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nting woodblock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147초

완판본(完板本) 심청전 복각 목판을 이용한 한지상의 인출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inting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Paper (Hanji) Using a Replicated Woodblock of Wanpanbon Edition Shimcheongjeon)

  • 유우식;김정곤;안은주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89-301
    • /
    • 2021
  • 고문헌 조사에서 목판 인쇄된 것인지 금속활자로 인쇄된 것인지를 판별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세계적으로 금속활자의 발명과 활용시기가 어떻게 판정되느냐에 따라 인쇄의 역사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목판본과 금속활자본의 판정에는 다양한 정보가 활용되고 있으나 간기(刊記)를 비롯한 인쇄 배경에 관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인쇄된 문서의 글자, 광곽, 먹의 종류, 먹의 제작시대, 한지의 제작시기 정보를 분석하여 고문서의 제작시기와 인출(印出)방법에 관한 판정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자료화되어 있지 않아 연구자의 경험과 감각에 의한 판단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완판본(完板本) 심청전 복각 목판을 이용하여 목판본의 인출 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목판본 인출 시에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과 특징을 자료화하여 고문헌의 인출방법을 판정하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간기가 없는 목판 고소설의 경우 목판의 마모정도에 따라서 인출시기의 전후관계 추정에도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목판인쇄 재현실험을 통한 한지상의 인출특성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al Reproduction Study on Characteristics of Woodblock Printing on Traditional Korean Paper (Hanji))

  • 유우식;김정곤;안은주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90-605
    • /
    • 2021
  • 우리나라의 인쇄기술사의 연구는 현존하는 고문헌, 전적류의 조사와 축적되어온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문화재 연구의 특성상 비파괴 검사가 요구되어 육안 또는 현미경에 의한 관찰과 연구자의 경험과 지식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목판인쇄, 목활자인쇄, 금속활자인쇄 또는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고문헌과 전적류의 경우, 연구자마다 다양한 견해와 결론을 도출하게 되어 혼란이 가중되기도 하고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기도 한다. 그중에서도 목판본과 금속활자본에 대한 판단 기준이 모호하여 우리나라의 인쇄기술 발달사에 대한 학술적 연구의 정체뿐만 아니라 연구자들 간의 갈등이 분출되기도 하고 문화재 분야의 전문기관이 아닌 국가의 수사기관까지 가세하여 상황이 더욱 복잡하게 전개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복각된 훈민정음(訓民正音) 목판을 사용하여 여러 장의 한지에 직접 인출하는 재현성 실험과 인출된 결과물의 이미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객관적인 판단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인출특성은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목판인쇄본과 금속활자본의 구별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는 기준의 타당성과 의문점을 살펴보았다. 목판인쇄의 재현실험을 통한 한지상의 인출특성의 조사와 이미지분석법을 활용한 다양한 특징의 정량화를 시도하고 정량분석에 의한 객관성 있는 새로운 판단 기준확보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베트남 민화연구 서설 (An Introduction to Vietnamese Folk Paintings)

  • 정병모
    • 수완나부미
    • /
    • 제2권2호
    • /
    • pp.1-28
    • /
    • 2010
  • This paper offers a brief introduction to Vietnamese folk paintings. The discussion compares Vietnamese folk paintings with the Korean folk painting tradition. Among the main purposes of this paper is the exploration of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Vietnamese folk paintings. Vietnamese folk paintings, although extensively influenced by their Chinese tradition of minjian nianhua (folk New Year pictures), form an independent tradition, reflecting the local lifestyle and religious practices of Vietnam. However, compared to Korea or Japan, China remains the dominant source of influence for Vietnamese folk paintings. They were either created using a combination of painting and woodblock printing techniques, which was also the case with minjian nianhua, or using multicolor woodblock printing techniques. In cities like Hang Chong, the combination of painting and woodblock printing techniques was used mainly, following the customary practice in Yangliuqing in Tianjin, China, in which colors were added to the drawing printed from the woodblock. Meanwhile, folk paintings produced in rural areas such as Dong Ho are wholly color woodblock prints, similar to minjian nianhua from Yangjiabu in Weifang. In Lang Sinh, simple drawings, intended for casual purposes, were also created using the combination of woodblock printing and painting techniques. Folk paintings produced in cities and rural areas were distinct from each other, not just in techniques, but also in terms of style and theme. Vietnamese folk paintings show a certain degree of thematic similarity with Joseon folk paintings. This i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he two countries' folk paintings developed and evolved in parallel with their Chinese counterparts, minjian nianhua. Also noteworthy is the fact that Vietnamese folk paintings, while they share the simplicity and candidness of Joseon folk paintings, are at the same time somewhat more decorative than the latter. For best results, future research on Vietnamese folk paintings should be conducted together with research on minjian nianhua. Traditional pigments constitute an important area of research in this field. Attention should be also paid to the religious paintings of ethnic minorities in Vietnam, as they are discovered in the future.

