국가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개인정보보호법은 정보인권을 보호하는 기본적인 법률 중의 하나로써 개인정보보호법은 정보화시대에 없어서는 안 될 법률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새로운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정보사회에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내용들을 담고 있는 진일보한 법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법제정을 통하여 끊임없이 발생하는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줄어들어 국민의 개인정보 보호수준이 월등히 높아지고, 개인정보 관련 산업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합리적인 개인정보 이용 및 보호 문화의 정착을 위한 사회구성원 모두의 적극적인 참여와 인식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개인정보보호법의 목적이 개인정보의 수집 유출 오용 남용으로부터 사생활의 비밀 등을 보호함으로써 국민의 권익을 증진하고 개인의 존엄과 가치를 보호할 수 있지만, 사생활의 비밀보호와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을 조화하는 역할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of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 Park, Su-Hyeon;Choi, Dong-J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315-320
    • /
    • 2020
  • 이 연구는 목적은 경찰청, 경비협회 등에서 제공하는 최근 3년 동안의 민간경비업체·경비원, 규모별 경비업체, 일반·특수(신임교육), 자격제도 현황의 분석 및 해석을 통해 우리나라 민간경비업의 이론적 바탕을 제공하고 민간경비업을 해석하기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현황을 통해 살펴 본 민간경비업은 수도권·시설경비의 집중, 비정상적인 신변보호업체 대비 신변보호원의 수, 특수경비업의 정규직 전환이였고, 신임교육에서는 일반경비원은 아직 지속적인 교육 증가, 반면에 특수경비원의 교육은 한계점이 나타났다. 자격제도에서는 경비지도사의 자격증의 활용성과 신변보호사 자격증의 활용과 홍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민간경비업의 현황들로 살펴본 특징들의 대응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민간경비업의 균형발전과 업무구분의 명확성이다. 두 번째, 민간경비 교육과 교육기관의 질을 높여야 한다. 세 번째, 자격제도의 현실화와 적극적인 홍보이다.

A key-insulated CP-ABE with key exposure accountability for secure data sharing in the cloud

  • Hong, Hanshu;Sun, Zhixin;Liu, Xime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5호
    • /
    • pp.2394-2406
    • /
    • 2016
  • ABE has become an effective tool for data protection in cloud computing. However, since users possessing the same attributes share the same private keys, there exist some malicious users exposing their private keys deliberately for illegal data sharing without being detected, which will threaten the security of the cloud system. Such issues remain in many current ABE schemes since the private keys are rarely associated with any user specific identifiers. In order to achieve user accountability as well as provide key exposure prote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key-insulated ciphertext policy attribute based encryption with key exposure accountability (KI-CPABE-KEA). In our scheme, data receiver can decrypt the ciphertext if the attributes he owns match with the self-centric policy which is set by the data owner. Besides, a unique identifier is embedded into each user's private key. If a malicious user exposes his private key for illegal data sharing, his identity can be exactly pinpointed by system manager. The key-insulation mechanism guarantees forward and backward security when key exposure happens as well as provides efficient key updating for users in the cloud system. The higher efficiency with proved security make our KI-CPABE-KEA more appropriate for secure data sharing in cloud computing.

비특정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에 관한 정책적·기술적 개선방안 연구 (Research on Institutional and Technical Improvement Regarding on the Collection and Application of Non-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 전회미;손태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1583-1592
    • /
    • 2016
  • 본 논문은 지금까지 비특정 개인정보들이 모바일메신저를 통해 아무런 보호 없이 각종 기업들의 자원적 가치를 가진 정보로 수집 및 활용되어왔던 현상을 설명하고, 관련 개인정보법률과 정책, 각 모바일메신저 기업들의 이용약관과 개인정보처리방침을 분석하여 현재 비특정 개인정보 보호정책의 문제점을 밝힌다. 이를 통해 앞으로 비특정 개인정보 활용에 있어 제도적으로는 개인정보 수준의 보호규정 보완을, 기술적으로는 비특정 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개발을 통한 보완 등을 제안하여 이를 활용 시나리오를 통해 검증함으로써 비특정 개인정보 수집 및 활용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정보사회에서의 소비자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umer Personal Information in Information Society)

  • 남수정;김기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55-6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consumer policy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n the basis of regulations and laws in the developed countries. From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protection consumer privacy a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Consumer education is needed to enhance consumers'knowledge on their privacy right and this should be done not only by private consumer organization but also by businesses. Second, Businesses should realize ethical responsibilities of consumers'privacy right when they use personal information by databasemarketing. Finally,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privacy law concerning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