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cise image

검색결과 693건 처리시간 0.027초

위성 카메라의 틸트 효과를 고려한 온라인 리포커싱 알고리즘 (Online Refocusing Algorithm Considering the Tilting Effect for a Small Satellite Camera)

  • 이다현;황재혁;홍대기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64-74
    • /
    • 2018
  •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의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위하여 궤도 진입 후 리포커싱 과정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마이크론 단위의 정밀한 광학 정렬을 요하는 광학 위성카메라는 발사 전 충분한 정렬 과정을 거치지만 발사 및 운용 과정에서 외부 환경에 의한 광부품의 정렬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기존의 지구관측위성들은 지상과의 통신을 통한 오프라인 방식의 리포커싱을 수행해왔으며 이는 비용 시간적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궤도 상에서 자동초점 정렬과정이 수행되는 온라인 리포커싱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부경의 틸팅에 따른 광학적 효과를 리포커싱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디스페이스 외 틸팅이 발생한 위성카메라에도 적용되도록 개발하였다. 리포커싱 알고리즘의 개발 및 성능평가를 위하여 실험실 수준의 광학계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추출하여 부경 정렬오차에 따른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MTF 경향성을 바탕으로 궤도상에서의 De-space VS MTF 함수를 추정하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리포커싱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는 MATLAB과 CODE V의 연동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비대칭 오차요인이 있는 편심 광학계에서의 종수차 계산 (Calculation of Longitudinal Aberrations in Decentered Optical System with Non-symmetrical Elements)

  • 류재명;조재흥;강건모;이해진;요네야마 슈지
    • 한국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51-160
    • /
    • 2010
  • 줌렌즈에서 특정 렌즈군을 이동하여 손떨림 보정을 하는 광학적 방법에서는 광학계 설계단계에서 디센터(decenter)를 고려하여 설계한다. 이 때 여러 가지 광학설계 소프트웨어들은 디센터를 포함한 비대칭 오차요인이 있는 경우에 여러 가지 광학 성능들을 쉽게 계산할 수 있지만, 편심 광학계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부족하여 종수차 계산시에는 일부 계산오차가 생긴다. 특히 왜곡의 경우에는 비정상적으로 계산되는데, 이는 비대칭 오차요인이 있는 편심 광학계에서는 근축광선 추적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손떨림으로 인한 디센터나 틸트(tilt)와 같은 비대칭 요인이 발생하는 줌렌즈에서 편심 광학계에 대한 근축광선 추적식을 새로이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대칭 요인을 갖는 결상계의 종수차를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편심 광학계에 대한 종수차 계산 방법은 줌렌즈의 손떨림 보정에 실제로 사용할 수 있다.

방사선수술을 위한 3차원 정위 시스템 및 방사선량 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3-D Stereotactic Localization System and Radiation Measurement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 서태석;서덕영;박승훈;장홍석;최보영;윤세철;신경섭;박용휘;김일환;강위생;하성환;박찬일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25-36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stereotactic localization and radiation measurement system for the efficient and precise radiosurgery. The algorithm to obtain a 3-D stereotactic coordinates of the target has been developed using a Fisher CT or angio localization. The procedure of stereotactic localization was programmed with PC computer, and consists of three steps: (1) transferring patient images into PC; (2) marking the position of target and reference points of the localizer from the patient image; (3) computing the stereotactic 3-D coordinates of target associated with position information of localizer. Coordinate transformation was quickly done on a real time base. The difference of coordinates computed from between Angio and CT localization method was within 2 mm, which could be generally accepted for the reliability of the localization system developed. We measured dose distribution in small fields of NEC 6 MVX linear accelerator using various detector; ion chamber, film, diode. Specific quantities measured include output factor, percent depth dose (PDD), tissue maximum ratio (TMR), off-axis ratio (OAR). There was small variation of measured data according to the different kinds of detectors used. The overall trends of measured beam data were similar enough to rely on our measurement.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with the use of hand-made spherical water phantom and film for standard arc set-up. We obtained the dose distribution as we expected. In conclusion, PC-based 3-D stereotactic localization system was developed to determine the stereotactic coordinate of the target. A convenient technique for the small field measurement was demonstrated. Those methods will be much helpful for the stereotactic radiosurgery.

