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paration to retirement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7초

중년직장인의 퇴직태도가 퇴직준비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 of Middle-aged Employees on Retirement Preparation and Job Satisfaction)

  • 정경화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1호
    • /
    • pp.43-53
    • /
    • 2021
  • 이 연구는 서울과 수도권에 근무 중인 40~50대의 중년직장인을 대상으로 중년직장인이 인지하는 퇴직에 대한 태도가 퇴직준비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서울과 수도권에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한 것 중 회수된 362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두 개의 가설을 세워 가설검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중년직장인의 퇴직태도 중 강요된 좌절은 퇴직준비의 재정과 가족에만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출발은 퇴직준비의 모든 하위변인(재정, 가족, 건강, 여가와 봉사)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가설인 직무만족도의 영향에선 퇴직태도의 노년휴식과 새로운 출발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퇴직을 강요된 좌절이라고 인지할수록 재정과 가족에 대한 퇴직준비가 낮았고, 퇴직을 새로운 출발로 인지할수록 퇴직준비의 모든 항목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퇴직을 노년의 휴식과 새로운 출발이라고 인지할수록 직무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퇴직을 앞둔 중년직장인들의 퇴직에 대한 태도가 퇴직준비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년층의 은퇴설계 및 노후 경제적 준비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that Influence Middle-aged People's Retirement Planning and Financial Preparation for Old Age)

  • 홍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2권2호
    • /
    • pp.25-4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middle-aged people's retirement planning and financial preparation for old age. The data was derived from "the National Survey of Families 2015". The samples included 1,462 people from 40 to 64 years of age.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monthly family income, monthly expenditure on spending to support parents, and perceived household economic condition. When the samples were divided by se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household economic condi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both men and women's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Age and education level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for women's level of retirement planning but not for men'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whether middle-aged people made financial preparation for old age. For the whole sample, whether or not a person was a regular employee, monthly family income, monthly expenditure on supporting parents, perceived household economic condition, and retirement planning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determining financial preparation. For men, whether or not a person was a regular employee, monthly family income, perceived household economic condition, and retirement planning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women whether or not a person was a regular employee, and retirement planning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in determining financial preparation. The results implied that retirement planning is needed for middle-aged people to prepare for old age financially while the financial preparation should differ depending on sex.

은퇴준비필요도와 은퇴준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은퇴교육참여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Degree of Requirements for Retirement Preparation and the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on Quality of Lif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Retirement Education)

  • 박해리;민현정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4호
    • /
    • pp.647-655
    • /
    • 2017
  • 본 연구는 은퇴교육필요도와 은퇴교육준비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은퇴준비의 매개효과와 조절변수인 은퇴교육참여도가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조사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유의표집하였으며, 2017년 5월부터 7월까지 충청남도 9시 군 212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남자 58.5% 여자가 41.5%로 남자가 많았으며, 거주지역은 시지역이 76.9%, 군지역이 23.1%로 시 거주자가 많았다 세부연구문제는 첫째로 일반적 특성에 따라 삶의 질의 차이, 둘째로 은퇴준비필요도, 은퇴준비, 은퇴교육, 삶의 질의 상관관계, 셋째로 은퇴교육은 은퇴준비와 삶의 질 간의 간접효과를 조절을 보았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 검증결과 거주지역에 따라서는 시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이 군 지역에 사는 사람보다, 대학원 졸업이상이 대학이하 집단보다 높았다. 직업에 따라서는 공무원, 회사원이 자영업보다 높았으며, 경제수준과 건강수준에 만족하는 집단이 삶의 질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분석결과 은퇴준비와 삶의 질, 은퇴준비 필요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또한 삶의 질과 은퇴교육, 은퇴교육 필요도와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은퇴교육과 은퇴준비필요도에 따라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은퇴교육참여는 은퇴교육 필요도, 은퇴준비도를 거쳐서 삶의 질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조절하였다. 즉, 은퇴교육 필요도는 은퇴준비에 영향을 주고 은퇴교육 간접효과에 의해 삶의 질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은퇴준비에 은퇴교육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은퇴교육의 필요성에도 삶의 질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년기 가계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인적자본 투자의 영향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Middle-aged Households'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 Focus on Human Capital Investment for Children)

  • 조경진;김순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4호
    • /
    • pp.131-152
    • /
    • 2012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middle-aged households'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Specifically, this study surveyed the relation between human capital investment for children and the middle-aged households'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and investigated factors influencing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Data were obtained from the 3rd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in 2009, and a sample of 757 households was selected. The statistical methods were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chi}^2$,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ile of preparation for living costs for old age was 49.9% for the middle-aged households. In terms of the types of preparation for living costs for old age, the results showed 61.6% of personal preparation, 33.9% of pension system, and 1.3% for children and relatives. In relation to the adequacy of the preparations for living costs for old age, preparations made by 57.4% of the middle-aged households were inadequate. Observing the minimum living costs for old age and adequate living costs after retirement for single and couple, the minimum living costs of the middle-aged households was 1.46 million won for couple and 0.91 million won for single. The adequate living costs for old age was 2.07 million won for couple and 1.34 million won for single. Second, there were 757 households with total education expenditure. Of these, 208 incurred annual expenditure on public education, and the annual expenditure for public education was 7.28 million won. There were 170 households with annual expenditure for private education, and the annual expenditure for private education was 2.50 million won. 243 households of middle-aged households had annual expenditure for human capital investment, including both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with annual expenditure for human capital investment for children of 7.82 million won. Furthermore, in the human capital investment facto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iddle-aged households'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according to their annual expenditure for human capital investment including both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financi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based on their public education expenditure. Third, i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1, which included human capital investment,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the middle-aged households were as follows : annual household income, total amount of annual household income, experience of inadequate living costs, existence of financial assets, total amount of annual household savings, financial independence, adequate living costs (for single) for old age, and human capital investment. In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2, which included annual expenditure for public education and annual expenditure for private education, th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the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the middle-aged households were as follows : annual household income, total amount of annual household income, experience of inadequate living costs, existence of financial assets, total amount of annual household savings, financial independence, adequate living costs (for single) for old age, and annual expenditure for public education.