  • PDF

조선조 사찰판 각수 연구 (A Study on the Engravers of Temple Woodblock Publications in Choson Dynasty)

  • 김상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0권
    • /
    • pp.331-403
    • /
    • 1991
  • 1. The Purpose of the Research Historical study on the early woodblock printing in Korea has been mostly focussed on woodblock-printed books. Whereas, researches on those who pioneered to develop the advanced culture of the times have been very scant. Meanwhile, extant temple woodblock publications contain well preserved descriptions about Monk-Engravers and Sextons together with respective colophons at the end of the books. These records are very important research materials in the study of woodblock printing history and are also very useful source materials for discernment in conducting historical research about woodblock-printed books. Based on these records, this research has revela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grevers and realities of engraving activities, and by doing this, has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emple woodblock publications, and discussed the historical research about the woodblock-printed-publications by means of the Engravers. 2. Research Methods Temple woodblock publications with colophons in the nation's major libraries have been directly investigated and 3,059 Engravers were identified in 510 different woodblock-printed books, based on which this research and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3. Research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followings have been clarified. A The Engravers' status composition and the motivation of engraving. B. The realities and tendencies of the Engravers' activities. C.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mes found in the Engravers' lists. D. Historical research methods through the names of the Engravers.

  • PDF

완판본(完板本) 홍길동전 판본 간에 나타난 목판인쇄 특징의 차이점 관찰을 통한 간행 연대의 추정 (Publication Dating through Observations of Differences in Woodblock Printing Characteristics among Various Versions of Wanpanbon Editions of Honggildongjeon (Tale of Hong Gil Dong))

  • 유춘동;유우식
    • 보존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96-108
    • /
    • 2022
  • 우리나라 한글 고소설의 발생과 보급과정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여러 인쇄물의 간행에 관한 정보의 수집과 다양한 방법을 통한 간행 연대의 추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 고소설 방각본(坊刻本) 중에서 전주지역에서 간행된 완판본(完板本) 홍길동전 36장본을 중심으로 판본 간의 이미지 비교를 통하여 목판인쇄과정에서 나타난 특징과 차이점을 조사하고 각각의 판본의 간행 연대를 추정하였다. 최근에 새롭게 발견된 원간계열의 판본 이미지와의 비교를 통하여 각각의 판본에서 어떠한 보각이 이루어졌고, 보각과정에서 어떠한 변화가 발생했는지에 관해서도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여러 판본의 조사를 통하여 목판인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과 목판인쇄 시기의 선후관계에 따른 인출특성의 변화와 보각이 이루어지는 원인과 과정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목판인쇄의 다양한 특징들이 고서와 전적류의 인쇄방법과 간행시기의 선후관계를 추정하는 데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 완영(完營)책판의 현황과 문화재적 가치 제고(提高) (Improving the Current Status and Cultural Value of Donguibogam Wanyoung Woodblocks)