  • PDF

시차변화(Disparity Change)와 장면의 부분 분할을 이용한 SLAM 방법 (SLAM Method by Disparity Change and Partial Segmentation of Scene Structure)

  • 최재우;이철희;임창경;홍현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8호
    • /
    • pp.132-139
    • /
    • 2015
  • 카메라를 이용하는 시각(visual)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은 로봇의 위치 등을 파악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각 SLAM은 움직임이 없는 고정된 특징점을 대상으로 연속적인 시퀀스 상에서 카메라의 움직임을 추정한다. 따라서 이동하는 객체가 많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안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객체가 많은 상황에서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SLAM을 안정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깊이영상을 추출하고 옵티컬 플로우를 계산한다. 그리고 좌우 영상의 옵티컬 플로우를 이용하여 시차변화(disparity change)를 계산한다. 그리고 깊이 영상에서 사람과 같이 움직이는 객체에 대한 ROI(Region Of Interest)를 구한다. 실내 상황에서는 벽과 같은 정적인 평면들이 움직이는 영역으로 잘못 판단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깊이 영상을 X-Z 평면으로 사영하고 허프(hough) 변환하여 장면을 구성하는 평면을 결정한다. 앞의 과정에서 판단된 이동 객체 중에서 벽과 같은 장면 요소를 제외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정적인 특징점이 요구되는 SLAM의 성능을 보다 안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상현실에서 표출된 라이드필름 제작 사례연구 - Warrior of the Dawn 제작사례를 중심 - (A Study on the Ride Film Appearing in Virtual Reality - the focus of Warrior of the Dawn -)

  • 김태형;정진헌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204-1212
    • /
    • 2008
  • 가상현실은 1920년대 vehiclesimula-tion(fight simulator)을 효시로 하여 정밀한 광학적/전자기적 장치의 발달로 군사적 목적 이외의 범위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realistic display 기술을 선두로 오락, 의료, 학습, 영화, 건축설계,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점점 일반화 되어 지고 있다. 1989년 재론 래니어에 의해 가상현실이란 용어가 고안되었고, 모든 가상 프로젝트들을 하나의 단일 항목으로 묶을 수 있게 되었지만, 그 이전에 가상현실은 연구 되어져왔고 현재에 이르게 되었으며, 불가능한 것에 대한 새로운 경험은 인간에게 가상현실의 한 부문으로써 라이드필름을 개발하게 하였다. 라이드필름(Ride Film)의 어트랙션은 기술적 요소뿐만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기반을 분석하여 그 토대로 구성되어지며, 가상현실의 궁극적인 원칙은 상호작용에 의한 몰입이다. 진정한 상호작용은 인터페이스와 입력센서 그리고 반응능력을 요구하는데, 라이드필름(Ride Film)은 전형적인 상호작용성의 요소는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에서 연구되어온 기술 중심적 입장 외에, 경험 중심적 정의 측면에서 사이버상의 철학자라 불리 우는 마이클 하임 교수의 7가지 기초 개념, 즉 인공현실 / 상호작용 / 몰입 / 망으로 연결된 세계 / 원격현전 /시뮬레이션 / 온몬 몰입에 근거하여 가상현실로서의 적합성을 대입 분석해 보고, 완전한 몰입을 위한 라이드필름(Ride Film)의 발전 방향과 최적화된 결론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라이드필름(Ride Film)의 연구는 선례연구가 부족한 라이드필름(Ride Film)의 선행연구로써의 기틀과 디지털 영상을 한 차원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라 여긴다.

