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nteeism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2초

병원 종사자의 직무자원이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직무착근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Job Resources of Hospital Workers on Presenteeism: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mbeddedness)

  • 하태인;조덕영;이상식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4호
    • /
    • pp.65-73
    • /
    • 2024
  • 본 연구는 병원 종사자의 직무자원이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착근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B시 소재 병원에 재직 중인 종사자 301명을 대상으로 2023년 7월 10일부터 8월 10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계수를 분석하였다. 변수 간 관계 및 매개효과는 Baron & Kenny가 제시한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s test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자원, 직무착근도와 프리젠티즘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자원과 직무착근도가 프리젠티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직무자원과 프리젠티즘과의 관계에서 직무착근도는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병원 종사자의 프리젠티즘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도적 및 행정적으로 충분한 직무자원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교육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직무착근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근로자의 건강문제에 따른 경제적 손실정도 (Economic Impact according to Health Problems of Workers)

  • 이영미;정문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12-61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ealth problems and to estimate economic impact based on health problems of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01 workers who received a group occupational health service. Data was collected from February 1 to March 30, 2006. The questionnaire contained question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nford Presenteeism Scale.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using SPSS program. Results: The primary health conditions as reported by workers were ranked in order as stomach or bowel disorders, back or neck disorders, or liver function disorders. The reason of absenteeism per worker was ranked in order as asthma, or a breathing disorder. The reason of presenteeism was ranked in order as asthma, insomnia or a sleep disorder. The cost of the total economic impact on the workplace in this study was 8,851,838 won. The cost of absenteeism per worker was 8,390 won. The cost of presenteeism per worker was 941,732 won. Conclusion: Presenteeism had a strong correlation to health conditions of the workers. Therefore, improving the work conditions of the workers is very important. If employers improve the health condition of workers, they will benefit from improved productivity in their business.

임상간호사의 주요 건강문제와 직무 스트레스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jor Health Issues and Job Stress on Presenteeism among Clinical Nurses)

  • 장인순;박지영;조은정;정명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1-130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jor health issues and job stress on presenteeism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on 226 clinical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March 3 to April 15, 2017,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Results: The findings showed that job str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urses' presenteeism. Fatigue (t=3.55,p<.001) impacted job loss, one of the subcategories of presenteeism,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12.1%. Premenstrual syndrome (t=-2.67,p=.008) and fatigue (t=-2.46,p=.015) affected perceived productivity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3.6%.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highlighted the need for effective management programs to tackle fatigue and premenstrual syndrome among clinical nurses' major health issues in order to reduce their productivity loss.

산업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 (The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in Workplace in Korea)

  • 권민;김순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9-169
    • /
    • 2010
  • Purpose: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o provide basic material that enables to prevent industrial hospital nurses from occupational stress, health problems and work impairment by understanding their work environment, stress, Presenteeism and correlation among them. Metho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s of 272 industrial hospital nurses who have attended the training conducted by KAOHN from October to December 2009 and recog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The questionnaire included Korean Version of Occupational Stress questionnaire developed by S.J. Chang and Stanford Presenteeism Scale questionnaire translated by Y.M. Le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PSS/WIN 17.0. Result: The industrial hospital nurses get much more stress than the average in three fields of occupational stress: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and occupational climate. The study shows in particular, the age group of twenties with one to three year work experience having higher than any other groups in occupational stress, work impairment and perceived productivity of Presenteeism.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nagement for these groups of nurses. In addition, institutional support and policy should be rendered to secure job conditions so that occupational stress can be relieved from these nurses and to prevent work impairment in advance as occupational stress has substantial correlation with health problems, work impairment and perceived productivity of Presenteeism.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 긍정심리자본이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와 직무탈진의 매개효과 (The Impacts of Hindrance·Challenge Stressor and Psychological Capital on Presenteeism: The Mediation Effects of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

  • 성유경;한영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48-54
    • /
    • 2019
  •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기반으로 두어 건강상의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을 하여 생산성이 감소되는 프리젠티즘의 심리적 원인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프리젠티즘의 심리적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직무자원을 개인적 차원의 심리적 자원인 긍정심리자본으로 재해석 하였으며, 직무요구를 도전성 및 방해성 스트레서로 구분하여 직무요구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직장인 32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과 AMO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전성 스트레서는 직무열의와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방해성 스트레서는 직무열의와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직무탈진과는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열의와 정적상관을 직무탈진과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프리젠티즘은 직무탈진과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변인을 종합한 매개분석결과, 수용할 만한 부합도 지수를 보였다.