  • 김화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2호
    • /
    • pp.50-64
    • /
    • 2022
  • 본 논문은 2005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전주향교 소장 완영책판 중 <동의보감> 책판의 현황과 그것의 문화재적 가치를 제고(提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주향교 소장 완영책판은 전라감영에서 서적을 인출할 때 사용하였던 것이었고, 현재 10여 종의 책판이 전하고 있다. 1987년 전주향교의 장판각에 목재 서가를 설치하여 보존하였고 현재는 전북대학교박물관 수장고에 보존 관리되고 있다. 그 중 <동의보감> 책판은 1814년에 전라감영에서 인출한 『동의보감』 판본의 판목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동의보감』의 가치는 이미 오래전부터 국내외에서 인정을 받았다. 1610년 편찬된 『동의보감』은 1613년 개주 갑인자 목활자로 처음 간행되었고, 간행된 이후 조선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간행될 정도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고, 2009년에는 『동의보감』 초간본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이처럼 『동의보감』의 판본은 인정을 받아 온 반면 판본을 찍었던 책판에 대해서는 그 의미와 가치에 대해 조명한 사례가 극히 드물다. 이에 본 논문은 <동의보감> 완영책판의 현황을 분석해보고 그것이 가진 의미와 가치를 제고시키고자 한다. 『동의보감』초간본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과정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동의보감』은 공공의료와 예방의학의 이상을 선포한 조선의 혁신적 지시에 따라 편찬되고 보급된 의학서이다. 그 과정에서 책판은 바로 전국적인 보급을 위한 조선의 의지를 실현시킬 수 있었던 중요한 도구였다고 볼 수 있다. <동의보감> 책판은 목판 쇄의 목적을 넘어 위정자의 애민정신이 깃든 것이며, 백성을 위한 의학 지식의 보급에 더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동의보감』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들을 점검해보면서 전북대학교박물관 수장고에 보관 중인 완영책판 <동의보감>의 현황과 함께 그것의 의미와 가치를 제고해 보고자한다. 완영책판 『동의보감』은 감영에서 제작한 것으로는 거의 유일하게 전하는 목판이라는 점과 책판은 목활자본과는 달리 완정한 판본을 오래 보존하고 널리 유포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는 점에서 완영책판의 의미를 찾고자 한다.

청대 전기의 활자인쇄 (The Type Printing of First Ch'ing Dynasty Term)

  • 조형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9권
    • /
    • pp.345-382
    • /
    • 1995
  • The type printing of first Ch'ing dynasty term in China is worthy to be studied because the type printing during that period included metal type, wood type, and clay type as well as the development phase was similar to Chosun dynasty culturally and technologically. This paper studied typography during the first Ch'ing dynasty term, including Shunzhi(1662-1722), Yongaheng(1723-1735), Qianlong(1736-1795), Jiaqing(1796­1820) perio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1. The main body of type printing was bookstore, lecture-hall, and individual as well as the royal court that is the central government. 2. The content of type edition covers classics, history, philosophy, and literary works. Specifically, even though Wuyingdienjuzhenban series is excluded, the content includs study of the classics, class of the history, class of the philosophy, literature works that include collection works and novel and government official bulletin. 3. The printing technique of bronze type was very popular In Beijing. Jiangsu, and Taiwan. It's scale and production technique was more elaborate than in Ming dynasty. 4. Wood type was very popular in Beijing, Jiangsu, Zhejiang, Anhui, Sichuan, and Fujian. In addition to wood type, chinese ware type was applied to book printing in Shandong. However, most of them were wood type and they were used after Qianlong period. 5. The production technique of type was skilled enough to present the fine view of a style of type. The typesetting technique was improved as much as woodblock printing. With regard to the making technology of Chinese ink, the light and darkness of chinese ink was not even sometimes. But, the technology was improved significantly when comparing with the failure experience of printing that chinese ink was not developed in early type invention. 6. In case that the book was printed in bookstore with the intention of profit and the number of book was large, the proofreading attitude was rough. However, overally, it was made correction carefully applying the various methods of proofreading. 7. The support of government made a great contribution in the area of all printing technology, including production, typesetting, and brushing of type.

  • PDF

관상감활자고 (A Study on Kwansanggam Type)

  • 김상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4권
    • /
    • pp.131-148
    • /
    • 1987
  • The Yi-Dynasty published the calendars printed by means of woodblock and typeprinting for the purpose of informing its people of four seasonal changes and appropriate time for farming. The printing types were used to publish the calendars in those days varied depending upon the kinds of the calendars, but all those types are known as only one name: Kwansanggam Type. This is because there have been little studies on the different kinds of printing types. As a resul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libraries make erroneous notes in their catalogues. This study points up the fact that four different kinds of Kwansanggam Type were used depending upon the nature of the calendars. For classification purpose, I call these types Daetongryokja, Naeyongsamsoja, Myongsiryokja, and Chiljongryokja. What has not been revealed in this study can be further explained as the more calendars of those days are found out.