  • PDF

실시간 범죄 모니터링을 위한 CCTV 협업 추적시스템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CCTV Cooperation Tracking System for Real-Time Crime Monitoring)

  • 최우철;나준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546-55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CCTV를 통해 실시간 범죄에 대응할 수 있도록 CCTV 카메라 간 협업이 가능한 기술과 이를 활용한 실시간 범죄대응 서비스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CCTV 협업 기술은 한 곳의 CCTV에서 추출된 이동 객체(용의자)가 범위를 벗어나 다른 CCTV로 이동했을 때 객체의 유사도 정보를 관제자에게 전달하여 선택된 객체를 추적하는 프로그램 모델이다. 일련의 유사도 정보 획득 과정은 객체 감지(object detection), 사전 분류(pre-classification), 특징 추출(feature extraction), 분류(classification)의 4단계의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이는 주로 사후처리용으로 사용되던 CCTV 모니터링을 긴박한 실시간 범죄에 대응하도록 개선시켜 범죄발생 초기대응 체계를 강화 할 수 있다. 또한 관제요원의 모니터링에만 의존하는 CCTV 관제시스템을 부분 자동화하여 지자체 관제센터 운영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해당 기술 및 서비스는 안양시 테스트베드에 구축하여 시범운영할 예정으로, 서비스가 안정화가 되면 전국 지자체에 확산하여 상용화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CCTV 협업 뿐 아니라 실시간 개인 정밀위치결정, 스마트폰 연계 등 통합 방범서비스 연구가 진행되어 시민들이 보다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굴곡이 있는 전리함 집전극에 기인한 선량 변화 (Variation of Dose due to the Wound Electrode of Ionization Chamber)

  • 이병구;김정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03-209
    • /
    • 2008
  • 방사선 치료분야에서 인체에 조사되는 방사선 양은 수 ${\sim}$ 수 십 Gy로 매우 높기 때문에 항상 정확히 다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의 실험을 위해 전리함(ionization chamber)이 사용되었다. 품질관리프로토콜 (quality assurance protocol) 없이 사용되는 전리함의 상태를 파악하고, 전리함의 본래 기하학적 구조가 변형되었을 때 변화된 값을 측정하였다. 지두형 전리함의 집전극 휨 정도를 알아내기 위해 방사선 투시장치와 CT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여 휨 정도를 정량화 하였다. 그리고 기하학적 구조가 정상적인 전리함과 측정값을 비교하여 그 값의 왜곡정도를 알아보았고, 선량측정은 4MV, 10MV photon 두 종류를 같은 선량과 선량율로 하였다. 집전극이 휘어진 전리함의 흡수선량의 왜곡정도는 대략 $5.5{\sim}7.2%$ 정도 값 이었으며 에너지에 대한 차이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전리함의 기하학적 구조가 시간 경과, 장비의 취급 부주위 등에 따라 변형 될 수 있고, 특히 집전극의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평소에 인지하지 못하는 곳에서도 많은 왜곡과 오차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nvestigating Organ Toxicity Profile of Tenofovir and Tenofovir Nanoparticle on the Liver and Kidney: Experimental Animal Study

