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gnant and lactation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4초

여성의 모유수유 기간 및 임신 횟수와 치주염의 연관성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association between breastfeeding and pregnancy and periodontitis in Women)

  • 이세영;박정란;심선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49-157
    • /
    • 2018
  • 본 연구는 성인여성에서 임신관련 건강요인과 치주염과의 상관성을 연구하기 위해 2010-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치주염이었으며 독립변수는 임신관련 건강요인으로서 출산후 수유기간과 임신횟수를 분석하였으며, 사회경제학적변수 및 건강관련행위는 혼란변수로 보정하였다. 임신횟수와 치주염은 여러 혼란요인을 보정한 후에 상관성이 높았다[임신횟수 2-3번인 여성의 교차비: 2.66(95% 신뢰구간: 1.56-4.54); 임신횟수 4회 이상인 여성의 교차비: 3.02(95% 신뢰구간: 1.70-5.36)]. 결론적으로 치주염은 임신횟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향후 임산부 구강보건교육 및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분화중인 흰쥐 유선내 Luteinizing Hormone (LH) 유전자 발현의 생리적인 조절 (Physiological Regulation of Luteinizing Hormone(LH) Expression in Rat Mammary Gland during Differentiation)

  • 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75-180
    • /
    • 2001
  • 태반이나 생식소 등 시상하부 이외의 조직에서도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GnRH)과 그 수용체가 발현되어 조직 특이적인 기능을 담당함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최근 GnRH와 그 수용체 유전자가 흰쥐 유선에서도 발현됨이 증명되었고, LH $\alpha$-와 $\beta$-subunit와 LH 수용체에 대한 전사체 역시 흰쥐 유선에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흰쥐 유선 LH의 발현과 유선의 분화과정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서 생식주기, 임신, 수유, 이유기에 걸쳐 얻은 유선을 재료로 LH 함량 변화를 방사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동일한 실험동물에서 얻은 RNA를 사용한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과 Southern blot analysis를 통해 전사수준에서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난소 steroid에 의한 유선 LH의 발현조절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난소 제거(ovariectomy, OVX)후 steroid 처리 실험동물 모델을 사용하였다. 생식주기중인 흰쥐의 혈중 LH수준과 유선 내 LH 함량의 변화는 공히 proestrus 시기에 가장 높고 diestrus I 시기에 최저 수준을 보였다. 임신 17일 경으로부터 이유기까지 혈중 LH 수준은 등락을 보였으나, 유선 LH 함량은 수유기 중 현저히 감소한 후 이유기에 상승하였다. Southern blot analysis에서 흰쥐 유선 내 GnRH와 LH의 발현은 대체로 diestrus I 시기에 가장 낮고 이후 diestrus II, proestrus, estrus 시기를 거치며 증가하였고 임신 이후 수유기와 이유기까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됨이 확인되었다. 한편 OVX 실험 동물모델에서 혈중 LH 수준은 예상한 바처럼 estrogen에 의한 negative feedback의 작용으로 OVX+OIL 실험군(418.6$\pm$73.4 ng/ml)에 비해 OVX+E$_2$ 실험군(125.9$\pm$45.4 ng/ml)에서 감소하였으며, 유선 내 LH 함량 역시 OVX+OIL 실험군(1.48$\pm$0.20 na/mg)에 비해 OVX+E$_2$ 실험군(1.07$\pm$0.13 ng/mg)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유선 LH가 생식주기, 임신, 수유, 이유 등의 생리적인 변화에 맞물려 조절되고, 특히 estrogen에 의해 유선 LH 합성이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유선 LH의 기능으로는 모유의 생산ㆍ분비와 유선 상피세포의 분화와 같은 유선의 기능과 생리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Influence of body condition score at calving on the metabolic status and production performance of Murrah buffaloes (Bubalus bubali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 Delfino, Nelson Carvalho;de Aragao Bulcao, Lucas Fialho;Alba, Henry Daniel Ruiz;da Silva Oliveira, Mauricio Xavier;de Queiroz, Filipe Pinheiro Soares;de Carvalho, Gleidson Giordano Pinto;Renno, Francisco Palma;de Freitas, Jose Esler Junio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1호
    • /
    • pp.1756-1765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body condition score (BCS) at calving on the metabolic status of female Murrah buffaloes in the transition period. Methods: Thirty-seven pregnant buffaloes (multiparous) were selected and monitor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based on their body condition score and on the estimated calving date. Two groups were formed: i) buffaloes with a BCS>3.5 (n = 17); this group was classified and named 'high BCS at calving' (HBCS); and ii) buffaloes with a $BCS{\leq}3.5$ (n = 20); this group was classified and named 'low BCS at calving' (LBCS). All animals were monitored during the last 30 days of pregnancy and the first 70 days post-calving and kept in the same environment and under the same feeding and management conditions. Mean values for BCS at calving were $2.98{\pm}0.9$ (mean${\pm}$standard error of the mean [SEM]) and $4.21{\pm}0.9$ (mean${\pm}$SEM) for the HBCS and LBCS groups, respectively. Results: The HBCS group showed higher milk fat content (p = 0.007) and milk fat yield (p = 0.027) and a higher concentration of milk urea nitrogen (p = 0.001) than LBCS buffaloes, which in turn had a lower urine pH value (p = 0.033) than HBCS buffaloes in the pre-calving period (7.86 for HBCS vs 7.76 for LBCS). The HBCS animals had a higher concentration of erythrocytes (p = 0.001) and hematocrit (p = 0.012) post-calving and a higher hemoglobin concentration (p = 0.004) pre-calving. Conclusion: Buffaloe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exhibited some variations in the oxidative stress related to their metabolic status. After calving, buffaloes with a high BCS at calving and greater lipid mobilization have a more marked alteration in oxidative status, but improved production performance.