콜센터 상담원들의 감정노동 및 우울과 프리젠티즘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ur, Depressive Symptoms and Presenteeism among Counselors in Call Centers)

  • 백종태;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086-4097
    • /
    • 2015
  • 본 연구는 콜센터에서 종사하고 있는 상담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우울수준과 프리젠티즘 수준을 파악하고, 특히 감정노동 및 우울수준과 프리젠티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2개의 콜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상담원 304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4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상담원들의 감정노동, 우울 및 프리젠티즘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의 여러 변수들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특히 조사대상자의 프리젠티즘은 우울 및 감정노동 하위요인들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프리젠티즘과 관련성이 있는 변수로는 연령, 업무의 신체적인 부담정도, 우울수준, 감정노동의 표면행위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프리젠티즘을 낮추기 위해서는 상담원들의 우울과 감정노동 수준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정신건강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버전 학생 프리젠티즘 측정도구(K-PSS)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resenteeism Scale for Students (K-PSS) in Nursing Students)

  • 김진희;전재희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81-289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Presenteeism Scale for Students and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320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attending nursing departments at three universities.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from June 1 to August 31, 2017. Results: The Cronbach's α of K-PSS was .70 indicating high reliability. As a result of testing the content validity of K-PSS was verified by calculating the Item level-Content Validity Index (I-CVI) of .87. The correlation between Medical Outcome Study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SF-36) score and Work Impairment Score (WIS), Work Output Score (WOS), Hours of absenteeism (HA) was analyzed to verify the concurrent validity of K-PSS. SF-36 score was correlated with WIS, WOS, HA. To test the differentiated validity of K-PSS, a total of 38 subjects were assessed by the paired t-test. As a result, only WIS sco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Conclusion: Sinc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PS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have been verified,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studies related to the presenteeism of students.

PRECEDE-PROCEED 모형 기반 비활동성작업 근로자를 위한 통합적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Effects of an Integra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Physically Inactive Workers - Based on the PRECEDE-PROCEED Model -)

  • 김혜진;추진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92-707
    • /
    • 2018
  • Purpose: We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physical activity (PA) program developed for physically inactive workers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PRECEDE-PROCEED model. Methods: Participants were 268 workers in three departments of L manufacturing unit in South Korea. The three departme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integration (n=86) (INT), education (n=94) (ED), and control (n=88) (CT) groups. The INT group received self-regulation, support, and policy-environmental strategies of a 12-week integrated PA program, the ED group received self-regulation strategies only, and the CT group did not receive any strategies. After 12 weeks, process evaluation was conducted by using the measures of self-regulation (autonomous vs. controlled regulation), autonomy support, and resource availability; impact evaluation by using PA measures of sitting time, PA expenditure, and compliance; and outcome evaluation by using the measures of cardiometabolic/musculoskeletal health and presenteeism. Results: Among process measures, autonomous regulation did not differ by group,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T group (p=.006). Among impact measures, PA complianc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INT group compared to the CT group (p=.003). Among outcome measures, the changes in cardiometabolic/musculoskeletal health and presenteeism did not differ by group; however, systolic blood pressure (p=.012) and a presenteeism variable (p=.041)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in the INT group. Conclusion: The integrated PA program ma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es in PA compliance and significant tendencies toward improvements in a part of cardiometabolic health and presenteeism for physically inactive workers. Therefore, occupational health nurses may modify and use it as a workplace PA program.

ICF를 이용한 프리젠티즘 도구에 대한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Presenteeism Scales Using ICF)

  • 김민;최말옥;전동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38-4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ICF-VR 코어셋과 가치판단 분석툴인 IPC를 이용하여 프리젠티즘 도구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에서 프리젠티즘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도구인 KOSS-SF(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와 PWI-SF(사회-심리적 건강측정도구 단축형)를 사용하였으며, 척도문항 분류와 문항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를 분석하여 프리젠팀즘을 측정하기 위해 추가되어야 하는 직업재활 요인을 제안하였다. 2018년 12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연구가 수행되었다. 저자들은 ICF와 IPC의 연결규칙에 따라 2가지 도구들을 독립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자 간 일치도는 90%로 나타났다. KOSS-SF는 60개, PWI-SF는 34개의 ICF-VR 코드와 연결되어 있으며, 활동과 참여, 신체기능을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PC 분석틀에 따른 결과는 Rational-Social, Emotional-Psychological 영역을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가지 도구들은 ICF-VR 코어셋과 일치율이 30%이하로 나타나 직업재활 영역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지 않으며, 특히 환경영역 측정에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젠티즘을 측정하기 위해 ICF 신체구조, 환경요인, 개인요인에 대한 문항들이 추가되어야 하며, 보다 명확한 응답수집을 위해 설문에 대한 기준점이나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과 논의를 제공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와 소진이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영향령 (The Effect of Job Embeddednedd and Burnout on Presenteeism among Nursing in Long-term Care Hospital)

  • 이소영;강혜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704-71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 소진, 프리젠티즘의 정도를 파악하고,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5월1일부터 5월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보건복지부의 의료인증 평가를 통과한 병원(2018년 5월 기준) 중 기관장의 승인을 받은 대구, 부산, 광주, 대전, 수원 5개 도시에서 근무 중인 간호사 240명을 편의 추출하였고, 불충분하거나 미기재 분을 제외한 209명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였으며, 직무착근도는 $2.91{\pm}.47$, 소진은 $2.86{\pm}.48$, 프리젠티즘은 $2.95{\pm}.44$였다. 프리젠티즘은 소진(r= .152, p< .005)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직무착근도는 소진(r= -.466, p<.001)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프리젠티즘은 소진(${\beta}=.244$, p< .001), 직무착근도(${\beta}=.183$, p= .016), 이직경험(${\beta}=-.251$, p= .003), 밤 근무여부(${\beta}=-.187$, p= .006), 이직횟수(${\beta}=-.037$, p= .044)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5.227, p< .001), 이들 간의 설명력은 33.0%였다. 즉 요양병원 간호사에 대한 관심과 시각의 변화를 위한 프로그램개발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