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ative solution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2초

Monoethylene Glycol계(系) 수지액(收支液)을 주입(注入)한 소나무재(材)에 있어서 수지성분(樹脂成分)의 분포(分布)와 방부효과(防腐效果) (Distribution and Preservative Effectiveness of Resin Element in Pine Wood Impregnated with Monoethylene Glycol Resin Solution)

  • 이종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77-82
    • /
    • 1995
  • With the aim to utilize pine wood(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s an interior building materials, such as flooring material, monoethylene glycol(MEG) resin solution was impregnated into greenwood. Specimens of three different qualities, that is, normal wood, resinous wood and compression wood, were prepared. Distribution of resin element(phosphorus) in MEG resin solution-impregnated woods and preservative effectiveness against brown rot fungi(Tyromyces palustris and Serpula lacrymans) of these wood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oncentration of phosphorus into cell walls of resinous wood and compression wood was lower compared to that of normal wood. This shows that the quality of wood has an influence on the penetration of MEG resin solution into the wood. It was shown from a leaching test that MEG resin could be leached out easily from the cell walls. 2. The resinous wood and compression wood, even without MEG resin solution impregnation had high decay resistance. For normal wood, significant improvement of preservative effectiveness was observed after impregnation of MEG resin solution. It was shown that MEG resin was leached out from the woods after leaching test, resulting in the reduction of preservative effectiveness. From this result, suitability of MEG resin solution-impregnated woods as an interior materials was recognized.

  • PDF

옹기 화병이 절화 거베라의 수명 및 미생물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arthenware Vase on Vase Life of Cut Gerbera Flowers and Microbial Multiplication)

  • 임영희;오욱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2호
    • /
    • pp.110-115
    • /
    • 2011
  • 미세다공성의 옹기 화병의 절화수명 연장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거베라 절화를 식물재료로 하여 관행의 자기 및 유리 화병과 절화수명을 비교하였다. 수돗물과 절화보존제가 들어있는 유리, 자기, 옹기 화병에 거베라 'Honeymoon'과 'Golden Time'을 꽂고 절화수명과 미생물 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두 품종 모두 옹기 화병에서 절화수명이 길었으며, 절화보존용제가 수돗물에 비해 절화수명을 연장시켰다. 특히 절화보존제를 넣은 옹기 화병에서 두 품종 모두 절화수명이 14일 이상으로 가장 길었다. 누적 흡수량은 절화보존용제를 넣은 옹기 화병에서 'Honeymoon'이 19.2mL, 'Golden Time'이 15.8mL로 가장 많았다. 생체중은 대체로 옹기에 꽂은 절화가 다른 재질의 화병에 꽂은 것에 비해 컸으며, 절화보존제 처리가 생체중 감소를 지연시켰다. 특히 옹기에 절화보존제를 처리한 경우 처리 8일 후에도 초기 생체중의 89% 수준을 유지하여 수분 흡수가 원활했음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수 측정 결과, 'Golden Time'은 옹기 화병 내의 보존용액의 총균수가 다른 재질의 화병에 비해 적게 나타났다. 'Golden Time'의 총균수는 8일째 옹기 화병 내의 보존용액에서 435cfu/mL 정도로 자기나 유리 화병 내의 보존용액보다 20-30%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옹기 화병은 보존용액 내 미생물의 증식을 지연시켜 절화 거베라의 물올림을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도관 폐쇄에 의한 화경굽음 현상이 억제되었고, 절화수명도 길어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미세다공성의 옹기는 화병의 좋은 재질이며, 절화보존제는 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신규 화장품용 천연유래 보존제의 물성 측정, 용액 거동 및 보존제 포함 화장품의 제형 안정성 (Basic Properties and Solution Behavior of New Naturally Derived Cosmetic Preservative, and Stability of Cosmetic Formulation)

