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educational programs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5초

도서관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사서의 인식과 참여 실태 연구 분석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articipation and Awareness for Library Cultural Program of LIS Students - Focusing on the city of Busan -)

  • 윤유라;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311-337
    • /
    • 2014
  • 이 연구는 예비사서들이 도서관문화프로그램에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또한 이러한 관심이 실제적인 참여로 이어지고 있는지를 조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의 문헌정보학과 학부생 2~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대상자 중 임의추출을 통해 심층면담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 문헌정보학과 학부생들은 도서관문화프로그램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고 있었으나 실제적인 관심과 참여로 이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서도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관련 지식의 습득 뿐 아니라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여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초임 가정과교사의 교사사회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ovice Home Economics Teacher Socialization)

  • 유난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99-114
    • /
    • 2010
  • This study explored the socialization of novice Home Economics(HE) teachers employ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novice HE teachers from secondary school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ductively by NVivo, a kind of CAQDAS. The following analysis was organized around three stages of teachers' careers: first, as for influences on teacher socialization prior to formal teacher education, their experiences on 'apprenticeship of observation' provided them both positive and negative role models; second, as for the socialization rol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ey mentioned that college courses were poorly connected to classroom realities with only a few helpful lectures on HE Education; third, as for socialization in the workplace and its culture, the novice HE teachers were confronted with many kinds of problems including isolation in the classroom, in-service training programs not geared to novices, an overwhelming workload, and so on. Because of these problems, they yearned for and also formed networks with other HE teachers in order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The findings supported the notion that interactive and dialectical processes exist during all stages of HE teachers' career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eacher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re more relevant, and that the introduction of mentoring programs and classroom manuals and teacher manuals would be helpful in practice. These innovations call for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for teachers' professional success in teacher socialization.

학습자 이해에 관한 초임교사의 수학 수업사례 분석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cused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73-492
    • /
    • 2009
  • 이 연구는 2007년을 시발점으로 내용교수지식(PCK) 및 수업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로서,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틀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였다. 이차년도인 2008년 연구에서는 중학교 수학 교과의 초임 및 경력교사 각각 3명씩을 대상으로 이들의 수업 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진단 및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초임교사를 위한 수업컨설팅(안)을 '학습자 이해'에 관한 지식 측면에 초점을 두어 제시하였다.

  • PDF

내용교수지식(PCK)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cused on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 최승현;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27-45
    • /
    • 2009
  • 이 연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수학습개발센터(KICE-TLC)에서 2005년 이래로 수행해 온 교사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계승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이 연구는 2007년을 시발점으로 내용교수지식(PCK) 및 수업 컨설팅 지원에 관하여 3개년에 걸친 중장기 연구로서, KICE-TLC 고유의 PCK 연구 방법과 PCK 연구 방법과 PCK에 대한 관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수학 교과의 경우, 일차년도인 2007년도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PCK의 의미를 탐색하여 수학과 PCK 분석들을 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PCK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차년도에 해당하는 2008년 연구에서는 수학과 PCK에 초점을 맞춘 수입건설팅을 본격적으로 실행하고 초임교사 수업 컨설팅 연수를 실시하였다. 이는 향후 이러한 실행 결과를 토대로 맞춤형 교사 전문성 발달 프로그램을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본격적으로 개발하고자 함이다.

