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teas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Hepa1c1c7 세포에서 카드뮴에 의한 세포사멸 신호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Apoptotic Signaling Pathway by Cadmium in Hepalclc7 cells)

  • 오경재;염정호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215-223
    • /
    • 2001
  • 카드뮴의 주요한 표적장기이며 카드뮴이 만성 및 급성 폭로시 축적되는 가장 중요한 장기인 간의 세포독성을 Hepalclc7세포에서 caspases및 Bax단백질의 활성과 발현 그리고 미토콘드리아 세포막 전위 변화(MPT)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카드뮴은 농도의존적으로 간세포인 Hepalclc7 세포의 생존율을 감소시켰다. 2. 카드뮴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100 M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사멸의 특징중의 하나인 DNA분절현상을 확인하였다. 3. 카드뮴 처리 후 caspase-3, caspase-8, caspase-9 의 활성변화를 조사한 결과 caspase-3,-9 pretease 활성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4. 카드뮴 처리 후 cytochrome c가 세포질내로 방출되었고 이는 caspase-9 proteas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5. 카드뮴 처리 후 Bax가 세포질에서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여 cytochrome c의 세포질내로의 방출에 관여하였다. 6. 카드뮴 처리시 미토콘드리아 세포막 전위차의 감소를 JC-1 형광염색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카드뮴에 의한 Hepalclc7 세포사멸의 신호전달기전은 세포질내에 있는 Bax가 미토콘드리아로 이동, cytochrome c의 세포질내로의 방출, 그리고 caspase-3, 9 pretease 활성화를 의해서 매개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Bax 단백질의 발현변화가 미토콘드리아의 기능변화에 기여하였으리라 사료된다.

  • PDF

Penicillium속(屬)이 생산(生産)하는 alkaline pretease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pretense produced by Penicillium species)

  • 김경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7-33
    • /
    • 1977
  • The alkaline protease was isolated from the culture of Penicillium species (P-46) grown in the wheat bran media. The crude purification of this enzyme was carried out by extraction with distilled water and precipitated with 0.7-saturated ammonium sulfate, then dialysis for 3days. The activity of this enzyme was determined by Folin's colorimetric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of this enzyme were pH 8.4 and $45^{\circ}C$. 2. This enzyme was stable at pH $7.0{\sim}9.0$. 3. This enzyme was not inactivated by treatment in lower temperature than $30^{\circ}C$. 4. The activity of this enzyme was strongly inhibited by $Hg^{++}$ and $Cu^{++}$, but slightly by $Ag^+$ 5. This enzyme was not inhibited by cystein, thiourea, ${\varepsilon}-aminocaproic$ acid, 2, 4-DNP, EDTA but strongly inhibited by PCMB.

  • PDF

새우젓에서 alkaline prete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kaline Protease from saewoo-jeot, salted and fermented shrimp (Acetes japonicus))

  • 남은정;오세욱;조진호;김영명;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2-89
    • /
    • 1998
  • 새우젓에서 protease를 추출, 정제하여 이의 효소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새우젓 protease를 추출, 전기투석으로 탈염, ammonium sulfate로 단백질을 분획 시킨 후 Sephadex G-100 column chromatography와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정제하였으며 정제 효소는 전기영동상 단일 band로 나타났으며 분자량은 24 kDa, 수율은 14%, 비활성역가는 8.4 unit/mg, 정제배수는 9.8이었다. 정제효소의 최적 pH는 8.0이었고 $pH\;7.0{\sim}10.0$의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의 최적 온도는 $40^{\circ}C$이었고 $30{\sim}60^{\circ}C$의 온도 범위에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기질에 대한 특이성으로 합성기질인 BAPNA, TAME에는 활성을 보였으며 hammersten casein을 기질로 사용하였을때의 Km값은 $5.1{\times}10^{-7}\;M$이었다. 금속 이온의 영향으로는 $M^{++}$만이 활성이 증가되었고 다른 금속 이온들에 의해서는 저해되었다. 저해제의 효과에서는 STI차 TLCK에 의해 현저하게 저해되었다. 이상의 성질에서 새우젓에서 분리된 protease는 serine계의 trypsin-like enzyme으로 추정되었다.

  • PDF

Neutral Pretense를 생산하는 Bacillus sp. DS-1 균주의 분리와 효소 생산성 (Isolation and Enzyme Production of a Neutral Protease-Producing Strain, Bacillus sp. DS-1.)