  • PDF

일본에 유전된 한국판 석가유전적 (The Buddhist Scripts of Korea Flowed into Japan)

  • 심우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71-81
    • /
    • 1995
  • There are no exact copies or carvings of India's original Buddhist Scripts published in Korea that had been flowed into Japan except those of WanSanJungUiMongSanPuPo(환산정의몽산법어). YaWoonJaKyung (야운자경). KyeChoShimHakInMoon(계초심학인문) PalSimSooHangChang(발심수행장) and MongsanWhaSangPupoRackLock published by a mid-Chosun Dynasty Buddhist monk, YaWoon TaesunSa. Others are the translations by Chinese people. All printings were of woodblock except ChonjimyungYangsoo- RhockChapMoon(천지명양수육잡문) of Inkyng wood printing type. This shows perhaps that the Buddhists were so devout that they spared no effort in their prayers to head for the Paradise. Even the woodblock carver himself took his hard work for granted in his belief and engraved the blocks with all his heart taking his work as God-given task. Or. perhaps they to use wood-block printing as the demand for the Scripts soared. By the way. as the Koryo Dynasty took Buddhism as the state religion, it was natural that the Buddhist Scripts were published at TaeJangToKam (the publishing office) and were much encouraged. It is noteworthy. however, that not a few Buddhist Scripts had been published during the Chosun Dynasty despite its crack-down on Buddhism as the Confucianism was declared as the state principle. The Scripts were even published by such temples as MoonJooSa(문수사), MyoHeeAm(묘희암). SsangbongSa(쌍봉사). PyoHoonSa(표훈사), YooJupSa(유점사), YongJangSa(용장사). and AnShimSa(안심사). The fact that the Scripts were even published by KanKyungToKam(간경부감) leads us to reconsider the traditional way of thinking of the Chosun Dynasty as anti-Buddhist or flunkeyist. The historical fact that a record number of Buddhist publications had been transmitted to Japan - is it accidental? - This issue could well be another subject matter for further research.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very few of above­mentioned Buddhist Scripts are found in present-day Korea.

  • PDF

조선시대 목판재료 자작목(自作木)의 실체와 명칭 변화 (The True Identity and Name Change of Jajak-mok, the Wood Species for Woodblock Printing in the Joseon Dynasty)

  • 이운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2호
    • /
    • pp.206-220
    • /
    • 2023
  • 조선시대 왕실 출판 과정에서 책판의 주요 수종으로 사용된 나무는 '자작목(自作木)'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명칭을 보면 껍질이 하얀 자작나무가 연상되지만, 문헌에 기록된 산지(産地)와 쓰임을 살펴보면 조선시대의 '자작목'은 우리가 알고 있는 자작나무와는 다른 나무로 추정된다. 본고는 조선시대 왕실 출판에 사용된 '자작목'이 실은 거제수나무이고,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껍질이 하얀 자작나무는 우리말 봇나무 즉 '화목(樺木)'이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더불어 조선시대 거제수나무를 지칭하던 '자작목'이 어떠한 연유로 껍질이 하얀 자작나무를 지칭하게 되었는지 살펴본다. 당시 일본에서는 '화(樺)'라는 글자를 산벚나무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는데, 18세기 중반에 일본의 백과전서류가 조선으로 들어오면서 지금의 자작나무를 의미하는 '화목'과 혼용되게 되었다. 더욱이 '화목'의 우리말인 '봇나무'와 산벚나무의 우리말인 '벗나무'는 발음마저 비슷하여, 이후 두 나무는 '벗나무'로 표기가 통일되었다. 그러던 것이 20세기에 들어 세 나무의 공식적인 명칭이 정리되었다. 1910년 대한제국농상공부고시와 1912년 조선총독부고시에 의하여 '화목'은 '자작나무'가 되었고, 이후 산벚나무를 뜻하는 '벗나무'는 '벚나무'가 되었다. 그리고 본래의 '자작목'에는 '거제수'라는 이름만이 남게 되었다. 오늘날 한자 사전에서는 '화(樺)'의 뜻을 '1. 벚나무 2. 자작나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여기서도 세 나무의 명칭이 혼용되었던 역사적 배경을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