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sm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29초

PRISM과 상세 지형정보에 근거한 북한지역 강수량 분포 추정 (Estimation of Monthly Precipitation in North Korea Using PRISM and Digital Elevation Model)

  • 김대준;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5-40
    • /
    • 2011
  • 현재 남한에서는 270m 해상도의 강수분포도가 제작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북한지역에는 강수관측점의 수가 남한에 비하여 매우 적어서 남한과 같은 방법으로 강수분포를 추정하기는 어렵다. 자료가 불충분한 북한지방의 강수추정을 위해 우선 낮은 해상도의 강수기후도를 PRISM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격자 내 지형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여기에 상대적으로 자료가 풍부한 남한의 '지형-강수 관계'에 근거한 보정값을 더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남한 지역 270m 해상도의 DEM에서 자동기상관측소와 표준기상관측소 위치의 격자값을 추출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AWS+KMA 및 KMA에 해당하는 가상지형을 만든 다음, 둘 간의 편차를 얻었다. 강수량에 대해서도 동일한 작업을 하여 둘 간의 편차를 얻어 경사향별로 고도편차-강수편차 간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북한 지역의 270m 해상도의 DEM과 27개 기상대 고도 값으로 IDW한 가상지형 간의 편차를 구한 다음, 남한에서 얻은 회귀식을 적용하여 보정값을 계산하였다. 북한지역에 대해 2,430m 해상도로 PRISM모형을 구동하고 보정값을 적용하여 최종강수량을 얻었다. 제작된 강수기후도에 따르면 북한지방의 연간 총 강수량은 지역평균이 1,196mm이며 표준편차는 298mm인 것으로 추정된다.

효율적인 연속 충돌감지를 위한 프리즘 기반의 메쉬 컬링 기법 (Prism-based Mesh Culling Method for Effective Continuous Collision Detection)

  • 우병광;유효선;최유주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다각형 메쉬 모델들에 대한 시뮬레이션 수행시 주요 병목현상으로 제기되는 충돌감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연속 시간사이에서 이산시간 스위프트로 형성된 프리즘을 단위로 하는 효율적 메쉬 컬링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우선, 연속 시간사이에서 대응되는 두 삼각형을 이용하여 프리즘을 정의하고, 프리즘 단위의 폐쇄검사(Occlusion Query) 기반 가시성 테스트(Visibility Test)를 실시하여, 교차 가능성이 없는 프리즘을 세부 충돌테스트의 대상에서 제외시킨다. 또한, 가시성 테스트 결과로 추출된 프리즘의 충돌가능 집합(PCS: Potential Colliding Set)에서 충돌 가능성이 없는 프리즘의 쌍들을 분리축 테스트(SAT: Separating Axis Test)을 기반으로 분류하는 협대역 컬링(Narrow Band Culling)을 수행한다. 분리축 테스트 시, 두 프리즘의 영역을 각각의 반공간(Half Space)에 포함시키는 평면을 정의하고 이에 수직인 주축을 정의하여, 단일 주축에 대한 분리 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수행 효율성을 높인다. 제안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벤치마크 모델을 선정하고, 제안 기법 적용 전후의 세부 층돌검사 대상 프리즘 쌍의 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단일 주축에 대한 분리축 테스트 기반 컬링의 효율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프리즘 쌍에 대한 가시성테스트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2916개와 2731개의 삼각형으로 구성된 두 메쉬모델에 대한 컬링 실험에서, 제안 컬링기법 적용시 99%의 효과적인 컬링결과를 얻었다.

  • PDF

다공성 방풍펜스가 대기경계층내에 놓인 삼각프리즘 표면압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Porous Fence Effects on Surface-Pressure of a Triangular Prism in Atmospheric Boundary Layer)

  • 박철우;성승학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0권8호
    • /
    • pp.2670-2680
    • /
    • 1996
  • Effeccs of porous wind fence on surface-pressure around 2-dimensional prism model of triangular cross-section we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he pressure data were obtained at a Reynolds number based on the model height of Re=2.1*10$^{5}$ . Flow visualization also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w structure qualitatively. The mean velocity and turbulent intensity profiles measured at fence location were well fitted to the neutral atmospheric surface boundary layer over the open terrain. Various fences with different porosity and height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the surface pressure acting on a prism model at different locations. As the results, porous fence with porosity 40 ~ 50% is most effective for abating wind erosion. With decreasing porosity of the fence, pressure fluctuations on the model surface are increased. The mean pressure coefficients are decreased only when the fence height is greater than the model height. The effect of distance between wind fence and triangular prism was not significant, compared to that of the fence porosity and height.

평면 프리즘 LED 조명기구 배광수치모델의 다양한 배광 제어를 위한 연구 (A Study for the Control of Various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in Numerical Model of Planar Prism LED Luminaire)

  • 김유신;최안섭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60-66
    • /
    • 2011
  • There are several technological problems have to be resolved for LEDs to be used as a general purpose light source. In addition, there are several differences between existing luminaires and the general planer LED luminaire for the intensity distribution. Therefore, the optical engineer then faces the challenging a problem of designing for a spatially extended and non-uniform light source. I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optical design of luminaires, a lot of studies on reflectors and light source have been conducted but the ones on prisms and lenses are insufficient at present. This study developed the numerical model of planar prism LED luminaire to control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of LED luminaires. And this study presents an optical calculation process for the prism optical design of a planar prism LED luminaire and a comparison of the simulation results between the developed numerical model and Photopia 2.0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numerical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a method for the control of various luminous intensity distribution from the developed numerical model.

