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alence of headach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초

두통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Headache)

  • Hyun-Koo Kim;Bo-Young Um;Sung-Chang Ch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8권2호
    • /
    • pp.55-69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on on preval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eadache among 10-39 years men and women. Information could be obtained with the questionnaire, and 1952 respon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ll participants were asked if they had experienced headache. Those responding positively were further questioned regarding the frequency, severity, character, location and duration of headache and were questioned regarding the experience of medical cunsultation and taking analgesic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life time prevalence of headache was 49.6% among men, 70.8% among women and 61.5% in all. 2. The prevalence of episodic tension type headache, chronic tension type headache, migraine, mixed type headache in this population was 27.1%, 5.0%, 2.8%, 23.1% respectively. 3. Headache duration was classified as less than 1 hour, 1-6 hours, 6012 hours, more than 12 hours for 1 day. The percentage of each other case is 41.8%, 46.2%, 7.4% and 4.4% of headache suffers respectively. 4. As regards the severity of headache, 4.2% of headache suffers had a very mild pain intensity, 17.9% a mild pain, 57.7% a moderate pain, 18.1% a severe pain and 2.2% a quite severe pain. 5. Headache occured at morning in 8.2% of headache suffers, at afternoon in 9.4%, at evening in 18.1%, at night in 4.3% and at anytime in 59.9%. 6. 11.7% of headache suffers among men consulted doctor, 13.9% among women and 13.1% in all. 7. 66.2% of headache suffers didnt have any analgesics because of their pain, 33.8% of headache suffers had analgesics because of their pain.

  • PDF

The Characteristics of Sleep in Headache Patients

  • Yoon, Seung Hyun;Choi, Young-Chan;Kwon, Jeong-Seung;Ahn, Hyung Joo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0권2호
    • /
    • pp.63-71
    • /
    • 2015
  •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ache and sleep by evaluating sleep quality, daytime sleepiness, and specific features related to sleep-disordered breathing (SDB). Methods: One hundred one subjects with headache and 118 healthy controls were enrolled. To collect various information on headache attacks, headache group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headache attacks and the migraine disability assessment (MIDAS) questionnaire. The subjective quality of sleep was evaluated in all of the subjects using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In addition, the following specific features of sleep were evaluated in 28 subjects selected randomly from each group: apnea-hypopnea index (AHI), prevalence of SDB, nocturnal oxygen saturation (SaO2), and oxygen desaturation index (ODI) as measured using a portable monitoring device. Results: The global PSQI and the prevalence of poor sleeping (global PSQI >5), ESS scores and the prevalence of daytime sleepiness (ESS score >1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eadache group (both p<0.0001, respectively). The mean scores on the numerical rating scale and the MIDA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oor-sleeper group than in the good-sleeper group (p=0.0347 and p=0.0016, respectively). The global PQSI and prevalence of daytime sleepi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hronic-headache group than in the acute-headache group (p=0.0003 and p=0.0312, respectively). Conclusions: There i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headache and sleep. Especially, severity and chronicity of headach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leep quality and daytime sleepiness.

사상체질에 따른 두통 특성 조사 (The Research of Headac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 배광호;박기현;이시우;안일구;김상혁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5-34
    • /
    • 2023
  •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headache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among 5,764 participants residing in Ansung or Ansan in Korea. Methods The Korea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tic Questionnaire was used to classify the constitution,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headache data. The presence of headache, locations and pattern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djusted fo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alcohol consumption, and smoking. Results Results showed that 25.6% of participants had headaches, with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in Soeumin (30.8%) compared to Soyangin (24.9%) and Taeeumin (24.3%). Soeumin had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s for headaches than Taeeumin in both crude (1.387) and adjusted (1.319) models. Headache sites showed high frequency in the order of occipital (8.1%), temporal (8.0%), forehead (5.4%), and global regions (5.4%), and Soeumi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odds ratios of forehead (crude: 1.616, adjusted: 1.543) and occipital pain (crude: 1.366 adjusted: 1.379) compared to Taeeumi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dache patterns were observed among the group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Soeumin has a higher prevalence of headaches, particularly in forehead and occipital regions, compared to other Sasang constitutions.