  • Peter, Aniekan Imo;Naidu, Edwin CS;Akang, Edidiong;Ogedengbe, Oluwatosin O;Offor, Ugochukwu;Rambharose, Sanjeev;Kalhapure, Rahul;Chuturgoon, Anil;Govender, Thirumala;Azu, Onyemaechi 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221-229
    • /
    • 2018
  • Tenofovir nanoparticles are novel therapeutic intervention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reaching the virus in their sanctuary sites. However, there has been no systemic toxicity testing of this formulation despite global concerns on the safety of nano drug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toxicity of Tenofovir nanoparticle (NTDF) on the liver and kidney using an animal model. Fifteen adult male Sprague-Dawley (SD) rats maintained at the animal house of the biomedical resources unit of the University of KwaZulu-Natal were weigh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animals (A) were administered with normal saline (NS). The therapeutic doses of Tenofovir (TDF) and nanoparticles of Tenofovir (NTDF) were administered to group B and C and observed for signs of stress for four weeks after which animals were weighed and sacrificed. Liver and kidney were removed and fixed in formal saline, processed and stained using H/E, PAS and MT stains for light microscopy. Serum was obtained for renal function test (RFT) and liver function test (LFT). Cellular measurements and capturing were done using ImageJ and Leica software 2.0. Data were analysed using graph pad 6, p values < 0.05 were significant. We observed no signs of behavioural toxicity and no mortality during this study, however, in the kidneys, we reported mild morphological perturbations widening of Bowman's space, and vacuolations in glomerulus and tubules of TDF and NTDF animal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elevation of glycogen deposition in NTDF and TDF animals when compared with control. In the liver, there were mild histological changes with widening of sinusoidal spaces, vacuolations in hepatocytes and elevation of glycogen deposition in TDF and NTDF administered animals. In addition to th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ereological measurements and cell count, LFT, RFT, weight changes and organo-somatic index between treatment groups and control. In conclusion, NTDF and TDF in therapeutic doses can lead to mild hepatic and renal histological damag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precise genetic mechanism.

식물세포 내 핵 함유구조 발달 양상 (Occurrence of Nuclear Inclusions in Plant Cells)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4호
    • /
    • pp.229-234
    • /
    • 2011
  • 식물세포 핵 내에 형성되는 여러 형태의 함유구조 특성 및 발달양상을 다양한 식물에서 조사하여 비교 논의하였다. 이들은 원시적인 양치식물에서부터 고도로 분화한 현화식물에 이르기까지 많은 식물군에서 발달하나, 종간에는 계통적학인 유연관계 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나타난다. 핵 내 함유구조는 내부 미세구조 특징에 따라 부정형(amorphous), 결정형(crystalline), 섬유상(fibrillar), 판상 (lamellar), 미세관상 (tubular)의 5~6 유형으로 구분된다. 가장 흔한 유형은 결정형으로 수 마이크론에 이르는 비교적 커다란 구조를 이루며, 내부구조 간 격자거리는 약 10 nm로 배열되어 있다. 핵 함유구조들은 막으로 둘러싸이지 않고 막과는 무관하게 발달하며, 핵 기질 내 인과의 구조적, 기능적 연계성이 강하게 추정되고 있다. 핵 결정체 및 미세구조 형성에 대한 연구는 이들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나, 핵 결정체에 대한 3차원적 입체구조 분석과 이들 구조를 핵에서 분리시켜 연구할 분자생물학적, 생화학적인 실험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핵 결정의 3-D 입체구조를 재구현할 수 있는 HVEM 고압전자현미경 및 tomography에 의한 연속절편 연구는 이들 구조에 대한 심도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식물세포 내 핵에 발달하는 함유구조에 대하여 연구된 구조 및 기능 등을 연계하여 그 중요성을 종합적으로 논의하였다.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환자의 머리 위치가 하악 수직, 수평 확대율에 미치는 영향 : 전후방 및 좌우 이동 (Effect of Head Positioning in Panoramic Radiography o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agnification : Displacement along the Sagittal and Transverse Plane)

  • 김용건;이영균;안서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3호
    • /
    • pp.249-25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환자의 머리 위치에 따른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의 수평 및 수직 확대율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었다. 직경 4 mm인 금속구를 건조 두개골의 하악 전치부와 우측 대구치부의 치조골 상방에 위치시켰다. 수평 및 수직적 위치의 변화를 재현하기 위해 수직, 수평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는 두개골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 파노라마방사선사진을 OP-100D를 이용하여 획득하였다. 촬영된 영상은 DICOM 형식으로 저장되었고, INFINITT PACS software를 이용하여 금속구의 폭과 높이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적절한 위치에서 촬영된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서 금속구의 수평 확대율은 1.224-1.439였고, 수직 확대율은 1.286-1.345였다. 건조 두개골의 위치 변화에 따른 수평 확대율은 0.798-6.29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P<0.05), 수직 확대율은 1.245-1.418 정도로 수평 확대율에 비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