영상정보디스플레이용 비대칭 비구면 삼각 프리즘 광학계 연구 (Investigation of Asymmetric Aspherical Triangular Prism Optical System for Video Information Display)

  • 윤갑석;유경선;현동훈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90-595
    • /
    • 2014
  • We have investigated anamorphic prism lenses with distortions of 0.3-0.5%. We designed the plastic triangular lens and confirmed the minimum resolution using MTF graphs. Also we confirmed that the SVGA optical system can realize a resolution of $864{\times}648$ 56 megapixels. A distortion of about 0.5% aberration appears in the maximum field, and a finite beam aberration of about $15{\mu}m$ is confirmed. We made a mold based on the design data and completed the prism lens through exodus molding. We confirmed the shape error (< $30{\mu}m$) and surface roughness (> 40 nm) of the three sides. We made the video-information-display prototype glasses using prism lens by measuring the performance, we determined the distortion aberration (0.3%) and SVGA resolution. Our approach will enable fabrication of a portable large-screen display device for glasses and sunglasses for the domestic market and, after 2015, for the world market.

비구면 프리즘 렌즈를 이용한 소형 경량의 EGD용 광학계 설계 및 제작 (Aspherical prism lens design and manufacture of a small size and light wight EGD)

  • 김태하;박광범;김미정;박영수;김휘운;문현찬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4-454
    • /
    • 2007
  • Eye Glass Display (EGD) with microdisplay to realize the virtual display can make the large screen, so virtual image has been developed by using microdisplay panel. This paper shows study of spherical prism lens design and manufacture of a small size and light weigh EGD with 0.59" OLED panel. Code V is used and it designed an aspherical prism lens about eye relief 25mm and 42 degree of filed of view (FOV). With the application this aspheric prism lens to OLED type's microdisplay, virtual image showed 60 inch at 2m. It had less than 2% of distortion value and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in axial had 30% of resolution with 32 lp/mm spatial frequency. We made an injection molding bases to lens designed.

  • PDF

강수의 공간보간 기법에 따른 제주 면적강수량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areal rainfall in Jeju region according to the spatial interpolation scheme)

  • 엄명진;이정은;정일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931-931
    • /
    • 2012
  • 제주지역의 강수자료는 최근에 이르러 69개 지점으로 증가하여 비교적 밀도있는 강수관측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자료 증설 내역과 이설 등으로 인해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자료를 기반으로 면적강수량을 산정할 경우 다소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2년부터 2010년까지의 강수자료를 바탕으로 관측소 개수를 기반으로 기간을 구분하여 각 기간별로 공간보간기법별로 면적강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사용한 공간보간기법은 PRISM(Parameter-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기법과 티센(Thiessen)법으로 19년간의 일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각각 면적강수량을 산정했다. PRISM기법을 이용한 경우는 고도, 관측점으로부터의 거리, 방향성 분석 및 해안가중치를 고려하여 계산하였고, 티센법의 경우는 기간별로 상이한 티센망을 구축하여 산정하였다. 지점 관측강수량에서 고도가 증가할수록 강수량이 증가하는 제주형 산악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보간기법에 의한 결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도에 따른 상관성은 PRISM기법에 의한 결과에서 더 높게 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법별 산정된 면적강수량은 근소한 차이를 보였으며 PRISM기법에 의한 값이 티센법에 비해 약 1%정도 크게 계산되었다.

  • PDF

사시 진단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Smart Device System for Strabismus Diagnosis)

  • 윤웅배;오지은;문효원;양희경;황정민;박종일;김광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538-1543
    • /
    • 2016
  • Strabismus is a non-aligned state;the visual axis of each eye is not directed toward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time. Clinically, the degrees of strabismus are measured by prism cover test, corneal reflex test (Hirschberg test), prism reflex test (Krimsky prism test), But corneal reflex test and prism reflex test is a possibility that errors occur. we suggest a computer-aided diagnosis for strabismus. We made a mobile application to measure angles of strabismus. For 34 patients, we tested our application. The result of comparing between two methods, It showed a difference 7 Prism Diopter(PD). Our application gives strabismus angles just using a camera and a smart device. Therefore, it can reduce the cost and make the diagnosis of strabismus accurate.

시공정밀도에 따른 비구조용 콘크리트벽돌 조적벽체의 프리즘 압축강도 (Prism Compressive Strength of Non-structural Concrete Brick Masonry Walls According to Workmanship)

  • 신동현;김형준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6권2호
    • /
    • pp.127-136
    • /
    • 2020
  • Prism compressive strength is the most influential parameter to evalu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non-structural concrete brick masonry walls, and is affected by the practice and workmanship of masonry workers. This study experimentall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workmanship on prism compressive strength throughout the compressive test with prism specimens constructed according to masonry workmanship. To do this, the workmanship is categorized into good, fair, and poor conditions which are statistically evaluated with thickness and indentation depth of bed-joints. Then, the effect of workmanship on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masonry prisms is evaluated by investigating relations between properties such as their compressive strength, elastic modulus and numerical parameters such as thickness, filling of bed-joint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indentation depth is more important parameter for structural properties of masonry prisms and masonry prisms with loss in bed-joint area less than of 7% can be in fair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