  • PDF

LDA기반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공공데이터 기반의 교육용 데이터마이닝 연구 (A Study on Educational Data Mining for Public Data Portal through Topic Modeling Method wit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 신승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439-44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하는 교육관련 데이터를 검색하고 토픽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분류를 통해 어떠한 데이터의 종류가 구축되어 있으며 활용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공공데이터포털의 데이터에 대하여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교육분야의 파일데이터는 3,072건이 수집되었으며, 검색어를 활용하여 '교육'을 검색하여 나타난 파일데이터 2,361건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데이터셋에 대하여 불용어처리를 실시하고 데이터 전처리를 수행하여 LDA기반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교육으로 분류된 데이터셋에서는 현재 재학중인 학교급별 학생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과 정보에 대한 내용이 제공되고 있었다. 한편, 교육으로 검색하여 수집된 데이터셋에서는 장애인, 학부모, 노인, 아동 등 평생교육의 관점으로 제공되는 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현황이라는 특징이 나타났다. 데이터과학기반의 의사결정 및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해 공공데이터포털이 제공하는 데이터에서 교육과정 및 내용이 충분히 제공되는 것도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수학과 교과직무연수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질적 접근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actice and Improve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이금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3호
    • /
    • pp.287-301
    • /
    • 2005
  • 현재의 지식기반 사회에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은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바 이는 임용전의 교육만이 아니라 임용 후 현직 교육의 중요성을 대두시킨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많은 현직 교육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설문지 분석을 통한 양적 연구에 머물고, 특히 수학과 교과직무연수만의 문제점을 찾으려는 시도는 미약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인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학과 교과직무연수의 실태를 알아보고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수학과 교과직무연수의 호응도가 낮은 것을 발견하고 그 이유를 분석하였으며 더불어 연수 결과의 현장 적용 실태와 문제점 및 이러한 문제점들의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 PDF

예비교육사서를 위한 PBL환경의 교수역량 강화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Program for Promoting the Pre-Education Librarians' Self-Efficacy in Education Services)

  • 정종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1-239
    • /
    • 2010
  • 본 연구는 예비교육사서의 교수역량을 신장시킬 목적으로 프로젝트기반학습환경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한학기 동안 프로그램을 경험한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교수자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강좌에 수강신청한 42명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경험한 이전과 이후에 동일한 검사지를 통해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육사서들의 일반 자기효능감과 특수 자기효능감은 프로젝트학 습환경을 경험한 후 의미있게 향상되었다. 프로그램은 예비교육사서들의 교수법과 관련한 지식,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교수자적 자기효능감과 같은 태도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어 교수 역량을 갖춘 교육사서를 양성하는데 주효한 교수학습방법임을 검증하였다. 또한, 프로젝트기반학습프로그램이 교육사서와 사서교사를 위한 계속교육과 직무연수프로그램을 설계하거나 평가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Empathy and cultural impact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understanding attitude)

  • 박지영;조경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439-448
    • /
    • 2016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과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문화적 공감능력이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Y지역의 전문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165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이해 및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과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은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교육 이해 및 태도를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공감능력은 다양한 요인을 매개로 변화되므로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하고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는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문화적 공감능력은 다문화 교육,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에의 접근뿐만 아니라 교육과정 전반적인 부분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데이터 과학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ata science education program using spreadsheet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computational thinking)

  • 김용민;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19-230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데이터 과학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Rossett의 요구 분석 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생 205명과 컴퓨터교육 전공 현직 초등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전 요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설계의 대표 모형인 ADDIE 모형의 절차에 따라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igcirc}{\bigcirc}$대학교에서 실시한 교육기부 프로그램의 지원자 표집에 의한 지원자 표본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총 6일 동안 42차시 수업을 진행하였고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공학계열 예비 교사의 공학 태도와 공학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Engineering and Teacher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of Engineering Department)

  • 박기문;이규녀;김소연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7-103
    • /
    • 2013
  • 이 연구는 공학계열 예비 교사들이 가지는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을 파악하고 그 차이의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공학계열 예비 교사교육의 질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계열 예비 교사들의 공학 태도는 보통(3.00)이하, 교사효능감은 보통 이상(3.00)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과 학년은 공학 태도 및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요인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는 특정한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에 공학계열 예비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에서는 공학적 특성인 실천 및 행동적 특성과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현장 중심의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예비 교사들이 그 교육과정을 성실하게 이수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을 한다면 공학 태도와 교사효능감은 졸업 시까지 점차적으로 향상 될 것이다. 또한 성별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여성 또는 남성 예비 교사들만을 위한 별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