  • 신수빈;박정은;고나연;김미정;신혜원;이다솜;김나래;엄태식;정국인;배준원
    • 공업화학
    • /
    • 제35권2호
    • /
    • pp.122-127
    • /
    • 2024
  • 화장품 보존제는 화장품의 유효 사용 기간에 매우 중요한 성분으로, 최근에는 저독성 자연유래 화장품 보존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다이올(diol) 계통 보존제를 대체할 수 있으며 천연유래 성분으로부터 얻어진 신규 보존제(laurimino bispropanediol, LB)의 기초적인 물성을 측정하고 신규 보존제를 포함한 수용액을 제조하여 용액 거동을 고찰하였다. 특히, 신규 보존제의 수용액에서의 micelle 형성 가능성을 pyrene 분자를 이용한 실험법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신규 보존제는 상대적으로 긴 소수성 탄화수소와 늘어난 하이드록실 그룹(hydroxyl group)으로 인해 micelle 형성이 가능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보존제의 제형 속에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유화력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유기용매와 유지 성분에 대해 유화력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로, 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에센스 및 비교적 점도가 높은 로션 제형에 도입하였을 때 제형의 분산 안정성이 확보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새로운 저독성 천연유래 화장품 보존제의 개발 및 사용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계 목재방부제 (ACQ) 유효성분의 목재 흡착 특성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Alkaline Copper Quat Preservative Components in Wood)

  • 이종신;최광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91-498
    • /
    • 2014
  • ACQ 목재 방부처리 현장에서 약액의 농도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ACQ 약액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약액의 농도 변화, 처리 목재의 약제 흡수량 그리고 Cu (CuO로써)와 DDAC의 유효성분 비율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목재 수종은 낙엽송, 미송, 라디에타소나무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ACQ 약액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재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약액의 농도는 감소하였으며, 농도 감소경향은 유효성분의 종류별로 다르게 나타나 Cu보다는 DDAC의 농도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Cu의 농도감소는 처리 수종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DDAC의 경우에는 약액 흡수가 많은 수종에서 농도 감소의 폭이 크게 나타났다. 약액의 재사용 횟수에 관계없이 Cu의 목재 흡수량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DDAC 흡수량은 재사용 횟수의 증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약액의 재사용 횟수의 증가로 DDAC 농도가 감소하면 Cu의 흡수량이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처리 목재 내 흡착반응 과정에서 경쟁 관계에 있는 DDAC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Cu의 흡착량이 많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황산구리와 탄산나트륨 처리 목재 내의 물불용성 구리화합물의 생성과 방부효력 (Formation and Preservative Effectiveness of Water-Insoluble Copper Compound in Wood Treated with Copper Sulfate and Sodium Carbonate)

  • 김진경;이종신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58-364
    • /
    • 2008
  • Wood-inorganic material composite (WIC) was prepared by impregnating wood with copper sulfate ($CuSO_4\;5H_2O$) solution and by immersed wood in sodium carbonate($Na_2CO_3$) solution in order to introduce insoluble copper compounds {copper carbonate hydroxide, $CuCO_3\;Cu(OH)_2$} into the wood to give fungicidal effects in treated-wood. The weight percent gains (WPGs) of treated wood reached maximum value by impregnation of 20% copper sulfate solution and immersion in about 15% sodium carbonate solution for 24 hrs. Inorganic substances were present mainly in the lumina and cross-field pitting of tracheides. These substances were proved to be the insoluble copper carbonate hydroxide against water by the energy dispersive X-ray analyzer in conjunction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EDXA). The treated specimens showed high preservative effectiveness because the weight losses were hardly occurred by the fungi degradation test.