소아청소년 두통 환자에서 비만 유병률 (Obesity Prevalence in Pediatric Headaches)

  • 한아름;신찬옥;조경순;빈중현;정민호;서병규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3-268
    • /
    • 2018
  • 목적: 두통과 비만은 모두 소아청소년에서 유병률이 높은 만성 질환이다. 최근 성인뿐만 아니라 소아청소년에서도 두통과 비만의 관련성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두통 환자에서 비만 유병률을 제시하고 두통 환자의 연령과 성별 및 두통의 형태, 빈도, 강도, 장애 정도에 따른 비만 유병률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8년 3월까지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두통 클리닉을 방문한 6세 이상, 18세 이하의 일차두통환자 340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처음 두통클리닉 내원 시 측정한 키와 체중으로 체질량지수를 계산하여 2017년 대한민국 소아청소년 표준성장도표를 이용하여 체질량지수 백분위수를 구하여 비만도를 평가하였으며, 나이, 성별, 키와 체중, 두통의 형태, 빈도, 강도 및 장애 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중 17.6%가 비만이었고 여아에 비하여 남아의 비만 유병률이 높았고 소아 연령과 청소년 연령의 비만 유병률은 차이가 없었다. 두통의 형태, 빈도, 강도, 장애 정도에 따른 비만 유병률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소아청소년 두통 환자의 비만 유병률은 17.6%로 일반 인구(KNHANES, 2013)의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 10%와 비교하여 높았다. 남아의 비만 유병률이 높은 것은 일반 인구와 같았으나 소아 연령의 비만 유병률이 청소년 연령의 비만 유병률이 유사한 것은 일반 인구와는 다른 결과였다. 소아청소년에서 두통과 비만의 관련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을 투여한 긴장형 두통 여성 환자 치험례 1례 (A Case Report of Gaegyeolseogyeong-tang Treatment of a Female Patient with a Tension Type Headache)

  • 이유라;오주현;공건식;송진영;박진훈;김소원;강만호;이형철;엄국현;송우섭;임수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705-716
    • /
    • 2020
  • Objective: Tension Type Headache is the most common primary headache, and the prevalence is highest among people in their thirties. The 2009 domestic headache epidemiological survey indicated a prevalence rate of 30.8% per year. The patients often complain of feeling "as if they are tightening their head or wearing a band." No other symptoms, such as nausea and vomiting, accompany the headache, and the physical and neurological findings are normal. Korean medicine treatment of tension type headache is mainly with acupuncture, not herbal medicine. In the present study, a patient with tension type headache was admitted to the Korean medicine hospital for treatment. We report on the patient's progress and the effects of the herbal treatment. Method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Gaegyeolseogyeong-tang, acupuncture, herbal acupuncture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We used the Korean Headache Impact Test-6 and Numeric Rating Scale to assess changes in tension type headache symptoms. Results: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Qi-stagnation syndrome (氣滯證) and Ganyangsanghang-headache (肝陽上亢頭痛). The patient was hospitalized for 42 days and showed recovery from the tension type headache without any adverse events. Conclusion: Patients with tension type headache could be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The evolving classifications and epidemiological challenges surrounding chronic migraine and medication overuse headache: a review

  • Schembri, Emanuel;Barrow, Michelle;McKenzie, Christopher;Dawson, Andrew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5권1호
    • /
    • pp.4-13
    • /
    • 2022
  • Changes in diagnostic criteria, for example, the variou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criteria, would lead to changes in the outcomes of epidemiological studie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1 was based mainly on expert opinion, yet most of the diagnostic criteria were reliable and valid, but it did not include chronic migraine. In its second version, the classification introduced chronic migraine, but this diagnosis resembled more a high-frequency migraine rather than the actual migraine transformation process. It also introduced medication overuse headache, but it necessitated analgesic withdrawal and subsequent headache improvement to be diagnosed as such. Hence patients having medication overuse headache could only be diagnosed in retrospect, which was an awkward situation. Such restrictive criteria for chronic migraine and medication overuse headache omitted a high proportion of patient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3 allows a diagnosis of medication overuse headache due to combination analgesics if taken for at least 10 days per month for more than three months. Hence the prevalence rate of medication overuse headache and chronic migraine can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version of the headache classification. Different criteria have been used across studies to identify chronic migraine and medication overuse headache, and therefore the information acquired from previous studies using earlier criteria becomes uncertain. Hence much epidemiological research would need to be interpreted cautiously or repeated with the most updated criteria, since the subjects in studies that apply the latest criteria may be phenotypically different from those in older studies.

