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or art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7초

온라인 미술기반 동료 슈퍼비전 실행에 대한 고려사항 (Considerations for Implementing Online Art-Based Peer Supervision)

  • 윤라미;김수인;정희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04-41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미술기반 동료 슈퍼비전 실행과정에서의 특징을 바탕으로 실제 적용을 돕는 고려사항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자를 포함한 임상미술치료 박사과정 동료들은 연구 참여자로서 실행과정에서 반복적인 문제점 파악과 개선적용을 시도하였고, 이 과정에서 수집된 다양한 자료들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특징을 살펴보면 '미술기반' 측면에서는 매체 및 공간의 확장성, '온라인' 측면에서는 주도성, 편리성, 신속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파악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전 구조화'는 명확한 경계와 설정, 집단의 사전 협의, 자기 주도적 준비와 태도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 두 번째, '미술 구조적 측면'은 창작을 통한 몰입을 돕는 공간과 매체 마련, 안정적인 시행구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세 번째, '기술적 측면'은 미술작품을 전달할 수 있는 활용방안과 창작자의 명확한 의도전달이 가능한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윤리적 측면'은 최소 보안표준 기준에 따른 온라인 소프트웨어 활용 및 반복적인 비밀보장 상황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팬데믹을 포함한 다양한 상황에서 미술치료사의 전문역량을 유지하고 미술치료사간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실질적 방법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미활용 특허의 생성 원인과 기업 특허관리 활동 효과 (The Causes of Sleeping Patents and the Effect of Firms' Patent Management Activities)

  • 한정희;최동혁;신지훈;김연배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761-790
    • /
    • 2011
  • 지식기반경제에서 지식재산의 보호수단으로서 특허의 중요성은 점차 증대하고 있다. 하지만 미활용 특허는 기업들에게 특허 관리 비용을 지출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회비용을 감수하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미활용 특허의 원인을 시장 불확실성, 기술 불확실성 그리고 정보의 비대칭에 기인한 전략적 불확실성으로 구분하고 각 원인별로 기업의 특허관리 활동이 미활용 특허 비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허관리 활동은 특허 실사, 예비 평가, 선행 기술 조사, 타 기업과의 협력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그 결과 먼저 시장 불확실성 또는 기술 불확실성이 미활용 특허의 주된 이유인 경우 특허 실사와 선행기술조사가 각각 미활용 특허를 줄이는 데에 유의하였다. 또한 전략적 불확실성의 경우에는 타 기업과의 협력이 미활용 특허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미활용 특허를 불확실성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하는 동시에 그러한 관점에서 기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보유 특허를 관리할 수 있는가에 대한 기업 전략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Learning from Successes and Failures of Registration of Patent Applications Based on Physical Ergonomics Research

  • Kim, Sungho;Lee, Wonsup;Lee, Baekhee;Choi, Younggeun;Lee, Jihyung;Jung, Kihyo;You, Heecheo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55-467
    • /
    • 2015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suggested practical measures for successful patent registration based on a review of success and failure cases of patent application filed based on inventions obtained from physical ergonomics research. Background: The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IP) contributes to economic growth and competitiveness and facilitates innovation and creativity. IP rights are pursued on research findings for effectiv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however, a patent application can be rejected if patentability requirements such as patent eligible subject matter, utility for industrial application, novelty, or non-obviousness are not satisfied. Method: Three successful and three failed cases of patent applications based on physical ergonomics research were reviewed, critical reasons for their successes and failures were examined, and measures were proposed to avoid failures in patent registration. Results: The following measur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patent application case review. First, abstract ideas including logical procedures and/or mathematical formulas need to include use of tangible apparatus and methods in idea realization. Second, the provision of grace period inventor disclosure exception needs to be properly followed in case an invention is disclosed before filing of patent application. Lastly, a comprehensive analysis of prior art published or publicly known anywhere in the world and a claim preparation of distinguished, non-trivial features compared to prior art solutions are needed to avoid possible violation of novelty and non-obviousness. Application: The proposed measures can help to prepare a patent application with patent eligibility.

지식 조합과 발명 유용성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기술 변화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Knowledge Combination and the Usefulness of Invention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echnological Change)

  • 문희진;정예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15-324
    • /
    • 2018
  • 본 논문은 지식 조합과 기술 변화 간의 상호 작용이 발명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기술 변화에 따라 외부 주체들이 현 기술 환경에 적합하다고 판단하는 지식 요소가 달라져 선행 기술 대비 새로운 지식 요소나 다양한 기술 분야의 지식 요소를 조합한 발명의 유용성이 변함을 주장한다. 1992년부터 2000년까지 미국에 출원된 광학 디스크 등록 특허들을 분석한 결과는 선행 기술 대비 새로운 지식 요소를 많이 가지는 발명의 유용성은 낮음을 보였다. 그러나 다각화된 지식 요소를 가지는 발명의 유용성은 높았다. 또한, 실증 분석 결과는 선행 기술 대비 새로운 지식 요소와 발명 유용성 간의 부의 관계는 지배적 디자인이 나타난 이후 강화됨을 보였다.