  • 전대식;강대경;김하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6-351
    • /
    • 2002
  • 토양으로부터 pretease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형태학적, 생화학적 동정과정 및 16 rRNA염기서열 분석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Bacillus sp. DS-1으로 동정하였다. Bacillus sp. DS-1은 초기 배지의 pH가 7.0인 조건에서 정지기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Bacillus sp. DS-1으로부터 protease를 생산하기 위해 탄소원으로는 1% glucose, 질소원으로는 1% yeast extract를 첨가할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20%와 30%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Bacillus sp. DS-1이 생산하는 protease의 최적활성은 55$^{\circ}C$와 pH 7.0이었다. 1 mM의 EDTA첨가에 의해 protease활성이 84%실활 되었고 이 결과로부터 Bacillus sp. DS-1의 상등액에 존재하는 주된 protease 활성은 metalloprotease임을 알 수 있었다.

참치 가공부산물로 부터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조미료 제재의 개발 1. 참치 가공부산물로 부터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제조 (Development of Functional Seasoning Agents from Skipjack Preparation By-product with Commercial Pretenses 1. Processing of Hydrolysate from Skipjack Processing By-product with Pretense Treatment)

  • 김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08-616
    • /
    • 1996
  • 참치 가공 부산물로 부터 유용한 식량소재를 찾기위한 목적으로 상업용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최적화한 조건에서 참치 가수 분해물을 제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8종의 상업용 단백질 분해효소에서 가격에 대한 효소활성도와 관능검사 결과치로부터 Pretease P가 최적 효소로 선정되었으며, 참치 가공 부산물 가수분해 과정중 원료 자체의 가수분해효과는 없었다. 반응표면분석 결과 결정계수(0.9460) 및 적합결여검증(P>0.1)을 통해, 본 실험의 디자인이 만족하게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일차식 및 이차식에서는 p<0.05%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다중회귀분석 및 능선분석 결과, 가수분해물 제조를 위한 최적 조건은 pH 7.2, 반응온도 $51^{\circ}C,$ 기질농도 33.3%, 기질에 대한 효소농도 0.48%에서 3.94시간 가수분해시 킬 때이며, 이때의 가수분해율은 64.88%였다.

  • PDF

알칼리성 Pretease를 생산하는 Bacillus subtilis JK-1의 분리 동정 및 효소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lkaline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JK-1)

  • 김지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31-336
    • /
    • 2007
  • 청국장으로부터 알칼리성 pretense 생성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한 후 형태적, 생리.생화학적 특성 및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한 계통분석을 이용하여 동정을 실시한 결과 Bacillus subtilis JK-1으로 판명되었다. B. subtilis JK-1이 생산하는 pretense의 최적 활성 pH와 온도는 각각 9.0과 $55^{\circ}C$이었으며, $40{\sim}80^{\circ}C$의 sh도에서 안정하였다. 본 균주는 배지 중에 탄소원과 질소원, 무기염으로 1.0% (w/v) xylose와 1.0% (w/v) yeast extract, 0.3% (w/v) $CuSO_4$를 사통하였을 경우 최대의 알칼리성 protease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JK-1의 생육은 배양 후 12시간만에 최대 성장을 나타냈으며, 효소 활성은 8시간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16{\sim}20$시간에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백강균(Beauveria bassiana)의 균사체 최적 배양조건 및 효소활성 (Optimal Condition for Mycelial Growth of Beauveria bassiana and Its Extracellular Enzyme Activity)

  • 민응기;한영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0-53
    • /
    • 2002
  • 백강균(Beauveria bassiana DGUM 34001)은 $24^{\circ}C$의 온도와pH 7.0의 초기 pH에서 최적의 균사체 생육을나타내었다. 사용한 복합배지 중 mushroom complex배지(MCM)에서 가장 우수한 균사생육을 나타내었다. Czapek-Dox 한천배지를 최소배지로 각각 탄소원, 질소원 및 인산원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glucose, soytone 및 sodium phosphate ($NaH_2$$PO_4$)에서 가장 우수한 균사 생육을 보여주었다. MCM액체배지에서 균사 배양 후 세포외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alpha$-amylase, lipase, chitinase, CMCase및 pretense의 비효소활성은 각각 297.0, 0.058, 0.33, 0.21 및 22.8 units/mg protein이었다. Casein과 soluble chitosan을 첨가할 경우 세포외 분비 pretense와 chitinase의 효소 활성 이 증가되었다.