척추마취 후 두통완화를 위한 침상안정 효과에 대한 융복합적 문헌고찰 (Review for Effectiveness of Bedrest on Post-Dural Puncture Headache)

  • 송영신;김지혜;김경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229-236
    • /
    • 2017
  • 척추마취 후 두통완화를 위한 침상안정에 대한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이들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설계, 대상자 및 주요 중재방법과 그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추출을 위해 1980년부터 2016년까지 총 4234의 문헌중 15편의 연구논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5239명의 척추마취를 시행한 대상자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실험연구가 10편, 비실험연구 5편이 포함되었다. 실험연구 대부분 24시간 침상안정군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다양한 시간의 침상안정에 따른 두통 발현율을 비교하였는데 2편의 논문을 제외한 연구에서 조기이상군의 두통발현율이 낮았다. 개별연구의 연구 질 평가결과를 감안하여 척추마취 후 두통을 완화시키기 위한 적절한 침상안정시간을 산정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시도와 기존연구를 이용한 메타분석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icacy of oral habit modification on headache

  • Agha-Hosseini, Farzaneh;Sheykhbahaei, Nafiseh;Mirzaii-Dizgah, Iraj;Fatehi, Farzad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3권6호
    • /
    • pp.401-406
    • /
    • 2017
  • Objectives: Headache is the most common complaint of patients suffering from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TMDs). Thus, temporomandibular joint (TMJ) examinations maybe necessary in patients with headache. Considering the high prevalence of bruxism and TMDs in patients with headache the effects of conservative TMD treatment on headache should be assessed.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ere questioned about headaches in the past three months. Those responding affirmatively to this question were examined for TMD and bruxism. After the examinations, 219 patients remained in the study and received self-management instructions. Patients were requested to modify oral habits except when eating or sleeping. The degree of pain (visual analogue scale), headache disability index (HDI), frequency of headaches (FH) per month and TMD intensity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dian levels of pain, HDI, FH, and TMD intensity were 8, 44, 8, and 7, respectively, before modifying oral habits and decreased to 4, 24, 2, and 3, respectively, after intervention. These decrea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Having patients maintain free space between the teeth and relax muscles can be an efficient method to treat headache and TMD, especially when repeated frequently.

구강안면통증 환자에서의 두통 양상의 분류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eadache in Orofacial Pain Patients)

  • 강진규;유지원;김성택;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4호
    • /
    • pp.355-364
    • /
    • 2006
  • 두통은 매우 흔한 질환 중 하나로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크다. 측두하악장애는 측두하악관절과 주위 근육의 통증과 기능장애를 통칭하는 용어로 전 인구의 70%에서 하나 이상의 관련된 증상을 호소할만큼 흔한 질환이다. 두통과 측두하악장애의 연관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몇몇 저자들은 일부 두통이 측두하악장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구강내과, 턱관절 및 안면통증 클리닉에 내원한 구강안면통증 환자의 두통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전체 530명의 환자 중 긴장형 두통이 292명(48.5%)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무전조성 편두통이 90명(15.0%), 개연적 편두통이 64명(10.6%), 유전조성 편두통이 43명(7.1%), 개연적 긴장형 두통이 29명(4.8%), 기타 일차성 두통이 11명(1.8%)으로 나타나 긴장형 두통 군의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구강안면통증 환자들이 대부분 근막동통 등 두개안면 근육의 통증을 동반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성별에 따른 분류에서 편두통은 남성(25.3%)보다 여성(35.8%)에서 높은 발생율을 나타냈다. 연령에 따른 분류에서는 20대와 30대에서 편두통 군의 비율이 각각 42.2%, 40.0%로 높게 나타났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다가 50대에서 다시 증가추세를 나타내는 양상을 보여 기존의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전에 두통 때문에 진료를 받았던 경험이 있는 환자는 139명으로 26.2%에 불과했으며, 자신의 진단명을 알고 있는 경우는 46명으로 전체 환자의 8.7%밖에 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환자들이 두통으로 인해 병원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경우는 드문 실정이지만, 구강안면통증과 두통은 동반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구강안면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두통이 동반된 경우 이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측두하악장애는 두통의 유발 및 악화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두통 환자의 진단 및 치료시 측두하악장애의 증상에 대한 평가 및 적절한 관리가 중요하리라 사료되며, 향후 측두하악장애의 원인요소가 두통에 미치는 영향과 측두하악장애의 치료에 따른 두통의 변화 양상을 연구하는 등 보다 체계적이고 다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다.

