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diction of lateral flow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2초

연직배수재가 설치된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로 인한 측방유동 발생 예측 (Prediction of Lateral Flow due to Embankments for Road Construction on Soft Grounds with Vertical Drains)

  • 홍원표;김정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C호
    • /
    • pp.239-247
    • /
    • 2012
  • 연직배수재가 설치된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를 실시할 경우 연약지반에 측방유동이 발생될 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측방유동예측법을 조사하기위해 연직배수공법을 적용하여 지반개량공사가 실시된 연약지반 상에 도로성토가 시공된 우리나라 서해안과 남해안 지역 연약지반에서 계측관리가 실시된 13개 현장 200개 측점의 현장계측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수평배수재를 설치한 연약지반에서 수평변위와 사면안전율과의 관계를 조사할 경우는 연약지반의 지표면수평변위량 보다는 지중최대수평변위량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성토사면의 사면안전율이 1.4 이상이면 대부분의 연약지반 최대수평변위는 50mm 이하로 발생되었고 사면안전율이 1.2 이하이면 대부분의 최대수평변위는 100mm 이상으로 발생되었다. 최대수평변위량이 50mm 이하로 발생하면 전단변형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측방유동이 발생할 우려가 없는 안전한 현장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최대수평변위량이 100mm 이상으로 크게 발생하는 현장에서는 전단파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런 현장에서는 즉각 대책을 강구한 후 성토를 계속함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연직배수재를 설치한 연약지반에서 안정수가 3.0이하이고 지지안전율이 1.7 이상이면 안전한 성토시공이 가능하며 안정수가 4.3 이상이고 지지안전율이 1.2 이하이면 연약지반에 전단변형의 발생은 물론이고 전단파괴의 가능성까지도 예상된다.

비소성실트지반의 액상화 및 측방유동량 예측 (Prediction for Liquefaction and Lateral Flow on Non-plastic Silt)

  • 양태선;송병웅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1호
    • /
    • pp.65-70
    • /
    • 2011
  • 모래지반의 액상화 발생 가능성 및 측방유동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비소성 실트의 액상화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비소성실트의 동적하중이 작용하는 동안과 그 이후의 거동에 대해서는 세계적으로도 다소 알려져 있을 뿐이다. 특히 비소성실트의 측방유동에 대한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소성실트지반에서의 액상화 발생 가능성 및 측방유동량의 평가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정적 및 동적 시험을 수행할 수 있는 직접단순전단시험기를 이용하여 동적하중을 받은 비소성실트의 액상화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후 정적 시험을 수행하여 잔류강도를 측정하였다. 이 시험결과 비소성실트는 유효응력이 완전이 소멸되는 것은 곤란하지만 액상화에 거의 가깝게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전단응력의 증가에 따른 강도저하는 매우 현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액상화 발생 가능성 및 측방유동량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핵 연료집합체 부수로 해석을 위한 횡 방향 압력손실계수의 수치적 결정 (Numerical Determination of Lateral Loss Coefficients for Subchannel Analysis in Nuclear Fuel Bundles)

  • Kim, Sin;Park, Goon-Cher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7권4호
    • /
    • pp.491-502
    • /
    • 1995
  • 핵연료집합체 부수로 유동장에 대한 상세한 정보에 기초해 교차류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핵연료의 성능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Reynolds 수 k-$\varepsilon$ 난류모형을 채택하여 인접한 두 부수로 사이에 발생하는 교차류를 해석하였다 또한, 2차유동을 정확히 모사하기 위해서 비등방성 대수응력모형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난류 모형은 유한요소법을 통해 해석되었으며 가용한 실험자료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그리고, 부수로 유동장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횡방향 합력손실계수의 상관식을 구성하였다. 상관식은 교차류를 제공하는 부수로의 축방향 속도에 대한 교차류의 속도비, 제공받는 부수로의 Reynolds 수 그리고 Pitch-to-diameter의 함수로 구성되었다.

  • PDF

성토 재하속도를 고려한 측방토압의 간이예측법 (A Simple Method for Predicting Lateral Earth Pressure in Consideration of Construction Speed of Embankment)

  • 임은상;김형수;김태훈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55-1060
    • /
    • 2005
  • In evaluating the stability of underground structures and designing prevention methods against the lateral flow,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amount and the distribution of the lateral earth pressure acting on these retaining structures. However, because the lateral deformation of real ground is a very complex phenomenon influenced by interaction between volumetric deformation bringing an increase of stability of ground and shear deformation causing failure of ground, any appropriate methods for estimating the lateral earth pressure in consideration of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ground and the construction conditions in embankment have not been developed as yet. Therefore, a prediction method, which considers effects of a construction speed of embankment, using the Boussinesq's solution based on the elasticity theory without using complex numerical analyses such as finite element analyses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 PDF

Field measurement study on snow accumulation process around a cube during snowdrift

  • Wenyong Ma;Sai Li;Xuanyi Zhou;Yuanchun Sun;Zihan Cui;Ziqi Tang
    • Wind and Structures
    • /
    • 제37권1호
    • /
    • pp.25-38
    • /
    • 2023
  • Due to the complexity and difficulty in meeting the multiphase flow complexity, similarity, and multiscale characteristics, the mechanism of snow drift is so complicated that the snow deposition prediction is still inaccurate and needs to be far improved. Meanwhile, the validation of prediction methods is also limited due to a lack of field-measured data about snow deposition. To this end, a field measurement activity about snow deposition around a cube with time was carried out, and the snow accumulation process was measured under blowing snow conditions in northwest China. The maximum snow depth, snow profile, and variation in snow depth around the cube were discussed and analyzed. The measured results indicated three stages of snow accumulation around the cube. First, snow is deposited in windward, lateral and leeward regions, and then the snow depth in windward and lateral regions increases. Secondly, when the snow in the windward region reaches its maximum, the downwash flow erodes the snow against the front wall. Meanwhile, snow range and depth in lateral regions have a significant increase. Thirdly, a narrow road in the leeward region is formed with the increase in snow range and depth, which results in higher wind speed and reforming snow deposition there. The field measurement study in this paper not only furthers understanding of the snow accumulation process instead of final deposition under complex conditions but also provides an important benchmark for validating prediction methods.