식이내 단백질 급원의 종류가 태아기와 수유기동안 흰쥐의 세포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sein Soy Protein and Corn Gluten as Protein Sources in Diets on the Cellular Development of Rats during the Prenatal and Lactating Periods)

  • 강인옥;김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6-162
    • /
    • 1984
  • casein, soy protein, corn gluten의 세가지 단백질 식이를 임신기 및 수유기 동안 어미쥐에게 섭취시킨후 출생시부터 생후 21 일까지의 새끼쥐의 세포 발달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새끼쥐의 출생시 체중은 corn gluten군이 case군에 비하여 매우 유의적으로 낮았고 수유기 중에도 그 경향은 계속되었다. 2) 출생시 새끼쥐의 기관별 무게는, 뇌와 콩팥은 실험군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간의 무게는 corn gluten군이 casein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적었다, 그러나 출생 3일이후 뇌, 간, 콩팥의 무게는 생후 21일까지 corn gluten 군이 casein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적었으므로 아미노산 조성의 블균형이 기관의 무게를 감소시킴을 나타내었다. 3) 세포의 수를 짐작할 수 있는 DNA함량은 세 기관에서 일반적으로 casein군, soy protein군, corn gluten군의 순서였으나 뇌의 경우는 출생 14일에 , 간의 경우는 14일과 21일에 casein군에 비하여 corn gluten 군이 유의적으로 적었다. 그러므로 아미노산 조성의 불균형에 따른 영향은 세포 발달과정에서 세포수에 큰 영향은 아니지만 간 세포수를 감소 시킴을 알 수 있었다. 4) 총 단백질과 RNA 함량은 뇌의 경우 생후 3일 이후 corn gluten군이 casein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적었으며 100 mg 젖은 무게당 함량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간에서는 총 RNA 함량은 corn gluten 군이 출생시부터 유의적으로 적었고 총단백질 함량은 출생 3일이후 매우 유의적으로 적었다. 그러나 100 mg 젖은 무게당 두 지표의 함량은 21일에 RNA 함량이 유의적으로 적었을 뿐 실험군 간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기관별 세포의 크기는 세 실험식이간에 차이가 없었다.