재실자 활동량 산출을 위한 딥러닝 기반 선행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for the Deep Learning-based Metabolic Rate Calculation)

  • 박보랑;최은지;이효은;김태원;문진우
    • KIEAE Journal
    • /
    • 제17권5호
    • /
    • pp.95-10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ior art based on deep learning to objectively calculate the metabolic rate which is the subjective factor for the PMV optimum control and to make a plan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and technical review and applic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various documents and data both in domestic and foreign. Results: As a result of the prior art research, the machine learning model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eep learning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speech recognition, scene recognition, and image restoration. As a representative case, OpenCV Background Subtraction is a technique to separate backgrounds from objects or people. PASCAL VOC and ILSVRC are surveyed as representative technologies that can recognize people, objects, and background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on deep learning based on metabolic rate for occupational metabolic rate, it was found out that basic technology applicable to occupational metabolic rate calculation technology to be developed in future researches. It is considered that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ctivity quantity calculation model with high accuracy will be done.

부적응 행동 아동의 우울·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Decrease in Depression and Anxiety and Improv in Self-esteem of maladaptive Behavior Child)

  • 이영환;정남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43-71
    • /
    • 2009
  • 본 연구는 가정이나 학교생활에서의 부적응 행동 아동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우울 및 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J시 초등학교 1학년 여자 아동(만 7세)으로 주 2회, 50분씩 총 24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치료 종결부분에 어머니-아동과 함께 6회기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우울 및 불안 감소를 알아보기 위해 Kovacs와 Beak(1977)이 개발한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를 조수철 이영식(1990)이 번안한 한국형 아동용 우울 척도와 자아존중감 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Reynolds와 Richmond(1978)가 제작한 Revised Child Manifest Anxiety Scale(RCMAS)을 조수철 최진숙(1990)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정서적인 평가를 위해 KHTP, KFD 그림검사를 사전-사후로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의 아동의 변화를 회기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아동의 KHTP, KFD 그림검사에서는 긍정적으로 정서적 안정이 변화되었으며, 가족의 소속감 응집력이 강화되어 친밀한 가족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회기별 미술치료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아동의 우울 및 불안이 감소되고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미술치료가 부적응 행동 아동의 우울 및 불안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미술품 가격 추정에 있어서의 예술적 가치의 의의: 경매와 비경매 시장의 비교 (Artistic Value and Art Price: A Comparison between Auction and Non-auction Markets)

  • 신형덕;김태황;김명수;김영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432-4439
    • /
    • 2012
  • 기존의 미술품 가격 추정 모델에서는 자료의 한계상 주로 경매 시장에서의 미술가격을 기준으로 헤도닉 모형을 제시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미술품이 거래되는 시장으로서 경매 시장 뿐만 아니라 비경매 시장도 포함된 미술시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두 시장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기존의 헤도닉 모델들이 미술품 가격에 대해 작가 요소, 미술품 요소 등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헤도닉 요인만을 통해 미술품 가격 추정을 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예술적 가치라는 주관적이고 정성적인 요인을 추가하여 과연 이 요인의 추가가 미술가격 추정 모델의 설명력을 높여 주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경매와 비경매 시장으로 구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순수한 헤도닉 가격 추정 모델과 그 모델에 예술적 가치 요인을 추가한 가격 추정 모델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경매와 비경매 시장으로 구분한 경우에는 비경매 시장의 매매에 있어서 예술적 가치 요인이 추가된 가격 추정 모델에서 유의적으로 실제 매매가격과 더 일치하는 가격 추정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미술가격 추정 헤도닉 모델에 예술적 가치라는 주관적인 요인을 포함시켰을 때에 미술품 거래 시장의 형태에 따라 차별적으로 모델의 설명력 향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미술품 가격 결정 분야의 연구에 기여한다.

