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program

검색결과 402건 처리시간 0.024초

스크래치 활용 데이터 시각화 교육이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ta Visualization Education using Scratch on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 김정아;김용민;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607-61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시각화 교육에 초점을 맞춘 스크래치를 초등학교 예비교사 26명에게 적용하여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현직 초등교사 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 시각화의 절차에 따른 스크래치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예비교사 26명에게 총 4개월 동안 42시간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창의성 증진을 살펴보기 위해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여 사전·사후 비교 검사를 통해 적용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 중심 스크래치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창의성 하위요소 중 유창성, 정교성, 창의성 평균, 창의성 지수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학 교수 전략 및 학습 동기 촉진 프로그램이 초등예비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Teacher Professional Program about Science Teaching and Motivational Strategies on Pre-servi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배민정;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1호
    • /
    • pp.109-124
    • /
    • 2012
  • Develop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has been emphasized for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it should be done from systematic teacher training cour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hange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CK of science teaching and motivational strategies before and after a training course. For th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CK, their lesson plan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pre-service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usually used didactic or combination of didactic and inquiry teaching strategies and a few pre-service teachers used inquiry or discovery teaching strategies when making lesson plans. However, at the end of the semester many pre-service teachers used inquiry teaching strategies in their lessons which included activities of asking students' prior knowledge, conducing experiments, finding conclusion, and comparing teachers' explanations with students' explanations. Regarding motivational strategies, in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they focused using activities to create student's emotional interest in science lesson but at the end they used other strategies to create positive atmosphere for learning, capture intellectual interest in science, and connect science to students' everyday lives. The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PCK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meaningful because there was less change in pre-service teachers' PCK in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implies the need for effec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PCK.

과학 탐구중심 모의수업 경험이 초등예비교사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cientific Inquiry-based Peer Teaching Experiences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ffective Features)

  • 이인선;조선미;장신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465-47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scientific inquiry-based peer teaching experience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nxiety to science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118 pre-service teachers. The pre-post paired t-test design was implement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is program. In addition,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or investigating their change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inquiry-based peer teaching provided pre-service teachers with the opportunities to enhance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attitude toward science and reduce their anxiety to science. The findings imply that it is possible to meaningfully change elementary teachers' affective characteristics when effective strategies are adequately adopted.

  • PDF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SW교육이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W education applying Design Thinking on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 서영호;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51-360
    • /
    • 2017
  • 본 연구는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SW교육이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제주 소재 한 대학교 초등컴퓨터교육 강좌를 신청한 학부 1학년 22명의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인 예비교사들은 SW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하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에 사용할 EPL 도구인 스크래치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갖추지 못하였다. 따라서 창의성 사전검사 이전에 18차시에 걸쳐 SW교육에 대한 기본 교육과 스크래치 프로그램의 기본 기능을 학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창의성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21시간에 걸쳐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SW교육을 진행한 후 창의성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창의성 검사도구로는 Torrance의 TTCT 도형 검사지 A, B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증 결과,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SW교육이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과 중국인 예비 한국어 교사 대상 채점자 교육 사례 (A Case Study on Rater Training for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 of Native Speakers and Chinese Speakers)

  • 이두용
    • 한국어교육
    • /
    • 제29권1호
    • /
    • pp.85-108
    • /
    • 2018
  • This study pointed out the reality that many no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lack rater training are scoring the learners' writing skill. The study performed and analyzed a case where pre-service teachers were educated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romoting rater training in a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course. The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the graduate school scored TOPIK compositions and were provided feedback by the FACETS program, which were further discussed at the rater meeting. In three scoring processes, the raters scored with conscious of own rating patterns and showed positive change or over correction due to excessive consciousness. Consequentially, ongoing training can improve rating ability, and considering the fact that professional rater training is hard to progress, the method composed of FACETS analysis and rater training revealed positive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rater training including native Korean and non-native(Chinese) speakers togeth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mother tongue but by individual differenc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positive implication to the rating reliability of non-native speakers possessing advanced Korean language abilities. However, this must be supplemented through extended research.

