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ference of seasonal kimchi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김장김치 담금시 부재료 특성 및 지역별 기호도 조사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Minor Ingredients for Winter Kimchi)

  • 차용준;이영미;정연정;정은정;김소정;박승영;윤성숙;김은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55-561
    • /
    • 2003
  • 본 연구는 전국의 646세대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김장김치 제조시 사용하는 부재료 및 젓갈의 종류, 계절별 가정에서 주로 애용하는 김치류, 일일 김치 소비량 등을 조사함으로써 지역적으로 다양한 겨울철 김장김치 맛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지역적 특성을 살린 시판김치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되고자 실시하였다. 김장김치 담금시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깨, 설탕, 풀(죽) 등 7종의 부재료의 사용빈도가 지배적이었으며, 굴, 새우 등의 해산물은 충청북도를 제외 한 모든 지역에서 사용빈도가 높았다. 젓갈류에서 새우젓이 전국적으로 높은 사용빈도를 보였고, 멸치젓과 멸치 액젓이 그 다음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애용되는 김치로는 봄철에는 파김치, 부추김치, 여름에는 열무, 오이소박이, 가을에는 총각김치와 가을배추겉절이, 겨울철에는 동치미가 있었으며, 남부지역은 파, 부추김치 등의 자극성이 강한 김치류가, 중부지역은 자극성이 적고 담백한 나박김치가 선호되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김장김치를 직접 담그고 있었고, 봄에는 파김치와 무말랭이를, 여름에는 오이소박이와 깻잎김치, 가을에는 고구마줄기, 겨울에는 고들빼기와 같이 한번씩 입맛을 돋울 수 있는 김치를 사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에서는 6~10포기의 김치를 담는 경우가 33.3~35.8%로 가장 많았고, 40~50대는 16~20포기, 50대 이상에서는 40포기 이상을 담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가정에서 1일 김치소비량은 1/8~1/4포기가 가장 많았고(42.7%), 개인당 1일 소비량으로 환산하면 80 g미만이 33.1%로 가장 많았다.

전남지역 농촌 주부들의 식생활관리 실태 조사 (A study on Food Management for Housewives Living in the Rural Area of Chonnam)

  • 정해옥;김은실;정복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19-326
    • /
    • 1999
  • A survey on the traditional management of dietary life, seasonal diets, and frequency of using traditional fermented foods, was conducted from six hundred forty housewives living in rural areas of Yosu and Yocheon district,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ajority of the subjects was in the range of 50-59 years old (43.1%), elementary schooling in education (38.1%), composition of family with parents and children (57.5%) with 3-4 family members (40.6%), and annual income of 5-8 million Won. 2. Korean style-house (36.7%), modernized kitchen (58.5%), and liquid fuel (69.7%) held the majority of the living environment. 3. Most of the households possessed refrigerator (98.9%), kitchenette range (98.4%) and electric rice pot (97.9%). 4. Access to traditional dishes was mostly prompted through elders or friends (84%). Preparing a meal was regarded to be a troublesome duty (41.5%). Husband's preference was the major factor for the meal preparation (53.7%) and about 30 min was spent for preparing dinner (53.7%). 5. Cooked rice was a main staple (99.5%) while three kinds of Kimchi (55.3%) were served as prime side dishes in the diets. Most Kimchi(94.7%) was prepared at home. To this basic menu, two or three side dishes were added at breakfast (77.2%), lunch (76.1%), and dinner (65.4%). MSG (mono-sodium glutamate) was consumed by 62.2% of the households. 6. Most rural households prepared traditional dishes on the traditional holidays in lunar calendar including New Year's Day (98.9%), First Full Moon of The Year (81.4%), and Autumn Full Moon (96.8%). 7 Traditional fermented foods prepared at home comprised Kimchi (87.2%), soybean paste (75.5%), red pepper soybean paste (73.9%), and soy sauce (70.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