  • PDF

The Effects of Gilts Housed Either in Group with the Electronic Sow Feeding System or Conventional Stall

  • Jang, J.C.;Jung, S.W.;Jin, S.S.;Ohh, S.J.;Kim, J.E.;Kim, Y.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0호
    • /
    • pp.1512-1518
    • /
    • 201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welfare and productivity of gestating gilts in groups with the electronic sow feeding (ESF) system compared to conventional stalls. A total of 83 gilts ($Yorkshire{\times}Landrace$) were housed into individual stalls to be artificially inseminated. Gilts confirmed pregnant were introduced to their treatment, conventional stalls (ST) or groups with the ESF system. All gilts were taken to the farrowing crates one week prior to their expected farrowing date. In the gestation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ilts allocated to ST and ESF on growth performance. However, backfat thickness gain (p = 0.08) and body condition score (BCS) at 110 days of gestation (p = 0.10) tended to be higher in ESF gilts than ST. Likewise, gilts housed i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stimated body muscle contents at 110 days of gestation (p = 0.02) and body muscle change during gestation (p = 0.01). There was a trend for a shorter parturition time in ESF gilts (p = 0.07). In the lactation period, group housed gilt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d BCS changes (p = 0.06). Reproductive performance did not differ with the exception of piglet mortality (ST = 0.2 no. of piglets vs ESF = 0.4 no. of piglets; p = 0.01). In blood profiles, ST gilts showed a higher cortisol level at 110 days of gestation (p = 0.01). Weaning to estrus interval was shorter in gilts housed in ESF than ST (p = 0.01). In locomotory behaviors, ESF gilts recorded a tendency to elevate locomotion score at 36, 70, and 110 days of gestation (p = 0.07, p = 0.06, and p = 0.06, respectively). Similarly, ESF gil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scratches at 36, 70, and 110 days of gestation (p = 0.01). Moreover, farrowing rates were higher in stall treatment (97.6%) compare to group housing treatment (95.2%). In conclusion, while group housed gilts with ESF system positively affected welfare status in combination with less physiologically stressful environments and activity, it negatively effects piglet mortality, farrowing rates and injuries of gilts.

Landrace와 Yorkshire 돼지에서 혈장의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I과 IGF-II 농도와 산자수 및 비유성적과의 관계 (Relationships of Plasma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I and IGF-II Concentrations to Litter Size)

  • 이철영;백규흠;이동희;박화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33-40
    • /
    • 2003
  • 본 연구는 혈장의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I과 IGF-II 농도와 산자수 및 비유성적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착수되었다. 분만주가 비슷한 미경산 및 경산 임신돈 중에서 선발한 총 60두의 순종 Landrace와 Yorkshire 공시돈을 저산자수 (low; <${\mu}$­0.5 SD)와 고산자수 (high; >${\mu}$ + 0.5 SD)-lines로 구분하여 2 (품종) ${\times}$ 2 (line) 요인분석 실험설계 하에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공시돈은 분만시 모돈당 포유자돈수를 9두로 고정시키고, 3주령 이유시 비유량의 척도로서 총 이유자돈 체중을 측정하였다. 혈액 시료는 임신 90일과 분만 후 15일에 경정맥으로부터 채취하였다. 본 실험기간 중 산자수 및 본 실험기간까지의 평균 산자수는 high-line이 low-line보다 각각 3.7두와 2.4두 많았고 (P< 0.01), 두 품종간 산자수 차이는 없었다. 임신 90일 혈장의 IGF-II 농도는 low-line보다 high-line에서 높았다. 산자수는 임신 90일 IGF-I 농도와 Landrace에서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r=-0.46; P<0.05), Yorkshire에서는 부의 상관관계 경향을 나타내어 (r=-0.31; P=0.09) 전체 공시돈에서는 이들 두 변수간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35; P< 0.01). 이유시 모돈당 총 이유자돈 체중은 두 품종간 혹은 두 lines간 차이가 없었다. 이유자돈 체중과 IGF 농도와의 관계는 품종 ${\times}$ 생리적인 생태 조합들간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임신 90일 IGF 농도가 임박한 분만시 산자수의 지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