'그리드'(Grid)의 형성과 해체 -서양회화의 사적맥락과 그 해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the 'Grid' : The Historical Context and Interpretation)

  • 김재관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1권
    • /
    • pp.125-164
    • /
    • 1999
  • The Grid, a lattice structure adapted in paintings, is one of thesimplest plastic structures based on the intersection of horizontal and perpendicular lines. Though mankind has, from the pre-history to the present day, put it to good use in everyday life as a traditional practice or a magical, esoteric, religious emblem in the case of the teciform of primitve art, it was in the paintings of Piet Mondrian that the Grid showed its modern, artistic transformation. As we suggest in the title, before I state the Grid as a plastic construction of modern painting, this dissertation inquires the Grid structure that extends over paintings through the ages as a painterly conept, especially focused on their formation and deconstruction. To begin with, my dissertation investigates, as a historical background, a general idea of the geometrical structure and phases of its transition in art, prior to dealing with the Grids as plastic strures in modern painting. the core of my study on formal Grids is permeated through the third chapter. The first chapter concentrates on, firstly, difining the notion of the Grid and geometrical structure, secondly, searching for a historical backgrounb with whict the so- called modern Grid-paintings come in, inquiring into the formation of the illusion-Grid as aresult of discovering the linear perpective and the situation of the conflict and reconciliaton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e second cecond chapter will examine the various sitations of formation and adaptation of the paintery Grids in the Literalism-Grid, as we have already seen in the chapter one. And the cardinal third chapter devotes itself to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so-called Object-Grid and Literal-Grid in the Literalism or Minimalism as its logical extension of the Painterly Grid. With it we can get to an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qualites of Grid dwelt in Modernism thst transformed the structure of Painterly Grid originally as a plane concept to the third dimentionl structure. And then, the fourth chapter, we try to draw a new meaning andre-interpretation of the Formal-Grid as a representatuinnal structure appeared in the post-modernist paintings, going with its deconstructional situation. Therefore, we can, in our study on Grids, see the various points of view in the interpretation of them as illusion-structure, as plane-structure, and as cubic-structure; its concept differs form times, oscillating between its formation and deconstruction. The Grid, as we have seen in my dissertation, contains various problems and significations in art that deserve to investigate throughly, including some important plastic problem such as space and plane, and, in the case of do-grid, time. We may expect new concepts of it that will have difference meanings. 1 hope my study makes some contributions to understanding the coordination of the abstruse modern and contemporary art.

  • PDF

문화예술교육 시설 변화에 따른 연극 교육프로그램 개발과정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ater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Changes in Cultural Arts Education Facilities)

  • 박나훈
    • 트랜스-
    • /
    • 제12권
    • /
    • pp.223-244
    • /
    • 2022
  • 급속한 문화예술환경의 변화는 종전의 닫힌 공간의 문화예술교육에서 벗어나 새로운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 교육 시설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다. 극장을 벗어난 연극, 미술관을 벗어난 전시, 산책하는 그림 등의 현상들은 문화예술 교육 시설이 더는 기존의 패러다임에 머무를 수 없으며 문화예술계의 변화와 함께 변모해가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에 본 연구자는 문화예술 교육 시설의 변화라는 시대적 현상에 맞추어서 극장이나 스튜디오 중심이 아닌 특정한 장소를 중심으로 한 장소 특정적 연극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브레히트의 라디오 연극 실험과 동시대의 수행성 공연 실험 사례를 살핀다. 나아가 사례에서 확인된 문화예술교육의 지역과 공동체적 가치를 장소 특정적 연극 프로그램의 연구 동기로 삼으며 극장과 스튜디오를 벗어난 연극 프로그램을 실험하여 실행과 적용의 과정을 연구한다. 선행연구로서는 장소 특정적 공연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나 리그나그룹의 (Ligna group)공연 사례만을 다룬 선행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다만 장소 특정적 공연 사례에 대한 제반 선행연구를 인식론적 배경으로 삼아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로서 총 10명의 학습자를 통한 장소 특정적 연극 프로그램은 전통적인 문학 텍스트에 의존하지 않은 특정한 장소를 기반으로 한 텍스트가 창작되었고 이를 통해 장소 특정적 연극 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Multi-scale Diffusion-based Salient Object Detection with Background and Objectness Seeds

  • Yang, Sai;Liu, Fan;Chen, Juan;Xiao, Dibo;Zhu, Hair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0호
    • /
    • pp.4976-4994
    • /
    • 2018
  • The diffusion-based salient object detection methods have shown excellent detection results and more efficient computation in recent years. However, the current diffusion-based salient object detection methods still have disadvantage of detecting the object appearing at the image boundaries and different scales. To address the above mentioned issues, this paper proposes a multi-scale diffusion-based salient object detection algorithm with background and objectness seeds. In specific, the image is firstly over-segmented at several scales. Secondly, the background and objectness saliency of each superpixel is then calculated and fused in each scale. Thirdly, manifold ranking method is chosen to propagate the Bayessian fusion of background and objectness saliency to the whole image. Finally, the pixel-level saliency map is constructed by weighted summation of saliency values under different scales. We evaluate our salient object detection algorithm with other 24 state-of-the-art methods on four public benchmark datasets, i.e., ASD, SED1, SED2 and SO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favorably against 24 state-of-the-art salient object detection approaches in term of popular measures of PR curve and F-measure. And the visual comparison results also show that our method highlights the salient objects more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