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teaching

검색결과 1,074건 처리시간 0.028초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한 고찰과 '고등학교 수학' 의 의사소통 코너 분석 (Note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he Analysis of communication-corner in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

  • 김향숙;이성애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1-168
    • /
    • 2010
  • 수학적 의사소통은 수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학습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에 수학적 아이디어를 교환하는데 필수적인 활동이다.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여러 영역에서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편찬된 '고등학교 수학' 18종 교과서에는 의사소통 문제를 다루는 코너가 마련되어 있고, 실제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수학 수업 시간에 어떤 과제를 어떤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해야 할지에 대해 알고 싶어 한다. 이렇게 수학적 의사소통이 수학 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는 시점에서 본 논문은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 이를 토대로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수록된 의사소통 관련 코너의 내용을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나아가 각 유형에 적절한 의사소통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차후에 개정될 교과서의 실질적인 의사소통 코너 마련을 위한 정보 및 교사들에게 수학적 의사소통이 활발한 수학 수업을 안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포시 중학교 환경교육 현황 및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조사 (The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Mokpo City)

  • 박현주;정진화;나춘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7호
    • /
    • pp.607-614
    • /
    • 2006
  • A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in Mokpo city has been done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 of student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Only 2 of the 14 middle schools have chose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as a required subject. The majority of middle-school students in Mokpo city have learn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s a subordinate course included in the other subjects such as science, social science or technology. The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has been done mostly through non-subject activities such as club activity, group work etc. The survey shows that almost all students think the environmental pollution is serious problem(83% of respondents) and they are especially interested in separate garbage collection(72%)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y(63.9%)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e concerns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students(57.7%) has increased after environmental education regardless educational methods or subjects. The students and teachers think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has not been carried out enough and almost all of them(68.4% of students, 97.5% of teachers) agree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done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order to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many opportunities to experienc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ies should be given dur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an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separated from other subjects to be taught independently. Moreover, it might be necessary to increase proportion of teachers in environmental disciplines and to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상업 정보 계열 고등학교 암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yptography Teaching Program for Vocational High School Mathematics)

  • 박중수;정상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231-245
    • /
    • 2009
  • 본 논문은 암호 및 정보보호와 관련된 내용들을 상업 정보 계열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소개하고자 할 때, 사전에 학생들의 정보화 수준 및 암호와 정보보호의 이해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과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및 상업 정보 계열 고등학교 전문 교과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수학 교과와 전문 교과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함으로써, 상업 정보 계열 고등학교에서 수업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결과에 대한 분석이다. 개발된 교재를 사용하여 상업 정보 계열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암호 기초 이론을 강의하고 관련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하게 한 결과 암호 학습이 수학학습의 동기 유발은 물론이고 수학 교과와 전문 교과 사이의 매개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래밍 실습을 포함한 암호 학습을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의 '실용수학' 또는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학의 활용'에 추가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수학학습에서 시간의 질과 효율성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Time in Learning of Mathematics)

  • 김상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1-176
    • /
    • 2007
  • 모든 학습에서 시간은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수학학습에서는 더욱 더 그러하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학습에서 시간이 어떻게 사용되며 이와 관련된 수학학습과의 관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학습자에게 주어지는 학습 시간은 귀중하고 가치 있게 또한 의미 있는 시간을 영위하도록 학부모나 교사들은 배려해야만 한다. 학습자는 학습의 진정한 주체가 되어 자율적이고 연속적이며 끊임없는 진정한 수행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누구에게나 물리적 시간은 같지만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서 그 질 및 가치는 매우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이 수학학습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 PDF

도형 영역의 오류 유형과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Error of Fourth Grade Student in Geometric Domain)

  • 노영아;안병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9-216
    • /
    • 2007
  • 본 연구는 삼각형과 사각형 등 도형에 관한 정의와 성질 파악이 시작되는 4학년 단계에서 학생들이 범하는 오류를 연구해 봄으로써 적절한 처방과 교육 방법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4학년 단계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오류 유형으로는 정리나 정의를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오류였으며 잘못되거나 제한된 개념 이미지가 크게 작용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용어에 대한 정의를 명확하게 하며 학생들의 기하수준을 높이는 지도가 필요하며 수학책과 수학 익힘책에서 제시된 도형 이미지는 제한적이므로 보다 다양한 위치와 길이의 도형이 제시되어야 하고 정확하게 서술되어야 하며 다양하고 실제적인 활동을 위한 방향으로 검토가 이루어져함을 시사한다.

