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26 secondary oxidation matter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분광기를 이용한 가열산화 유지의 품질측정 (Quality Evaluation of Thermal Oxidized Fats and Oils by Spectrophotometer)

  • 장영상;이영수;조경련;이철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5-658
    • /
    • 1994
  • 가열 산화된 유지들의 품질평가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분광기를 이용한 산화생성물외 측정과 여러가지 이화학적 향수들을 분석하였다. 산값은 가열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가열산화의 경우 대두유가 팜유 및 팜을레인유 보다 상승이 뚜렷하였다. 아니시딘값 및 공액중지방산값은 가열시간의 경과에 따라 중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팜유 및 팜을레인유보다 대두유에서 크게 상승하는 경향이었다. AOM 안정성의 변화는 팜유, 팜을레인유, 대두유외 순으로 좋게 나타났다. 또한, 가열산화유지의 산과정도를 POM과 SOM으로 측정할 수있었고, 일차 및 이차산화생성물은 가열산화시간에 따라 전반적으로 빠르게 중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간단한 분광기를 이용하여 가열유지중의 POM과 SOM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었고, 산업적으로 가열유지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법의 하나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본다.

  • PDF

광주지역 PM2.5 입자 수용성 성분의 화학적 특성조사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Soluble Components in Fine Particulate Matter at a Gwangju area)

  • 박승식;조성용;김승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1호
    • /
    • pp.20-26
    • /
    • 2010
  • 수용성 유기 및 무기성분은 대기 에어로졸 입자의 중요한 구성성분들이며 간접적으로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구름응결핵으로 작용한다. 유기 및 원소탄소(organic and elemental carbon, OC 및 EC) 및 수용성 유기탄소(water soluble OC, WSOC) 및 이온성분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광주지역에서 24시간 기준의 미세입자($PM_{2.5}$)를 측정하였다. 측정기간 중 $PM_{2.5}$ 수용성 분율의 주요성분인 WSOC, $NO_3^-$, $SO_4^{2-}$$NH_4^+$의 평균농도는 각각 2.11, 5.73, 3.51 및 $3.31{\mu}g/m^3$ 이었으며, $PM_{2.5}$ 농도의 12.0(2.9~23.9%), 21.0(12.9~37.6%), 11.6(2.5~25.9%), 및 11.7%(3.8~18.6%)를 차지하였다. 총 수용성 성분(유기+무기) 중 WSOC 화합물이 차지하는 분율은 평균 17.6%(5.4~35.9%)이었다. EC 추적자 기법을 이용해 평가한 2차 OC 및 WSOC 농도는 각각 평균적으로 0.78 및 $0.34{\mu}g/m^3$이었으며, 전체 OC 및 WSOC 중의 평균 17.9%(범위: 0~44.4%) 및 평균 11.2%(범위: 0~51.4%)를 차지하였다. 광주지역 겨울철에 측정한 $SO_4^{2-}$ 입자는 국지적인 기상산화반응보다는 장거리 이동 또는 수용액 변환과정에 의한 영향, 구름 내 변환과정 등이 황산염 입자 생성에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