  • PDF

가계의 재무건전성과 은퇴준비에 관한 연구 (Financial Soundness and Retirement Preparation of Korean Households)

  • 김순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4호
    • /
    • pp.27-52
    • /
    • 201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inancial soundness of Korean households and its effects on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these households. The sample consisted of 1,031 households selected from the 4th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by the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in 2012.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retirement preparation of Korean households are gender, occupation type, residence, satisfaction with economic condition, and type of financial soundness-sound households or insolvency-risky households. In other words, more female-headed households and households with higher levels of occupation are less likely to prepare for retirement. The households that are more likely to prepare for retirement are those that are lived in metropolitan areas as opposed to the countryside; further, households that are more economically sound are also more likely to prepare for retirement. In particular, sound households and insolvency-risky households are less likely to prepare for retirement compared to liquidity-risky households.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iddle-aged People's Retirement Preparation on Successful Aging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정승권;박현승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3호
    • /
    • pp.69-78
    • /
    • 2023
  • 본 연구는 늘어난 노년기를 대비하여 다양한 영역의 통합적인 노후 준비가 필요하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성공적 노화와의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노후 준비와 성공적 노화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민 노후 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 KReIS)의 제3차 조사, 제4차 조사 그리고 제5차 부가 조사에 모두 응답한 50세 이상 64세 미만의 남녀 1,037명을 분석하였다. 중고령자의 노후 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IBM SPSS 26 Process Macro Model 4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유의성 검증 결과, 노후 준비는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노후 준비가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독립변수인 노후 준비와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가 종속변수인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인 노후 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지도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를 통해 성공적 노화를 위한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노후 준비를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여 성공적 노화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40-50대 직장인의 노후준비와 자산보유 유형 (Differences in Retirement Preparation and Asset Type in the Elderly Life of Employees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 김향숙;박명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1-206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retirement preparation and asset type in the elderly life of employees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Retirement preparation showed a score of 3.30, and the emotional preparation dimension of retirement preparations showed a slightly higher score. The retention of guarantee assets(insurance and, national pension) scored higher than other types of assets.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preparation and the type of asset retention.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economic preparation, monthly income, home ownership, and the education level had significant effects on assets retention,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independent variables was 39.7%.

노후불안, 노후생활 준비 및 노후 생활지원 요구와 은퇴 후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일본 은퇴자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Effect of Retirement Anxiety, Retirement Life Preparation and Post-retirement retirement needs on Life Satisfaction in Retirement -Focusing on Japanese Retiree Survey Data-)

  • 이수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8권3호
    • /
    • pp.1-1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은퇴자 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은퇴 전후의 노후불안, 노후생활 준비, 노후 생활지원 요구를 파악하고, 이런 요소들이 은퇴 후의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분석 자료는 일본 전국 60세 이상 74세의 은퇴자를 대상으로 조사된 것이며 분석에는 1,257명의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불안 요인 중 남성과 여성 모두 수입과 저축, 생활비 부족 등의 경제적인 면에서의 노후불안이 다른 노후불안 요소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경향은 특히 남성에서 더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입과 저축, 생활비 부족 등의 경제적인 면에서의 노후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남성과 여성의 은퇴 후 생활만족도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후생활 준비의 측면을 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경제적 기반에 대한 준비 점수가 클수록 은퇴 후 생활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은퇴 후 노후 생활지원 요구의 영향에 대해서는 남성의 경우에, 은퇴 후 재고용 및 재취업 기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할수록 은퇴 후 생활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은퇴 이후의 시기에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지역사회참여 프로그램 및 취업연계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병원종사자들의 노후대책 준비내용 및 실행정도 (Degree of Execution and Preparation for the Retirement of Hospital Employees)

  • 임정도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53-66
    • /
    • 2012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ain full understanding of how well people are aware and prepared for after retirement. To reach the goal to learn more about the upcoming aging society, professionals from variety of medical fields were employed as subjects to this research. In order to get a detailed result, and to provide an ideal sugges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406 professional workers from 31 different medical institutions as its subjects. Obtained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government policies in the field, the idea of long term recuperation insurance gained more support than the belief that the public annuity is a sufficient economic countermeasure. Second, there is a causal relation between the economical preparation for retirement and the reason why people do not prepare for their after retirement. The more one feel short of money, the more one is obtuse towards the necessity of preparing for retirement, the more ignorant one is about preparing for retirement, the higher the chance that there will be no preparation done for his/her after retirement.

언론인의 은퇴 태도가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Retirement Attitudes of Journalists on Satisfaction with Life in Retirement Preparation -Focused on Gwangju, Jeonnam Area-)

  • 이계상;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724-734
    • /
    • 2016
  • 본 연구는 언론인의 은퇴 태도가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 및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언론인의 은퇴 태도를 강화하여 노후준비를 위한 언론인 복지 정책과 실천의 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대상은 광주, 전남지역 언론사에 근무하는 언론인으로 총 233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언론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후준비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론인의 은퇴태도가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통해 삶의 만족도가 극대화 된다고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언론인의 은퇴 태도와 노후준비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