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sed oil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31초

THE INVESTIGATION FOR THE EFFECT 01 THE SOLUBILITY PARAMETER BETWEEN OIL BINDER AND SOLVENT TO THE PRODUCT QUALITY IN THE WET TYPE BACK INJECTION PRESS PROCESS.

  • Y, Tae-Young;K, Jong-Kuy;L, Joo-Wa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05-110
    • /
    • 1998
  • In the make-up product, Eye-shadow products have several purposes of enhancing product quality such as providing the beauty (variation of shape, clean appearance), feeling, continuity and adhesion. In this paper, newly developed wet type back injection press process is introduced so as to increase higher value products which providing various the beauty. The solvent takes an essential role to provide the fluidity of the powder bulk during the pressed-process of wet type pressed produ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olvent in the oil binder was investigated, And the higher quality condition of the wet type pressed product was built to apply cosmetic preparation. Firstly, the system was designed powder phase as non treated pigment. The oil binder phase is categorized as hydrocarbons(Mineral oil, Squalane), Silicones(Methicone, Dimethicone ), esters (Octyldodecanol, Octyl Dodecyl Myristate). The solvent phase used was C 7-8 isoparaffin and Isopropyl Alcohol. The interaction of oil binder and solvent is investigated by measuring mass of final oil binder and the each solubility parameter.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olubility the higher the degree of change in the final composition of the oil binder. In order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final product, the solvent used in pressed-process should be hydrophobic with oil binder.

  • PDF

포도씨유가 함유된 프레스햄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ed Ham Containing Grape Seed Oil)

  • 이정일;정재두;이진우;하영주;주선태;박구부;곽석준;박정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721-732
    • /
    • 2008
  • 본 연구는 프레스햄의 품질특성에 포도씨유 첨가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프레스햄에 첨가되는 포도씨유의 양에 따라 5개의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포도씨유를 첨가하지 않고 총 구성분 중 10% 량만큼 등지방을 첨가하였다. 처리구 1은 첨가되는 돈지방 함량 중 10%를 포도씨유로 대체, 처리구 2는 20%, 처리구 3은 30%, 처리구 4는 40%를 포도씨유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프레스햄은 진공포장하여 냉장온도(4℃)에서 28일 동안 저장하면서 포도씨유가 첨가된 프레스햄의 전단가, 관능적 특성분석, 지방산패도 및 지방산 조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전단가는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저장 1일, 21일과 28일에는 T4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전단가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전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있지만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 제품색, 향기,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대조구와 포도씨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저장기간에 따른 제품의 제품색, 향기,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성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지방산화는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저장 28일에 T4 처리구가 대조구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지방산화를 보였다(P<0.05).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화 값의 변화는 대조구와 포도씨유 처리구 모두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지방산 조성 변화는 대조구에 비하여 포도씨유 처리구는 C10:0~C20:4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포화지방산과 단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구가 포도씨유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P<0.05), 포도씨유 처리구 간에는 대체 수준이 증가할수록 포화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다중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포도씨유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대체 수준이 증가할수록 다중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포도씨유의 첨가는 관능적 평가 및 지질산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제품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건강지향적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볶음조건과 저온압착이 아마씨유(Linum usitatissimum L.)의 지방산 조성 및 휘발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asting Condition and Cold-pressed Flaxseed (Linum usitatissimum L.) oil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Volatile Compound)

  • 원새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77-184
    • /
    • 2020
  • 본 연구는 불포화지방산 중 α-리놀렌산이 풍부한 아마씨에서 볶음조건과 저온압착법으로 착유된 아마씨유의 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볶지 않은 아마씨와 볶은 아마씨(150℃와 200℃에서 10분과 20분)를 가정용 저온압착기를 사용하여 저온압착으로 착유하여 착유수율, 총 페놀 함량, 지방산 조성 및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착유수율은 볶지 않은 아마씨에서보다 볶은 아마씨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150℃에서 20분 동안 볶아서 착유한 경우 다른 착유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 200℃에서 착유한 경우는 볶지 않은 생 아마씨유보다 낮았다. 지방산의 조성은 볶음조건에 의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휘발성 성분은 총 함량과 지방산패의 지표로 알려진 aldehyde, ketone, furan은 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서 증가되었고, Maillard 반응에 영향을 주는 pyrazine도 200℃에서 볶아서 착유한 아마씨유에서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가정용 저온압착기로 착유된 아마씨유는 볶지 않은 아마씨보다는 150℃에서 20분 동안 볶은 후 저온압착으로 착유하는 방법이 안전한 추출과정으로 제안된다.