Transforming Pre-service Teachers into Data-Driven Educators: A Developmental Research

  • Huijin SEOK ;Jiwon LEE ;Eunjeong SONG ;Jeongmin LEE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4권2호
    • /
    • pp.169-202
    • /
    • 2023
  •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included in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effectively improve the educational data literacy of pre-service teachers. We used the design and development model proposed by Richey and Klein and investigated its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Internal validity assessment involved the input of five experts who evaluated the initial instructional strategies. We conducted an educational data literacy education program with 29 pre-service teachers from Korea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for external validit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the Wilcoxon Rank Sum Test, which revealed a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Wilcoxon Rank Sum Test post-scores after the four weeks of online classes.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instructional strategies followed by the steps of data-based decision-making: the final instructional strategies encompass 21 strategies, categorized for implementation before, during, and after classes, accompanied by 38 detailed guidelines. This approach bears notable significance as it encapsulates actionable and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thoughtfully tailored to the unique circumstances and educational setting of the field, as well a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the learners.

과학관 활용 수업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화학교사의 교수 설계에서 나타나는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Design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Program for Teaching in Science Museum)

  • 최숙영;송나윤;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6호
    • /
    • pp.388-401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과학관 활용 수업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화학교사의 교수 설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의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화학교사 3명이 참여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워크숍, 수업 계획 및 시연, 평가회로 구성하였다. 워크숍 후 예비교사가 제작한 방문 전, 중, 후 활동지를 토대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고,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시연한 수업과 이에 대한 평가회를 관찰 및 녹음하여 이를 바탕으로 최종 면담을 실시하였다. 활동지, 수업 시연 및 면담내용을 과학관 학습 수행 전략 틀의 요소로 분석하여 예비교사의 교수 설계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예비교사가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수업을 계획하였고, 지리적, 심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방문 전 활동을 계획하였다. 또한 공동의 산출물을 낼 수 있는 소집단 활동을 계획하였고, 학생에게 선택의 기회를 주어 학생의 자발적인 참여를 촉진하였다. 그러나 예비교사들은 방문 전, 중, 후 활동 사이의 연계에 대해 잘 고려하지 못하였다. 방문 중 활동에서는 학생의 인지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내지 못하였고, 방문 후 활동에서도 학생의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여가활동 실태와 스트레스 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isure activities and the level of stress for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 강신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95-11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여가활동 실태와 스트레스 수준을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생활지도를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557명의 유아교육과, 아동복지학과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인구학적 변인, 여가활동, 스트레스수준으로 구성되었다. 분석은 spss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여가활동이 제한적이며, 학업수행에 대해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수입과 지출의 불균형을 경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여가활동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한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학업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의 건강한 생활패턴과 건전한 경제생활을 위한 생활지도가 요구된다.

초등예비교사의 비례추론 과제에 대한 전략 분석 (Proportional Reasoning Strateg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최은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01-625
    • /
    • 2016
  • 본 연구는 비례추론 과제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비례추론 과제에 대한 이해 정도를 살펴보고, 비례추론 전략에 따른 비례추론 과제의 적합도와 비례추론 과제에 따른 전략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8개로 구성된 검사도구를 개발하여 초등예비교사 72명에게 적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예비교사교육에서의 비례추론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실제적이고 다양한 비례추론 과제들을 다루는 경험, 양적 관계에 대한 의식적인 분석을 행하는 경험, 예비교사들이 미흡한 이해를 보이는 특정 과제 유형에 대한 보완, 다양한 비례추론 전략들을 분류하고 탐구하는 경험, 비례추론 전략에 적합한 과제 유형을 파악하고, 비례추론 과제에 보다 유용하고 사용가능한 비례추론 전략을 파악하도록 하는 학습경험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초등 예비 교사들의 자유 탐구 수행 능력 분석 (Analysis of the Ability of Open Inquiry Performance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황현정;전영석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4호
    • /
    • pp.404-414
    • /
    • 2009
  •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includes open inquiry approach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to build up creativity. So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should be equipped with the ability of open inquiry performance. In order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readiness to perform open inquiry tasks, we analyzed reports written as homework by a group of 71 juniors in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investigation tool was composed of four domains: topic selection, the inquiry process, the conclusion, and reporting. Each domain had three or four sub-domains. By using the framework, four raters scored the students' inquiry report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difficulty in the domain of 'topic selection' and the 'conclusion' compared with the other domains. Under the topic selection domain, they showed weaknesses in 'creativity' and 'scientific topic' and under the conclusion domain, they had difficulty in 'recognizing limits' and 'value of conclusion'. The finding suggests that pre-service teaching program should provide with opportunities to perform open inquiry continu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