열연 판형상 예측 수식모델 개발 (Mathematical expression for the Prediction of Strip Profile in hot rolling mill)

  • 조영석;황상무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0-73
    • /
    • 2004
  • The approach in this thesis is for prediction of deformed strip profile in hot rolling mill. This approach shows how to make an expression as a mathematical form in predicting strip profile.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 velocity field, shear stress and material flow on the strip edge along width direction and lateral displacement and stress along width are analytically calculated. Roll force is calculated in each section and then combined together to show roll force distribution along width. All the assumptions to make equation form for this approach are supported by FEM simulation result and the result of model is verified by FEM result. So, this model will supply very useful tool to the researcher and engineers which takes less time and has similar accuracy in predicting roll force profile comparing to FEM simulation. This model has to be combined with deformed roll profile model, which include thermal crown prediction and wear prediction model to predict deformed strip profile.

  • PDF

CFD을 이용한 선박 접이안시 유체력 추정에 관한 연구 (The Prediction of Hydrodynamic Forces Acting on Ship Hull Undergoing Lateral Berthing Maneuver Using CFD)

  • 이윤석;정겸광행;공길영;김순값;이충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132-138
    • /
    • 2003
  • 대형 유조선 접이안시 발생하는 비정상 운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천수역에서 작용하는 유체력의 크기와 성질을 명학히 파악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식선형인 wigley 선형을 대상으로 수심과 가속도에 따른 유체력 변화에 대해 CFD를 이용하여 직접 시간영역에서 수치 계산을 행하였다. 또한 계산 결과를 수조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CFD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CFD의 계산 결과는 선박 접이안시 선체에 작용하는 유체력의 산출은 물론이고 선체 주위 물리적 현상이나 유장 등의 특징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수심과 가속도를 변수로 행한 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최초 정지상태에서 등속운동까지의 과도 횡력을 선체 이동속도에 이동거리를 곱한 순환함수의 개념을 이용하여 모델화하였다.

  • PDF

선형저수지모형을 적용한 수리학적 홍수추적 (Hydraulic Flood Routing using Linear Reservoir Model)

  • 전민우;조용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787-796
    • /
    • 2002
  • 자연하천의 부정류 홍수예측을 위하여 Preissmann기법에 의한 수리학적 홍수추적을 실시하였으며, 민감도 분석을 위한 상류단과 측방유입수문곡선으로서 Log-Pearson Type-III를 사용하였다. 실제하천 적용에 있어서 유역에 대해서는 선형저수지 모형을 적용하고 하도망에 대해서는 수리학적 홍수추적을 실시하였다. 상류단과 측방유입수문곡선은 선형저수지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하류단 경계조건으로서 Manning공식을 이용하였다. 유입수문곡선으로서 선형저수지모형이 적용된 부정류모형을 보청천유역에 적용시킨 결과 실측치와 매우 근접한 수문곡선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는 측방유입이 있는 경우, 선형저수지 모형을 이용한 수리학적 홍수예측이 가능하고, 부정류모형을 이용하여 흐름계산을 할 경우 조도계수 산정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로흐름 수역으로 방출되는 3차원 온배수 난류모형 (A Three-Dimensional Turbulence Model far the Thermal Discharge into Cross-Flow Field)

  • 이남주;최흥식;허재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8-155
    • /
    • 1995
  • 가로흐름이 존재하는 무한수역으로 방출되는 표면 온배수에 의한 온도장 예측을 위하여 k-$\varepsilon$ 난류모델을 이용한 근해역 3차원 온배수 수치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에 의한 수치실험 결과는 다소 제한적이긴 하나, 실험결과 자료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3차원 온배수 난류모델의 적용을 통해 가로흐름과 상호작용은 물론 수심적분 2차원 수치모델에서 해석이 곤란한 온배수 확장에 따른 성층화 현상, 부력에 기인된 횡방향의 중력확장 및 제트 저면에서의 포획연행 현상을 잘 나타내었다.

  • PDF

The Prediction of Hydrodynamic Forces Acting on Ship Hull in Laterally Berthing Maneuver Using CFD

  • Lee, Yun-Sok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3-258
    • /
    • 2003
  • To evaluate the unsteady motion in laterally berthing maneuver, it is necessary to grasp very clearly the magnitude and properties of the hydrodynamic forces acting on ship hull in shallow water. In this study, numerical calculation was made to investigate quantitatively the hydrodynamic force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for Wigley model using the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technique. Comparing the computational results to the experimental ones, the validity of the CFD method was verified. The numerical solutions evaluated the hydrodynamic force with good accuracy, and then captured the features of the flow field around the ship in detail. The transitional lateral force in a state ranging from rest to uniform motion is modeled by using the concept of the circ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