산성백토를 이용한 저온압착 유채유의 탈색 평가 (Bleaching of cold-pressed rapeseed oil using activated clay)

  • 이영화;박원;이태성;김광수;장영석;이경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60-567
    • /
    • 2016
  • 최근 건강기능성 식용유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저온압착(cold-pressing) 유채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저온압착 유채유는 정제유에 비해 기름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성백토를 이용한 저온압착 유채유의 탈색과정에서 산성백토의 첨가량, 처리시간 및 반응온도에 따른 탈색 후 이화학적 특성과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색차(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조사하였고, 품질특성은 chlorophyll-A 와 carotenoid 함량, 지방산 조성, 토코페롤(${\alpha}$, ${\beta}$, ${\gamma}$, ${\delta}$), 및 식물성 스테롤(${\beta}$-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을 분석하였다. 먼저 산성백토(DC-SUPER)의 첨가량(1, 2, 3%)에 따른 저온압착 유채유의 색도변화를 관찰한 결과, DC-SUPER 첨가량 2%에서 탈색 1시간 후 유채유의 색도가 갈색에서 연노랑으로 옅어졌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총 3종의 산성백토(DC-SUPER, DC-A3, 및 P1)에 대해 첨가량 2%를 기준으로 처리시간(20, 40, 60, 80분) 증가에 따른 색차를 조사한 결과, 처리시간 20분 경과 후부터 대조구 대비 명도(L)는 증가하였고, 적색도(a)와 황색도(b)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산성백토 DC-SUPER 2% 첨가 후, 반응온도(40, 80, $120^{\circ}C$) 증가에 따른 색차를 조사한 결과, L값과 a값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b값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반응온도 $40^{\circ}C$에서 처리시간 20분 이내에 클로로필 A와 카로티노이드는 대부분 제거되었고, 토코페롤 함량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탈색 전 저온압착 유채유의 총 토코페롤 함량은 46.62mg/100g이나, 탈색 후 총 토코페놀은 12.67mg/100g(20분 탈색), 15.31mg/100g(40분 탈색), 13.56mg/100g(60분 탈색)로 나타나, 약 50% 이상 감소하였다. 탈색 후 ${\alpha}$-토코페롤과 ${\delta}$-토코페롤의 함량 감소가 매우 컸고, ${\gamma}$>${\beta}$>${\alpha}$>${\delta}$-토코페롤의 순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탈색 전 후에 저온압착 유채유의 식물성 스테롤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성백토 이용 저온압착 유채유 탈색시 색도를 향상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총 토코페롤 등이 감소한 바 향후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포도씨유 첨가가 프레스햄의 이화학적 및 조직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ape Seed Oil Additiv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ed Ham)

  • 이정일;양한술;정진연;문상훈;김갑돈;이진우;정재두;하영주;곽석준;박정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8-187
    • /
    • 2009
  • 본 연구는 프레스햄의 품질특성에 포도씨유 첨가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프레스햄에 첨가되는 포도씨유의 양에 따라 5개의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포도씨유를 첨가하지 않고 총 구성분 중 10% 량만큼 등지방을 첨가하였다. 처리구 1은 첨가되는 돈지방 함량 중 10%를 포도씨유로 대체, 처리구 2는 20%, 처리구 3은 30%, 처리구 4는 40%를 포도씨유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프레스햄은 진공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28일 간 저장하면서 실험에 공시하였다. 수분함량은 대조구가 포도씨유 처리구인 T3(등지방의 30% 대체)와 T4(등지방의 40% 대체)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와 포도씨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H는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전 저장기간 동안 뚜렷한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전 처리구가 저장 21일에 가장 높았다. 육색 변화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T4 처리구는 명도와 황색도 값은 유의적으로 높고 반면에 적색도 값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조직감의 변화에서 대조구와 포도씨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었지만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포도씨유의 첨가는 이화학적 특성 및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건강지향적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Comparison of the Cold-Pressed Peel Oil Composi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ov. forma Miyagawa-wase) by GC, GC-MS and GC-O

  • Park, Hyang-Sook;Sawamura, Masayoshi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1호
    • /
    • pp.5-11
    • /
    • 2002
  • The comparison of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Korean and Japanese Satsuma mandarin (C. unshiu Marcov. forma Miyagawa-wase) peel oils, isolated by cold-pressing, was performed by gas chromatography, mass-spectrometry and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GC-O). Eighty-five volatile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each oil by GC and GC-MS. Forty-three components were detected in each oil by GC-O. The total amount of monoterpene hydrocarbons was 95.88% (Korean mandarin) and 95.29% (Japanese mandarin). Limonene, ${\gamma}$-terpinene, myrcene and $\alpha$-pinene we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cold-pressed oils from the both samples. The volatile composition of the Japanese mandarin was characterized by a higher content of sesquiterpene hydrocarbons, especially bicyclogermacrene, $\alpha$-humullene and valencene. The volatile composition of two samples can easily be distinguished by the percentages of aldehydes, ketones and esters, which were found at higher levels in the Japanese mandarin. The sweet and fruity flavor was stronger in the Korean mandarin oil while herbaceous flavor was stronger in Japanese sample. From GC-O data it is suggested that the sweet and fruity flavor of the Korean mandarin resulted from terpinolene and linalool, and the herbaceous note of the Japanese mandarin from $\alpha$-humullene, nepal, ι-carvone and perill aldehyde.