재조합 소성장호르몬의 구조적 특성 (The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 김정호;김훈주박은숙김준
    • KSBB Journal
    • /
    • 제9권2호
    • /
    • pp.165-173
    • /
    • 1994
  • 재조합 소성장호르몬을 트립신, S.aureus V8 단백질가수분해효소, CNBr, 그리고 산 가수분해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일차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N-말단 분석은 30 잔기까지를 수행하였는데, 대장균 내에서 발현된 소성장호르몬은 E. coli 내 에 존재 하는 methionyl-aminopeptidase에 의해 해독개시인자로 넣어준 N-말단의 Met이 모두 제거된 형태로 나타났으며 아미노산 조성분석 결과 연역된 조성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효소와 화학물질로 절단한 소성장호르몬 조각들을 HPLC로 분리한 후 단백질 서열분석기를 이용하여 아미노산 서열을 분석하였다. 대장균에서 발현된 소성장호르몬은 191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21,802 Da의 분자량을 갖고 있는 단백질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을 갖고 있는 단백질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얻은 아미노산 서열을 바탕으로 hydropathy plot을 한 결과 N-말단에서는 소수성이 그리고 C-말단에서는 친수성 영역이 나타났다.

  • PDF

고활성 단백질분해효소 생산균주의 개발을 위한 Aspergillus oryzae의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변이 (Strain Improvement of Aspergillus oryzae for Increasing Productivity of a Proteolytic Enzyme.)

  • 김두상;김형락;남택정;변재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90-496
    • /
    • 1998
  • 단백질 식품의 가공에 이용할 수 있는 역가 높은 단백질분해효소를 개발하기 위하여 누룩, 메주, 어류, 젓갈 및 토양 등의 시료 중에서 활성이 높은 단백질분해효소의 생산 균주로 A. oryzae O-1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A. oryzae O-1을 UV조사(20W, 15cm, 90초)하여 활성이 높은 단백질분해효소 생산균주, A. oryzae U-1을 선발하였고, 다시 A. oryzae U-1포자를 0.5M EMS용액에 처리 (3$0^{\circ}C$, 6분간)하여 보다 활성이 높은 A. oryzae E-1을 선별하였다 다음에 이 A. oryzae E-1과 A. oryzae O-1의 원형질체 융합체 중 단백질분해효소 생산능이 가장 강한 변이균주 A. oryzae PF를 분리하였다. 각 단계별 생산효소의 활성은 azocasein기질에 대하여 A. oryzae O-1이 0.23 U/$m\ell$, A. oryzae U-1은 3.29 U/$m\ell$, A. oryzae E-l은 8.91 U/$m\ell$, 그리고 최종 변이단계를 거친 A. oryzae PF는 19.0 U/$m\ell$로서 최초의 선별균주 A. oryzae O-1에 비하여 그 활성이 약 82배까지 증가하였다.

  • PDF

Serine pretease 억제제인 4-(2-aminoethyl) benzensulfonylfluoride (AEBSF)에 의한 호중구의 자연 세포사멸의 지연과 수지상 세포로의 전이분화 연구 (Effects of AEBSF on the Delay of Spontaneous Apoptosis and the Trans-Differentiation of Human Neutrophils into Dendritic Cells)

  • 박해영;곽종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48-955
    • /
    • 2007
  • 생체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중구의 세포사멸은 자연적으로 일어나거나 여러 외부자극에 의한 신호의 전달에 의해 증가하거나 지연된다. 또한 사이토카인과 같은 분화제에 의해 세포사멸이 지연되고 항원 제시 기능을 가진 수지상 세포로 분화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사멸 억제제와 사이토카인을 이용한 시스템에서 호중구가 수지상 세포로 분화되는가를 조사하였다. Pancaspase와 serine protease의 억제제인 zVAD-fmk와 AEBSF를 처리하였을 때 호중구의 세포사멸은 현저히 감소되며 AEBSF는 caspase-3와 serine protease활성을 모두 억제하였다. 호중구의 세포사멸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AEBSF와 함께 분화제로 널리 쓰이는 CM-CSF를 같이 처리하여 3일 동안 배양하면 수지상 세포에서 높이 발현되는 CD8O, CD83 및 MHC class ll의 세포표면 마커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AEBSF와 CM-CSF를 처리한 호중구를 T-세포와 함께 배양하였을 때 SEB가 존재할 경우 T-세포가 증식되었으며 SEB가 없이도 $IFN{\gamma}$는 생성되었다. 이들 결과들로 부터 serine protease 억제제인 AEBSF를 호중구에 처리하여 세포사멸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과 수지상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는 사이토카인인 CM-CSF의작용을 나타내게 하는 조건과는 서로 상호적으로 연관되어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