소아청소년 간질 환자에서 동반된 두통의 역학과 임상적 특징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eadache comorbidity with epileps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노영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7호
    • /
    • pp.672-677
    • /
    • 2007
  • 목 적 : 두통과 간질은 소아기에 흔한 질환이다. 두통 환자에서 간질의 발생이 높고, 간질 환자에서 두통 발생이 높다. 소아 간질 환자에서 동반된 두통과 간질 발작과 동반되는 두통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실제 임상에서 간질 환자와 의사들은 간질의 치료에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간질에 동반된 두통의 평가와 치료를 적절히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소아청소년 간질 환자에 동반된 두통과 편두통의 빈도, 임상적인 특징과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조선대학교병원 소아과 간질 클리닉의 초진과 재진 간질 환자 229명(남녀 비 1.1:1.0)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 하였다. 평균 나이는 $10.0{\pm}4.1$세(나이 범위 4-17세)이었다. 간질 환자 중 두통 환자는 86명(남녀 비 1.05:1.0)이었고, 평균 나이는 $10.7{\pm}3.6$세이었다. 두통 환자 중 편두통 환자는 64명(남녀 비 1.0:1.0)이었고, 평균 나이는 $10.6{\pm}3.7$세이었다. 대상 환자 모두에게 질문지를 배포하여 환자와 보호자가 상의하여 답하게 하였고, 질문지를 통하여 간질에 동반된 두통과 간질 발작시 두통에 대하여 자세히 조사하였으며, 두통의 심한 정도의 평가는 VAS (visual analogue scale; 0-10; 0, 통증 없음, 10, 가장 심한 통증)를 사용하였다. 두통에 의한 장애는 PedMIDA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두통의 분류는 2004년에 개정된 국제 두통 질환분류를 이용하였다. 간질의 분류는 1981년 항간질연맹(ILAE)에서 발표한 분류법을 사용하였다. 결 과 : 소아 간질 환자에서 동반된 두통은 229명 중 86명(37.6%)이었고, 편두통은 64명(27.9%)이었다. 두통의 유형은 편두통이 74.4%로 가장 흔하였으며, 전조 편두통이 48.8%로 가장 높았다. 두통 환자의 한 달 평균 빈도는 $7.2{\pm}8.4$이었고, 평균 지속 시간 $2.2{\pm}4.0$, 평균 심한 정도(VAS) $5.2{\pm}2.2$이었으며, 두통에 의한 장애는 평균 PedMIDAS $13.0{\pm}35.4$이었다. 간질에 동반된 두통은 부분발작의 69.8%(복잡 부분 발작 51.2%, 단순 부분 발작 18.6%)이었고, 전신발작의 30.2%로 두통의 동반은 부분 발작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으며(P=0.025), 특히 복합 부분 발작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P=0.007). 간질에 동반된 편두통은 부분 발작, 특히 복잡 부분 발작에서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다. 편두통과 동반된 발작 후 두통은 18.8%이었으며, 발작 전 두통은 17.2%, 발작 중 두통 7.8 %이었다. 간질과 동반된 두통의 치료는 처방전을 받아서 치료하고 있는 경우는 8.1%로 매우 적었으며, 처방전 없이 진통제를 복용하는 경우 59.3%,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경우도 22.1%이었다. 간질과 동반된 두통 환자 중 간질 진단 후에 두통이 발생하는 경우는 66.3%이었고, 초진 환자인 경우보다 재진인 경우에 두통 발생이 더 높았고, 초진인 경우 여자에서 더 높았다. 두통 발생 후에 간질 발작이 있는 경우는 33.7%이었고, 초진 환자인 경우에 재진인 경우보다 두통 발생이 더 높았고, 초진인 경우 남자에서 두통 발생 후 간질 발작이 많았다. 결 론 : 간질에 동반된 두통의 유병률은 일반 소아에서의 두통의 유병률보다 높고, 이 중에서 편두통이 가장 많았다. 이것은 피질의 과흥분이 피질의 확산 억제를 증가시킨다는 점으로 설명되어진다. 간질 환자에 동반된 두통은 간질의 예후에 나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임상의들은 간질을 진단하고 치료할 때 두통을 염두에 두고 간질 발작 동안이나 간질 간기의 두통에 대한 질문과 적절한 치료를 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항경련제 반응으로 각각의 약물에 따른 두통의 빈도, 심한 정도와 지속 시간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