  • PDF

다문화상담자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다문화 현장 전문가 FGI를 중심으로 (Basic Study for the Education Programs of Multi-cultural Family Counselors : Focus Group Interviews of the Multi-cultural Staffs)

  • 김현아;이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68-484
    • /
    • 2013
  • 본 연구는 현재 다문화상담지원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효율적인 다문화상담자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지역의 다문화 현장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3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박사 2인과 석사1인이 실시하였으며, 외부 다문화 전문가 1인에게 검수를 받았다. 연구 참여자들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자료 분석 결과 5개의 범주의 13개 하위영역 4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5개의 각 범주는 다문화상담의 문제점, 효과적인 다문화상담전략, 필요한 다문화적 지식 요소, 다문화적 태도와 인식을 갖춘 상담자 자질, 효과적인 다문화상담의 교육방식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연구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인간수행공학을 적용한 도서관활용수업의 저해요인 분석 연구 (Analysis on Library-Aided Instruction's Obstacle Factors based on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Model)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33-449
    • /
    • 2009
  • 본 연구는 초 중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도서관활용수업이 어떠한 저해요인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는지 원인을 분석하여 해소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 첫째, 도서관활용수업방법의 실증적 개선을 위한 평가 분석의 모형을 인간수행공학모형을 기반으로 재구성하였으며 둘째, 도서관활용수업에 관한 기존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기초로 실태를 파악하고 도서관활용수업의 바람직한 수행목표를 도출하였으며 셋째, 실제 연구대상학교를 중심으로 재구성된 인간수행 공학모형을 적용하여 도서관활용수업을 저해하는 요인을 도출하고 분석기법에 따라 수행요인을 분류하여 저해요인의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제시된 도서관활용수업 저해요인의 해소방안으로는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명확한 기대치 제공과 학습목표의 정확한 기술, 도서관활용수업 지원체제 구축, 교사들의 외적 동기 유발 시스템 개발, 다양한 도서관활용수업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학교장과 일선 교사들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인식전환 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학교도서관매체센터가 도서관활용수업의 활성화로 인해 학교교육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에 관한 현황분석(광주광역시 중심)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bout the Computer Education of Commercial High School placing empasis on Gwang-Ju city area)

  • 안주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906-909
    • /
    • 2007
  • 급변하는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는 근대사회의 합리적 공간인 학교가 디지털 공간의 기능적 효과로 파생된 시대적 흐름에 편승하기 위해 혁신적 변화를 추구하지 않을 수 없게 됨으로써, 상업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은 현실적이고 교육 패러다임의 특성에 맞도록 교육을 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광주광역시 상업계고등학교 총 4개교의 컴퓨터 교과를 담당하는 교사 및 컴퓨터 교육을 받는 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 교육의 현황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차분석인 $X^2$과 빈도분석을 산출하여 상업계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이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 원하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최적화된 양질의 컴퓨터 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 PDF

Study on Design Education Plan Using Microcontroller Board Prototyping Tool

  • Nam, Wonsu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3호
    • /
    • pp.61-68
    • /
    • 2018
  • Unlike in the past, where the expression of the form was given a priority, with the widening of the scopes of the designs, the proportion of design education institution curricula targeting user experience and the application of technology is continually and gradually increasing. Open source microcontroller boards such as Arduino have initiated attracting attention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ese changes. These prototyping tools have many advantages for the diversification of expression and design verification in the design field and therefore have a high likelihood of being introduced into many design education institutes; however, the tools act as high entry barriers for design students who lack engineering knowledge. Although various educational content and tools have been developed to address the issue of barrier, existing solutions remain insufficient as alternatives for the purpose of activ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esent state of related education content and conducted a pilot workshop using a prototype microcontroller board with simplified coding. We intend to use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to develop study material for design education. We started by conducting a survey regarding the pre-university education situation. It was observed that engineering education opportunities are insufficient and the problem of mutual application between educations due to course-based education was not realized. We als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implified training tools using the microcontroller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educational design and conducted a pilot workshop using the microcontroller toolkit with a simplified coding process based on this content. Students who lack a basic knowledge of engineering technology received instruction, and after completing minimum preliminary training, they proceeded to practical exercises that involved utilizing the toolkit. Through this process, we identified the need for a simple-type microcontroller board with low-complexity for use in educating students majoring in design. We also identified some obstacles that serve as barriers to entry of utilizing microcontroller board.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several functional requirements and teaching guidelines for prototyping toolkits for design education.

응급구조학생들의 실습대상지별 현장실습만족도 비교 (Comparison study of satisfaction levels on Field Practice of EMT college students by 5 Practice Fields)

  • 박정미;김순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7-25
    • /
    • 1998
  • It was enacted 'Emergency Medical Act' in January, 1994 and while it was established the emergency medical department in college providing the agenda and curriculum about EMT but not detailed and the regulation relative to the application of a low on the emergency medical act in 199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evelopment of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field practice discipline and to Improve for the appropriatenes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field practice though comparison study of satisfaction levels on field practice of E.M.T college students by 5 practice fields. The subjects were EMT college students who had practiced from June first to July 11, 1998, at the fire department and 4 departments (emergency dept., delivery dept., operating dept., and intensive care unit.) in the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7 to 10, 1998. The data were analyzed by percentage, mean, T-test, F-test using SAS program, The result were as follow; 1. Mean satisfaction level of 5 departments was to be low as 2.863 of a total score 5,0. 2. Comparing with other departments, emergency dept. and fire dept. were 3.198, 3.109 respectively revealed to be high (mean=2,863), 3. In field content and environment, emergency dept. is the most satisfactory place(3.480, 3,686) respectively, in practice teaching, fire dept was the most satisfactory place(3,567). 4,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4 variables (religion vs fire dept. practice, motivation vs intensive care unit practice, place of emergency dept. field vs emergency dept. practice, practice problem vs emergency dept. practice)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ere a lot of problems that we have to improve and correct the field practice curriculum. Though this study, we could guess what the practical matters were.

  • PDF