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예비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과학수업의 특징: 대응쌍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ings regard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Adjacency Pairs)

  • 이정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1호
    • /
    • pp.1-9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ings regard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also aimed to suggest a direction of peer teaching practice to help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djacency pairs were ado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ings.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accustomed to adjacency pairs. Almost of their discourse were organized by adjacency pairs. 'Question-Answer' and 'Request-Accept' were mainly used in science classes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science teacher educators to provide chances to analyze exemplary science teachers' science class or chances to analyze their science teachings in terms of competence of science classroom discourse.

예비교사의 수학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체계와 기술된 수업행동 분석 (Exploring Beliefs and Stated-Actions of a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2호
    • /
    • pp.97-111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수학교사의 수학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체계와 수학교수법 중에 시행하는 예비실습을 하는 동안 기록한 활동지의 기술된 수업행동을 분석하여 예비교사가 어떻게 새로운 신념체계를 내재화하는 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일대일 학생과의 예비실습활동을 통하여, 초등학생들의 수학학습 사고과정에 대한 지식을 더 확실하게 자신의 신념체계로 통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 과정에서 예비교사는 기존의 신념체계와의 심리적 갈등을 겪고 해소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과정을 통하여, 예비교사는 자신의 수학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체계를 보다 더 분명하고 명확하게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 예비 교사의 반성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반성의 유형과 특징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 in Reflective Journal Writing)

  • 이정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3호
    • /
    • pp.378-388
    • /
    • 2010
  • This study aimed at categorizing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s and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istics in reflective journal writing after microteaching. Thirty-tw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ined in this study. As results, three patterns were categorized: Reflection with practice, Reflection to be practice, Reflection with suspension of judgment. 'Reflection with practice' changed the topology of science class in active. 'Reflection to be practice' had clear focus in reflection and suggested orientations to succeed in the next teaching. 'Reflection with suspension of judgment' made something fall into abeyance, because it couldn't provide an orientation for teaching. After discussing these results, implications towar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ere explored.

  • PDF

한국과 미국 예비 초등교사는 자연수 덧셈과 뺄셈 연산에 대한 학생의 수학적 전략과 오류를 어떻게 분석하는가? (How Do Korean and U.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nalyze Students' Addition and Subtraction Computational Strategies and Errors?)

  • 조형미;;이기마;김희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423-446
    • /
    • 2022
  • 본 연구는 덧셈 뺄셈 연산에서 보이는 수학적 전략을 한국과 미국의 예비 초등교사가 어떻게 분석하는지 비교 분석한다. 한국의 예비교사 26명과 미국의 예비교사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제시된 덧셈 뺄셈 연산에서 어떠한 수학적 오류가 있는지 서술하게 하였다. 수합된 46명의 예비교사의 기록은 연구의 주요 데이터로 근거 이론에 기반을 두어 오픈 코딩과 귀납 코딩하고, 통계 처리하여 혼합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덧셈 연산에 대한 오류와 전략 분석에서 양국의 예비교사의 응답 양상은 유사하였으나, 뺄셈 연산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의 풀이 전략이 다단계로 구성이 되어 있거나 전형적이지 않을 때, 양국의 예비교사가 이를 분석하는데 어려워함을 확인하였다. 국제 비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양국의 예비교사 교육에 공통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각국의 예비교사 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논하였다.

학생의 과학 오개념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지식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Science Topics)

  • 한수진;강석진;노태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474-483
    • /
    • 201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students' misconceptions about several science topics, and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awareness. Seniors (N=106) from an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asked to predi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s on science topics such as phase changes and dissolution. Their conception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were also measur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predictions about the kinds and/or the ratios of students' misconceptions were different from those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low level preservice teachers in terms of the degrees of possessing traditional conception about teaching and learning predicted more students' common misconceptions. The degrees of preservice teachers' constructivist conception about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ir major, however,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numbers of common misconceptions predicted.

  • PDF

초등 예비교사교육에서 Lakatos 방법론의 적용과 효과 (Applying Lakatos Methods to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553-565
    • /
    • 2013
  • 본 연구는 Pick의 정리를 소재로 하여 Lakatos의 방법론을 적용한 초등예비교사 교육을 실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Lakatos 방법론에 따라 설계된 수업에서 예비교사들은 수학적 추측을 제기하고, 추측에 대한 반례를 발견하고, 반례에 따라 추측을 수정하면서 보조정리합체법, 괴물배제법, 괴물조정법, 예외배제법 등을 사용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다양한 수학적 사고와 전략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학적 경험은 예비교사들에게 수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형성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수학에 대한 관점의 변화는 수학을 가르치는 방식의 변화와 연결되었다. 예비교사들은 새로운 수학수업의 가능성을 직접 확인함으로서 새로운 수업에 대한 강력한 동기부여가 되었고, 수학수업에서 상호작용과 토의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실감할 수 있었다.

  • PDF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인식변화 (Changes in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bout Mathematical Modeling)

  • 김용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101-123
    • /
    • 2022
  • 최근 교육의 패러다임이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학습자의 능동적인 지식의 구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교사 또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연구의 내용과 결과들을 예비교사들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학창시절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경험을 살펴보고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이 그들의 인식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은 학창시절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경험이 매우 적었으며,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이론적인 수업을 진행했을 경우보다 실제로 수학적 모델링에 대한 경험을 같이 했을 때 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문제제기 및 해결을 통한 한국과 미국 예비교사의 분수 곱셈 이해 탐색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fraction multiplication through problem posing and solving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여승현;이지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1호
    • /
    • pp.157-17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초등예비교사들의 분수 곱셈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기 위해서 문제제기 및 문제해결 과제의 수행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분수)×(분수)의 상황에 비해서 (자연수)×(분수)에서 피승수와 승수의 위치를 혼동하여 승수를 분수가 아닌 자연수로 생각하는 경향이 더 많이 나타났다. 둘째, (분수)×(분수)에서는 집합이나 길이에 비해서 넓이 모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주어진 수식의 계산과정이 나타나도록 모델을 연결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의 곱셈의미 이해에 대한 연구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Using Facets of Effective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to Examin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bservations of Their Clinical Experiences in Korea and the U.S.

  • Morey, Marilyn;Park, Do-Yong;Lee, Myon U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452-1469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experienced by Korean and U.S.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during their 3-week clinical experience. Observational experiences of 97 Korean and 112 U.S preservice teachers were surveyed with an instrument that we developed for the study. Follow-up interviews provided a clearer picture of what preservice teachers observed and experienced in science classrooms during their clinical experiences. Korean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a variety of science teaching environments, whereas the U.S. preservice teachers reported limited opportunities to obser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 terms of 6 identified facets that we posed. Along with our interpretation of the contrast in findings, some of the challenges are discussed in providing preservice teachers with opportunities to observe, experience, and teach in effective science learning environments during the clinical experience.

Exploring Whit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Racial Identity and Culturally Relevant Teaching Practices

  • Cho, Eunhye;Albert, Lillie R.;Hwang, Sunghw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4권1호
    • /
    • pp.29-4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 the construction of preservice white mathematics teachers' racial ident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racial identities and Culturally Relevant Teaching (CRT) practices. We examined five white female preservice teachers who enrolled in an elementary mathematics methods course at a private university in the US. We collected data consisting of lesson plans,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reflection of a taught lesson in the 2018 fall term and examined them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racial identities were affected by their backgrounds, K-12 school experiences, and practicum school environment. We also found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sensitivity to racial issues and their endorsement of CRT strategies.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s were mediated by practicum school contexts. Based on the findings, we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