  • PDF

수입침엽수(輸入針葉樹) 4수종(樹種)의 내후성(耐朽性) 및 CCA계(系) 목재방부제(木材防腐劑) 처리(處理)에 따른 방부효과(防腐效果) (Decay Resistance and Effectiveness of CCA Preservative against Decay on the 4 Imported Softwoods)

  • 이종신;김영식;한기선
    • 농업과학연구
    • /
    • 제22권1호
    • /
    • pp.42-48
    • /
    • 1995
  • 시베리아 및 카나다산(産) 수입침엽수(輸入針葉樹) 4수종(樹種)에 대하여 고유(固有)의 내후성(耐朽性) 및 CCA계(系) 목재방부제(木材防腐劑) 최적처리량(最適處理量)을 검토하기 위하여 약액농도(藥液濃度)를 달리하여 처리(處理)한 후 수종별(樹種別) 약제흡수량(藥劑吸收量), 강제부후시험(强制腐朽試驗)에 의한 중량감소율(重量減少率),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 관찰(觀察)에 의한 부후형태(腐朽形態) 등을 조사(調査)하였다. 수종별 약제흡수량(藥劑吸收量)은 카나다산(産) 수종(樹種)에 비하여 비중(比重)이 높고 연륜폭(年輪幅)이 좁은 시베리아산(産) 수종(樹種)이 적은 약제흡수량(藥劑吸收量)을 나타내었으며 무처리재(無l處理材)의 고유(固有)의 내후성(耐朽性)을 조사한 결과 갈색부후균(褐色腐朽均)인 부후개떡버섯에 비하여 자색부후(自色腐朽)균인 구름버섯에 대하여 낮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수입침엽수(輸入針葉樹) 4수종(樹種)에 대한 CCA계(系) 목재방부제(木材防腐劑)의 최적(最適) 처리농도(處理濃度)는 효력치(效力値) 80(구름버섯) 및 90(부후개떡버섯)이상(以上)을 나타낸 0.7%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때의 약제(藥劑) 흡수량(吸收量)은 $3.8-5.5kg/m^3$이었다. 부후형태(腐朽形態)를 관찰(觀察)한 결과 무처리재(無處理材)의 경우에는 가도관(假道官) 내강(內腔)에 균사(菌絲)가 침입(侵入)해 있고 가도관(假道官) 벽(壁)에 천공(穿孔)이 형성(形成)되었으며 유록벽공(有綠壁孔)의 벽공록(壁孔綠) 및 방사조직(放射組織)이 분해(分解)되어 고유(固有)의 형태(形態)를 상실(喪失)하였으나 농도(濃度) 0.5% CCA처리재(處理材)의 경우에는 거의 건전(健全)한 형태(形態)를 유지(維持)하고 있어 부후(腐朽)의 진행(進行)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방부처리 원주가공재의 방부제 침윤도 향상 및 건조 할렬 방지를 위한 폴리에틸렌 글리콜 처리 효과 (Effects of Polyethylene Glycol Treatment for Improvement of Preservative Penetration and Prevention of Drying Check of Preservative Treated Round Post)

  • 이종신;윤선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27-32
    • /
    • 2002
  • PEG 처리가 고함수율 상태의 방부처리 삼나무 원주가공재의 건조 할렬 방지 및 방부제의 침투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농도 10%의 방부제(Basilit CFK) 용액에 1일간 침지 처리한 시험체의 표면에 노도 50%의 PEG-400을 각각 3, 5, 10획 도포하여 30일간 천연 건조한 후 할렬의 발생정도 및 변재부의 방부제 침윤도를 조사하였다. 변재부의 방부제 침윤도를 조사한 결과, 방부제 단독처리 시험체에서는 약 23.2%였으나 방부제 PEG 처리 시험체에서는 약 51.2~64.5%로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내 PEG처리에 의하여 방부제의 침투가 촉진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천연건조 기간 중에 방부제-PEG 처리 시험체에서의 건조 할렬 발생은 PEG 도포횟수의 증가와 함께 뚜렷하게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발생된 몇 개의 할렬의 크기도 방부제 단독처리 시험체에서 발생한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았다. 그러나 2개월간 옥외 폭로 후에는 방부제-PEG처리 시험체에서 많은 할렬이 발생하여 PEG 처리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PEG 처리 후, 폴리우레탄수지 래커로 도장 처리한 결과, 옥외 폭로기간 중에 할렬 발생이 뚜렷하게 방지되었다

감마선 조사와 조사 후 보존제 처리가 절화 장미 및 국화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mma Irradiation and Post-Irradaition Treatment of Preservatives on the Cut Flower Longevity of Rose and Mum.)