살균 및 비가열압착한 들깨오일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분석 (Analysis of nutrients and antioxidants of sterilized and non-heat-pressed perilla oil)

  • 김양희;장지휘;하서영;박수진;박선영;정태환;황효정;신경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64-27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살균 및 비가열압착한 들깨오일(superilla)을 활용하여 영양성분을 확인하고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판되는 들기름과 비교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분 함량과 pH는 CPPO에서 높았고, 구리, 코발트, 칼슘 함량은 SRPO에서 높았다. 총 비타민 E, 토코페롤, 리놀렌산 함량은 LPPO에서 더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SRPO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값은 CPPO에서 가장 높았다. L 및 a 값은 CPPO에서 더 높았고 b값은 LPPO에서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살균 및 비가열압착한 들깨오일(SRPO)의 무기질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아질산 소거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간이 경과할수록 SRPO는 과산화물가가 낮았고, LPPO는 산가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종합해 볼 때, 살균 및 비가열압착한 들기름의 경우 기존의 방식으로 생산된 들기름과 영양소 성분이 유사하였다. 이는 새로운 들기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들기름의 상품화의 기초가 마련되었다고 판단된다.

추출방법에 따른 인삼씨유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Seed Oil Obtained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김지은;이슬;유경미;이경혜;김경탁;이명희;황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39-44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추출방법에 따른 인삼씨유(ginseng seed oil)의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저장 중 산화안정성을 살펴보았다. 인삼씨유를 용매추출, 초임계유체추출, 압착추출 방법으로 추출한 결과 초임계추출 한 인삼씨유의 수율이 가장 높았다. 인삼씨유의 L값은 8.70~11.38의 범위였고, a값은 초임계유체추출 오일 처리구에서, b값은 압착추출 오일에서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지방산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oleic acid(C18:1)의 함량이 80.13~81.16%로 가장 많았고 linoleic acid(C18:2)는 14.98~15.69%를 차지했다. 인삼씨유의 포화지방산으로는 유일하게 palmitic acid(16:0)만 검출되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압착추출 오일이 $56.32{\pm}1.47$ mg GAE/100g oi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삼씨유에서는 ${\gamma}$-토코페롤만 검출되었으며, 압착추출 오일의 ${\gamma}$-토코페롤 함량이 $56.32{\pm}1.47$ mg GAE/100g oil로 가장 높았다. 인삼씨유의 토코페롤 산화 유도시간은 압착추출 오일이 16.58시간으로 가장 길게 나타났다. 인삼씨유의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에 따라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압착추출 오일의 산화안정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항산화 활성을 지닌 총 페놀함량과 ${\gamma}$-토코페롤 함량이 초임계유체추출 오일과 용매추출 오일에서보다 압착추출 오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올리브유가 첨가된 프레스햄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live Oil Additiv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 Ham during Cold Storage)

  • 이정일;정재두;이진우;하영주;신택순;곽석준;도창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3-170
    • /
    • 2007
  • 본 연구는 프레스햄의 품질특성에 올리브유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시험구는 프레스햄에 첨가되는 올리브유의 양에 따라 5개의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대조구는 올리브유를 첨가하지 않고 총 구성분 중 10% 량만큼 등지방을 첨가하였다. 처리구 1은 프레스햄 제조시 첨가되는 돈지방 함량 중 5%를 올리브유로 대체시켰으며, 처리구 2는 10%,처리구 3은 15%,처리구 4는 20%를 올리브유로 대체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프레스햄은 진공 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28일간 저장하면서 실험에 공시하였다.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와 올리브유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함유수분과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가 올리브유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pH는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전 저장기간 동안 뚜렷한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전 처리구가 저장 7일째에 가장 높았다가 7일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육색 변화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올리브유 대체 수준이 증가할수록 황색도 값은 증가하고 반면에 적색도 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조직감의 변화에서 대조구와 올리브유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었지만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올리브유의 첨가는 이화학적 특성 및 조직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단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을 강화시킨 건강지향적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Elder Berry이용(利用)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Elder Berry 열매의 유지자원(油脂資源)으로서의 이용성(利用性)에 관하여 - (Studies on Elder Berry Utilization - Part 1. Experiments on the Utilization of Elder Berry Fruit as Oil Resources -)

  • 신응태;박광훈;민병용;서기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04-408
    • /
    • 1978
  • 1. 엘더베리 열매의 일반분석결과(一般分析結果) 조지방(粗脂肪) $1.56{\sim}2.50%$, 조단백질(粗蛋白質) $2.50{\sim}6.10%$ 조회분(粗灰分) $0.7{\sim}1.3%$ pectin 0.73%로서 열매는 $6{\sim}7%$의 씨를 합유(合有)하고 있었다. 2. 엘더베리기름 중(中) hot pressed oil은 참기름과 맛, 향(香)이 비슷하였고 cold pressed oil은 올리브기름과 향(香), 색(色)이 비슷하였으며 비중(比重) $0.915{\sim}0.925$로서 씨로부터 $26.18{\sim}26.55%$의 수율(收率)로 얻어졌다. 3. 엘더베리기름은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이 다량함유(多量含有)된 기름이었고 추출박(抽出粕)은 조단백질(粗蛋白質)이 $12.65{\sim}18.66%$를 함유(含有)하고 있어 가축사료중(家畜飼料中) 농후사료(濃厚飼料)로 사용가능(使用可能)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