  • 박인환;정연승;이월순;권중호;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86-291
    • /
    • 1999
  • 본 연구는 감마선 조사 시기, 강도 및 조사 후 보존제 처리가 절화장미와 국화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시행하였던 바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절화장미의 경우 감마선 조사 강도가 0.5 KGy 까지는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할 수 있었으나, 이 보다 강한 조사구에서는 절화장미의 품질이 매우 악화되었으며, 조사 후 설탕용액에 침지한 것은 0.75 KGy 처리구까지 절화의 품질 유지효과가 인정되었다. 조사 후 절화보존제 침지 처리의 효과 실험에서는 2% sucrose, 0.2% silver nitrate, 1.0% Crysal 처리구에서 각각 선도 유지 효과가 어느 정도 인정되었으나, silver nitrate 처리구에서는 절화기부의 갈변부패가 매우 심한 것에서 절화수명의 연장에는 별 효과가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절화국화의 경우에는 감마선 조사 강도가 강해질수록 관산가치가 급격히 저하되었으며, 2.0KGy의 강도로 조사한 감마선 처리구에서는 증류수 및 HQS에 침지한 절화를 제외하고 다른 절화 보존제 처리구에서는 절화 수명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절화 보존제의 처리효과 중에 설탕용액의 침지 효과가 제일 우수하였는데, 감마선 무조사구에서 절화가 완전히 시들 때까지도 어느 정도 꽃을 관상 할 수 있을 정도로 절화수명은 유지되었다.

  • PDF

이중(二重) 확산처리법(擴散處理法)에 의(依)한 간벌(間伐) 소경재(小經材)의 방부처리(防腐處理) (Preservative Treatment of Thinned Small-diameter Logs by Double-diffusion Processes)

  • 김규혁;김재진;지우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4호
    • /
    • pp.7-17
    • /
    • 1991
  • The feasibility of treating three softwood(Japanese larch pitch pine, and Korean pine) thinned logs by double-diffusion treatment processes was investigated. Some posts were incised before immersion, and others were imersed in hot copper sulfate solution. Comparison among species indicated that. in general, pitch pine was most treatable and Japanese larch least treatable. For all three species, almost all treatment schedules gave consistently good penetration and high net retention, but very steep gradient of preservative distribution. As expected, the treatability was increased by the extension of immersion time, increased concentration of treating solution, incising. and heating of the first solution. Of the variables tested, it appears that heating of the first solution is the most important. From the data in this paper, it may be concluded that, if the first solution is not heated, the best schedule is #3. If the first solution is healed. it appears the best schedules are #10 or #11. Since heating of the first solution improves the treatability. schedules # 10 or :#11 are recommended if the cost of heating might be justified. The data presented in this paper indicate that double-diffusion treatment processes seem to offer a promise as a comparatively effective and easy-operating method of treating thinned logs for the small-scale production of treated stock.

  • PDF

Longitudinal Conduction of Preservative Solution by Larix kaempferi

  • Ahmed, Sheikh Ali;Kim, Jong-In;Chun, Su-Kyoung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4-129
    • /
    • 2008
  • Moisture content of Larix kapempferi was maintained at 28% after air drying. 5% CCFZ solution penetration depth was observed through longitudinal tracheid and axial resin canal. Penetration depth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heartwood to sapwood and the penetration depth was found 1.3 times higher for sapwood measured at 15.0 second of penetration. On the other hand, liquid flow in sapwood and heartwood involved most liquid first entering the resin canals. Overall resin canal conducted 1.4 times more than tracheid. Latewood was found more permeable than in earlywood. At the beginning of penetration, the speed was high and then decreased in the course of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